$\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40년간 한반도 기온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in Korea Peninsular During the Past 40 Year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4, 2013년, pp.29 - 38  

김남신 (국립생태원 운영관리팀) ,  김경순 (국립생태원 운영관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반도 기온변화를 분석하여 기후대의 변화와 도시지역에서의 기온분포의 시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74년부터 2007년까지 34년간 남북 기상관측소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온은 고도와 선형관계를 갖기 때문에 고도별 월별 기온단열감율을 계산하여 역거리가중법으로 500m 해상도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도시화 지역에서의 자료는 연도별 인구변화와 기온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온량지수로 구분한 기후대는 남부기후구가 90년대 이후 위도가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지역의 평균기온상승은 80년대와 90년대에 $0.5{\sim}1.2^{\circ}C$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온 상승은 서울과 광역시 그리고 시단위 지역에서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은 80년대와 90년대에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시화와 산업화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된 지역이다. 북한의 경우는 평양, 안주시, 개천시, 혜산시에서도 인구증가와 더불어 기온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construe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in cities and the changes of climatical regions by analyzing a climate change in Korea peninsular. We used daily mean air temperature data which were collected in South and North climate stations for the past 34 years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온자료를 분석하여 기후대의 분포와 도시지역에서의 기온분포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반도 기온변화와 온량지수 변화의 시·공간적 분포패턴을 파악하고 도시지역에서의 기온변화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기온분포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연도별 인구의 변동과 그에 따른 기온분포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인구만을 주된 인자로 채택한 것은 도시화로 인한도시의 토지이용 변화가 인구유입을 만들기 때문에 인구의 변화로도 도시기후의 상승효과를 어느 정도 설명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온단열감율은 이론적, 실질적으로 어떤 감소를 보이는가? 기온자료의 보간은 고도에 따른 감온효과를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기온단열감율(adiabatic lapse rate)를 적용해야 한다. 기온단열감율은 이론적으로 대기의 연직상태에서 건조단열감율은 0.01℃m-1 , 습윤단열감율 0.005℃m -1로 감소하지만 고도, 경사, 위도, 해양, 계절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르게 감소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열수리 변화의 가장 큰 결과는 지구온난화로 나타나고 있다. 지구온난화는 기후대의 상승, 사막화, 빙하후퇴 및 해수면상승, 각종 기상이변, 엘니뇨, 식생대의 변화, 동식물 서식처의 감소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IPCC, 2007).
쾨펜에 의해 제안된 기후구분 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Kira(1949)가 제안한 온량지수란 무엇인가? 이를 보완하기 위해 Kira(1949)는 식생분포와 기후의 분포를 일치시키기 위해 단순하면서 효과적인 온량지수(warmth index)를 제안하였다. Kira(1949)의 온량지수는 식생분포를 결정짓는 월평균기온을 5℃로 보고 월평균 기온 중 5℃이상인 달을 합산한 것이다. 여기서 온량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식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J.Y. and J.I. Yun. 2002. Implementing the urban effect in an interpolation scheme for monthly normal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4(4):203-212 (최재연, 윤진일. 2002. 도시효과를 고려한 일 최저기온의 월별 평년값 분포 추정. 한국농립기상학회지 4(4):203-212). 

  2. Choi, Y.E. 2005.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heating and cooling degreedays in South Korea, 1973-2002.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0(5):584-593 (최영은. 2005. 한반도 난.냉방도일의 시공간 분포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0(5):584-593). 

  3. Choi, Y.E. and J.M. Ha. 2003. An analysis of the tendency of land-use according to the street hierarchy in Daegu CBD.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8(1):95-107 (최영은, 하재명. 2003. 대구시 가로위계에 따른 도심공간영역별 토지 이용경향분석. 국토계획 38(1):95-107). 

  4. David, G., G.G. Douglas and C.S. Raymond. 2003. Climate Variability and Ecosystem Response a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s. Oxford University Press. 

  5. Ganderton, P. and P. Coker. 2005. Environmental Biogeography. Trans-Atlantic. 

  6. IPCC. 2007.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7. Johnson, J., L. Bizikova and Burton. 2008. Integrating Climate Change Actions into Local Development. Stylus Public. 

  8. Kira, T. 1949. Nippon no shinrin-tai (Forest zones of Japan) Tokyo: Nippon Ringyo Gijutsu Kyokai; Reprinted in Kira, T. 1971. Seitaigaku kara Mita Shizen(Nature as Viewed from Ecology):105-141, Tokyo: Kawade Shobo Shin-sha. 

  9. Kong, W.S. 2006. Ecology and natural history of North Korean Pinacea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5(5):323-337 (공우석. 2006. 북한 소나무과 나무의 생태와 자연사. 환경영향평가 15(5):323-337). 

  10. Kwon, W.T. 2005.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climate change science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1(2-1):325-336 (권원태. 2005. 기후변화의 과학적 현황과 전망. 한국기상학회지 41(2-1):325-336). 

  11. Kwon, Y.A., W.T. Kwon and K.O. Boo. 2008. Future projection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set date and duration of natural seasons using SRES A1B data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43(1):36-51 (권영아, 권원태, 부경온. 2008,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자연계절 시작일 및 지속 시간의 공간 분포 변화전망. 대한지리학회지 43(1):36-51). 

  12. Kwon, Y.A., W.T. Kwon, K.O. Boo and Y.E. Choi. 2007. Future projections on subtropical climate regions over South Korea using SRES A1B data.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42(3):355-367 (권영아, 권원태, 부경온, 최영은. 2007.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아열대 기후구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42(3):355-367). 

  13. Lee, C.S. 2008. Lammas Shoot Growth of Korean Red Pine : http://koyya.egloos.com/1828580 (이창석. 2008. 소나무 이차 생장 : http://koyya.egloos.com/1828580). 

  14. Lee, S.H, I.H, Heo, K.M. Lee, S.Y Kim, Y.S. Lee and W.T. Kwon. 2008.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henology and growth of crops: in the case of Naju. Journal of the Korea Geographical Society 43(1):20-35 (이승호, 허인혜, 이경미, 김선영, 이윤선, 권원태. 2008. 기후변화가 농업생태에 미치는 영향-나주 지역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3(1):20-35). 

  15. Tricart, J. and J. KiewietdeJonge. 1992. Ecogeography and Rural Management.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16. Viles, H. 1988. Biogeomorphology. Lightning Source Inc. http://www.wsl.ch/staff/niklaus.zimmermann/. 

  17. Yun, J.I. 2006.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flowering season of Japanese cherry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in Korea during 1941-2100.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2):68-76 (윤진일. 2006. 기후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일의 시공간변이.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2):68-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