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근로자들의 대사증후군과 건강위험 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Metabolic Syndromes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among Mal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4, 2013년, pp.975 - 984  

최선영 (경상대학교 가정교육과) ,  강나은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희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perform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male work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with many related factors including anthropometry, hematological index, serum lipid level, dietary-related behavior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According to the age grou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도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지만 아직 대사증후군에 대한 적절한 건강관리 및 식생활 지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정도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과 건강관련 위험 요인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남성 근로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알아보고, 체위와 혈액학적 지수, 식습관과 건강관련 행동 등 여러가지 요인들과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사항은 연령은 정상군 및 위험군은 ‘20대’가 가장 많은 반면, 대사증후군군에서는 ‘30대’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이들 질환은 비만과 더불어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하기보다는 상호 복합적으로 발생할 우려가 크기 때문에 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자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S)이란 개념이 제시되었다(Lee MS2004). 즉, 대사증후군이란 내당능 장애 또는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복부비만 및 고혈압 등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증후군으로 관상동맥질환의 발생과 관련성이 크다(Lim 등 2005). 이러한 대사증후군의 개념을 Reaven GM(1988)은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고인슐린, 고혈압, 고혈당, 고지혈증 등의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달이 군집되어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이를 X 증후군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으로 명명하였다.
대사증후군의 발병 원인은 어떤 것이 있는가? 대사증후군의 발병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인과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중에서 특히 환경적인 요인인 생활습관 중 육체적인 활동, 흡연, 식이습관과 강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흡연의 경우,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흡연자들이 비흡연자들에 비해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았다고 하였으며(Ministry of Health &Welfare 2006),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년 이상의 장기 흡연자들이 비흡연자들보다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률이 1.
대사증후군의 발병 원인은 흡연과 무슨 연관이 있는가? 대사증후군의 발병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인과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중에서 특히 환경적인 요인인 생활습관 중 육체적인 활동, 흡연, 식이습관과 강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흡연의 경우,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흡연자들이 비흡연자들에 비해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았다고 하였으며(Ministry of Health &Welfare 2006),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년 이상의 장기 흡연자들이 비흡연자들보다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률이 1.9배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MS 2004). 반면에 음주의 경우에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Ministry of Health &Welfare 2006)와 Jung 등(2002)의 연구에서 음주와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ES. 2006.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an electronics manufacturing company. Korean J Occu Environ Med 18:35-45 

  2. Cornier MA, Hernandez TL, Lindstrom RC, Steig AJ, Stob NR, Eckel RH. 2008. The metabolic syndrome. Endocrine Reviews 29:777-822 

  3.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2001. Circulation 106:3143-3421 

  4. Fried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499-502 

  5. Heinemann MA, Heuchert TL. 1998. Cardiovascular system. In: Stellaman JM (eds) Encyclop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1a. 4th ed. International Labor Officer Pub 3:2-4 

  6. Ibiebele TI, Van der Pols JC, Hughes MC, Marks GC, Williams GM, Green AC. 2007. Dietary pattern in association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skin: A prospective study. An J Clin Nutr 85:1401-1408 

  7. Jung CH, Park JS, Lee WY, Kim SW. 2002.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Med 63:649-658 

  8. Kammel WB, Cupples LA, Ramaswami, Stokes IIIj, Kreger BE, Higgins M. 1991. Regional obesit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Framingham study. J Clin Epidemoil 44:183-195 

  9. Kim YH, Park RJ, Kim MB, Moon JD. 2009. Predictor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shipyard workers and its prevalence. Korean J Occup Environ Med 21:209-217 

  10.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Statistics of the Cause of Death in Korea 

  11. Lakka TA, Salonen JT. 1992. Physical activity and serum lipids; a cross sectional population study in eastern finnish men. Am J Epodemiol 136:806-818 

  12. Lee DH, Ha MH, Kim JH, Christiani DC, Gross MD, Steffes M, Blomhoff R, Jacobs DR. 2003. Gamma-glutamyltransferase and diabetes-a 4 year follow-up study. Diabetologia 46:59-64 

  13. Lee KS, Park CY, Meng KH, Bush A, Lee SH, Lee WC, Koo JW, Chung CK. 1998. The association of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with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men from Seoul, Korea. Ann Epidemiol 8:31-38 

  14. Lee MS. 2004. Relationship of the relative risk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dietary habits of middle-aged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9:695-705 

  15. Lee MY, Won CS, Goh JH, Lee BJ, Lee Y, Kim MJ, Shin YG,Jung CH. 2004. Correlations between gamma-glutamyltransferase and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J Korean Asso Internal Medi 67:498-505 

  16. Lim JS, Yang JH, Chun BY, Kam S, Jacobs DR, Lee DH. 2004. Is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inversely associated with serum antioxidants as a marker of oxidative stress. Free Radic Biol Med 37:1018-1023 

  17. Lim S, Lee HK, Park KS and Cho SI. 2005.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over the period 1998-2001 as determined by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Care 28:1810-1812 

  18. Maki KC. 2004. Dietary factors nin the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ardiol 93:12-17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20. Mun JH, Lee SJ, Park JD. 2007.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ion with ${\gamma}$ -GTP in steel-mill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17-25 

  21. Nam SM, Yu HY, Lee MY, Koh JH, Shin JY, Shin YG, Chung CH. 2007. Alchol consumption, liver enzymes,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 men. J Korean Diabetes Assoc 31:253-260 

  22. Oh JD, Lee SY, Lee JG, Kim YJ, Kim YJ, Cho BM. 2009. Health behavior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 Fam Med 30:120-128 

  23. Park HS, Oh SW, Cho SI, Choi WH, Kim YS. 2004.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lifestyle factors among South Korean adults. Int J Epidemiol 33:328-336 

  24. Park MJ, Yun KE, Lee GE, Cho HJ, Park H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conomic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 Korean J Obesity 15:10-17 

  25. Reaven GM. 1988.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Diabetes 37:1595-1607 

  26. Sattar Ns, Gaw A, Scherbakova O, Ford I, O'Reilly DS, Haffner SM. 2003. Metabolic syndrome with and without C-reactive protein as a predictor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diabetes in the West of Scotland. Coronary Prevention Study 108: 414-419 

  27. Seong SS, Choi CB, sung YK, Park YW, Lee HS, Uhm WS, Kim TW, Jun JB, Yoo DH, Lee OY, Bae SC. 2004.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EQ-5D in Koreans. J Korean Rheum Assoc 11:254-262 

  28. Siedell JC, Cigolini M, Deslypere JP, Charzewska J, Ellsinger BM, Cruz A. 1991. Body fat distribution in relation to physical activity and smoking habits in 38-year-old Europeanmen. Am J Epidemiol 133:257-265 

  29. Won JU, Ha KW, Song JS, Roh J, Kim HR, Lee DH, Lee KH. 2003. Analysis of sufficient conditions in approving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as occupational disease. Korean J Occup Environ Med 15:52-60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ndemic.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80-8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