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혐오 자극에 대한 뇌의 기능적 영상 연구에 있어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양전자방출단층촬영 등의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있으나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low resolution brain electromagnetic tomography) 분석을 이용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피험자들에게 시각적 혐오자극을 준 후 나타나는 대뇌 피질의 활성변화를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 법 : 총 45명($27.1{\pm}2.6$세)의 건강한 젊은 성인남녀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국제정서사진체계를 사용하여 중립자극에서 4장, 신체훼손과 관련된 혐오자극에서 4장의 사진을 뽑아 피험자들에게 각 30초간 보여주면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분석을 시행하여 중립자극에 대비해 혐오자극에서의 변화된 전류밀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혐오시각 자극을 받는 동안 피험자 모두 불쾌감, 놀람,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보고하였다.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 분석상 세타파에서 좌측 전두엽의 위이마이랑(BA10)과 중간이마이랑(BA10, 11) 영역에서 유의미한 전류밀도의 감소를 보이는 복셀 클러스터가 관찰되었다. 이 복셀 클러스터는 총 11개의 복셀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의미한 전류밀도(p<0.05)의 감소를 나타내는 t값의 임계값은 -1.984이었다. 남녀 간의 혐오 반응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이 연구의 결과인 시각 혐오자극에 의한 배외측 전전두엽의 활성은 혐오 정서의 조절과 관여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re are a lot of studies that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motion of disgust and the functional brain images using fMRI and PET. But studies using sLORETA (standardized low resolution brain electromagnetic tomography) almost do not exis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혐오 자극에 대한 뇌의 기능적 영상 연구에 있어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양전자방출단층촬영 등의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있으나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low resolution brain electromagnetic tomography) 분석을 이용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피험자들에게 시각적 혐오 자극을 준 후 나타나는 대뇌 피질의 활성변화를 저해상 전자기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ORETA를 이용하여 정상 남녀들에게 국제정서사진체계(IAPS: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에 포함된 신체훼손(mutilation)과 관련된 혐오시각자극을 준 후 정량화 뇌파를 측정하였다. 이 데이터를 LORETA 분석을 통해 대뇌 뇌파 변화의 분석 및 국지화를 시도하였고, 그 결과를 기존의 PET 또는 fMRI 등을 통한 기능적 영상 연구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순수한 혐오 정서의 유발이 어려웠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로 혐오정서의 유발원이 시각 자극 뿐이라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혐오 감정을 일으키는 유발원(elicitors)에 대해 시각 자극 외에도 청각을 포함한 시청각 자극 또는 미각, 후각에까지 다양한 유발원이 활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본정서로 인정받는 혐오정서란 무엇인가? 이런 정서의 이해를 위한 분류 체계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에 따라 다양한 제안이 있으나 보편적으로 분노, 혐오, 공포, 기쁨, 슬픔, 놀람 6가지가 기본정서로 인정받고 있다(Ekman과 Davidson 1994;Ekman과 Sorenson 등 1969;Sohn 2011). 그 중 혐오(disgust)정서는 진화적인 관점에서 오염되거나 상한 음식을 거부하는 구강방어(oral defense)로 생각되고 있으며(Angyal 1941;Darwin 1965;Rozin과 Fallon 1987) 정신의학 영역에서는 강박장애 또는 특정 공포증(거미, 뱀) 외에도 식이장애, 우울증 및 성 장애(sexual disorder)까지 다양한 정신질환과 관련된 정서로 주목 받고 있다(Husted과 Shapira 등 2006;Olatunji과 McKay 2007). 혐오정서는 다양한 유발원(elicitors)에 의해서 생겨날 수 있는데 Haidt 등(Haidt과 McCauley 등 1994)은 혐오를 일으키는 유발원의 종류를 음식, 배설물, 특정 동물들(오염과 관련된 쥐, 바퀴벌레)과 관련된 core disgust와 성(sex), 개인위생, 폭력, 죽음(death) 등과 관련된 animal reminder disgust로 분류하였다.
정서란? 정서(emotion)란 어떤 대상이나 상황을 지각하고 그에 동반되는 생리적 변화나 행동적 변화, 그리고 정서의 의식적 측면인 감정(feeling, affect)을 포함하는 개념으로(Suh 2004), 다윈(Darwin 1965)은 정서와 정서표현방식은 진화에 의하여 형성된 생물학적 특징으로 동물의 생존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1937년 파페즈(Papez 1995)가 인간정서와 변연계(limbic system)의 관련성을 발표한 이후로 인간 정서와 대뇌 구조와의 관련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 슬하전두대상피질(sgACC:subgenual anterior cingulate cortex)은 우울 또는 불안의 조절에 관련되며, 복내측전전두피질(VMPFC:ventromedian prefrontal cortex)은 감정의 프로세스에 중요하고, 편도체(amygdala)는 공포의 프로세스에 핵심부위라는 사실들이 알려졌다.
인간 정서와 대뇌 구조와의 관련성 연구의 결과는? 정서(emotion)란 어떤 대상이나 상황을 지각하고 그에 동반되는 생리적 변화나 행동적 변화, 그리고 정서의 의식적 측면인 감정(feeling, affect)을 포함하는 개념으로(Suh 2004), 다윈(Darwin 1965)은 정서와 정서표현방식은 진화에 의하여 형성된 생물학적 특징으로 동물의 생존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1937년 파페즈(Papez 1995)가 인간정서와 변연계(limbic system)의 관련성을 발표한 이후로 인간 정서와 대뇌 구조와의 관련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 슬하전두대상피질(sgACC:subgenual anterior cingulate cortex)은 우울 또는 불안의 조절에 관련되며, 복내측전전두피질(VMPFC:ventromedian prefrontal cortex)은 감정의 프로세스에 중요하고, 편도체(amygdala)는 공포의 프로세스에 핵심부위라는 사실들이 알려졌다. 또한 이러한 정서들은 슬하전두대상피질(sgACC)-중견의지핵(nucleus accumbens)-시상(Thalamus)-피질(Cortex)를 연결하는 the cortico-striatal-thalamic-cortical(CSTC) loop 를 통해 상호작용하며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Stah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gyal A. Disgust and related aversions. J Abnorm Psychol 1941; 36:393-412. 

  2. Congedo M, Lubar JF, Joffe D. Low-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neurofeedback. IEEE Trans Neural Syst Rehabil Eng 2004;12:387-397. 

  3. Darwin C.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 1965. 

  4. Du Boisgueheneuc F, Levy R, Volle E, Seassau M, Duffau H, Kinkingnehun S, et al. Functions of the left superior frontal gyrus in humans: a lesion study. Brain 2006;129:3315-3328. 

  5. Ekman P, Davidson RJ. The nature of emotion: Fundamental questions. New York, US, Oxford University Press;1994. 

  6. Ekman P, Sorenson ER, Friesen WV. Pan-cultural elements in facial displays of emotion. Science 1969;164:86-88. 

  7. Frei E, Gamma A, Pascual-Marqui R, Lehmann D, Hell D, Vollenweider FX. Localization of MDMA-induced brain activity in healthy volunteers using low resolution brain electromagnetic tomography (LORETA). Hum Brain Mapp 2001;14:152-165. 

  8. Garavan H, Hester R, Murphy K, Fassbender C, Kelly C.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inhibitory control. Brain Res 2006;1105:130-142. 

  9. Goldin PR, McRae K, Ramel W, Gross JJ. The neural bases of emotion regulation: reappraisal and suppression of negative emotion. Biol Psychiatry 2008;63:577-586. 

  10. Gross JJ. Antecedent- and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divergent consequences for experience, expression, and physiology. J Pers Soc Psychol 1998;74:224-237. 

  11. Haidt J, McCauley C, Rozin P. Individual differences in sensitivity to disgust: A scale sampling seven domains of disgust elicitors. Pers Individ Di 1994;16:701-713. 

  12. Husted DS, Shapira NA, Goodman WK. The neurocircuitry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disgust.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6;30:389-399. 

  13. Kam SC, Choi SM, Jeh SU, Hwa JS, Jung KH, Jeong SW, et al. Location of Brain Electrical Source Activation according to Visually Stimulated Sexual Arousal: A Cross Spectral Analysis using Low Resolution Brain Electromagnetic Tomography (LORETA). Korean J Uro 2006;47:779-785. 

  14. Kim WS, Jin SH. LORETA analysis of EEG responding to positive/negative emotional stimuli for different sensitivities of behavioral activation and inhibition systems. Journal of Korean Soci 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2005;8:403-413. 

  15. Lantz G, Michel CM, Pascual-Marqui RD, Spinelli L, Seeck M, Seri S, et al. Extracranial localization of intracranial interictal epileptiform activity using LORETA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7; 102:414-422. 

  16. Lubar JF, Congedo M, Askew JH. Low-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LORETA) of cerebral activity in chronic depressive disorder. Int J Psychophysiol 2003;49:175-185. 

  17. Michel CM, Murray MM, Lantz Gr, Gonzalez S, Spinelli L, Peralta RGd. EEG source imaging. Clin Neurophysiol 2004;115:2195-2222. 

  18. Olatunji BO, McKay D. Disgust and psychiatric illness: have we remembered? Br J Psychiatry 2007;190:457-459. 

  19. Papez JW. A proposed mechanism of emotion. 1937.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1995;7:103-112. 

  20. Pascual-Marqui RD, Lehmann D, Koenig T, Kochi K, Merlo MC, Hell D, et al. Low resolution brain electromagnetic tomography (LORETA) functional imaging in acute, neuroleptic-naive, first-episode, productive schizophrenia. Psychiatry Res 1999; 90:169-179. 

  21. Pascual-Marqui RD, Michel CM, Lehmann D. Low resolution electromagnetic tomography: a new method for localizing electrical activity in the brain. Int J Psychophysiol 1994;18:49-65. 

  22. Phan KL, Fitzgerald DA, Gao K, Moore GJ, Tancer ME, Posse S. Real-time fMRI of cortico-limbic brain activity during emotional processing. Neuroreport 2004;15:527-532. 

  23. Lang PJ, Bradley MM, Cuthbert BN.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Instruction manual and affective ratings, The Center for Research in Psychophysiology;1999. 

  24. Quirk GJ, Beer JS. Prefrontal involvement in the regulation of emotion: convergence of rat and human studies. Curr Opin Neurobiol 2006;16:723-727. 

  25. Royet JP, Plailly J, Delon-Martin C, Kareken DA, Segebarth C. fMRI of emotional responses to odors: influence of hedonic valence and judgment, handedness, and gender. Neuroimage 2003;20: 713-728. 

  26. Rozin P, Fallon AE. A perspective on disgust. Psychol Rev 1987;94:23-41. 

  27. Sarlo M, Buodo G, Poli S, Palomba D. Changes in EEG alpha power to different disgust elicitors: the specificity of mutilations. Neurosci Lett 2005;382:291-296. 

  28. Schienle A, Schafer A, Hermann A, Walter B, Stark R, Vaitl D. fMRI responses to pictures of mutilation and contamination. Neurosci Lett 2006;393:174-178. 

  29. Shapira NA, Liu Y, He AG, Bradley MM, Lessig MC, James GA, et al. Brain activation by disgust-inducing picture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Biol Psychiatry 2003;54:751-756. 

  30. Sohn JH. Review on Discrete, Appraisal, and Dimensional Models of Emotion. J Ergon Soc Korea 2011;30:179-186. 

  31. Sprengelmeyer R, Rausch M, Eysel UT, Przuntek H. Neural structures associated with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s of basic emotions. Proc Biol Sci 1998;265:1927-1931. 

  32. Sprengelmeyer R, Young AW, Calder AJ, Karnat A, Lange H, Homberg V, et al. Loss of disgust. Perception of faces and emotions in Huntington's disease. Brain 1996;119 1647-1665. 

  33. Stahl SM. Sthal's Essential Psychopharmacology, cambridge medicine; 2000. 

  34. Strik WK, Fallgatter AJ, Brandeis D, Pascual-Marqui RD. Threedimensional tomography of event-related potentials during response inhibition: evidence for phasic frontal lobe activation.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8;108:406-413. 

  35. Suh MS. Physiological Basis of Emotion and Though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4;9:53-68. 

  36. Wright P, He G, Shapira NA, Goodman WK, Liu Y. Disgust and the insula: fMRI responses to pictures of mutilation and contamination. Neuroreport 2004;15:2347-23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