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가상 정보 공간에서의 정보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Virtual Information Grounds and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of Korean Youth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0 no.4 = no.90, 2013년, pp.155 - 173  

김성은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상 정보 공간에서의 일상적인 활동을 위한 정보 이용 행태에 관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물리적 정보 공간의 개념을 가상 정보 공간으로 확장하였고, 청소년 시기의 특징을 반영하여 다양한 일상적인 활동과 또래집단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청소년들의 가상 정보 공간과 정보 이용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도서관에서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 시에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고, 추후 학교도서관에서의 정보 서비스 기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of Korean youths in a virtual information grounds. The concept of a physical information ground is expanded to include virtual spaces. A variety of hobbies and peer groups of Korean youths ar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y...

주제어

참고문헌 (35)

  1. 김미량 (2008). 진지한 여가의 개념화와 척도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체육교육과. (Kim, Mi Lyang. (2008). Serious leisure scale(SLS) development through serious leisure conceptualization.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 민윤경 (2002). 디지털 정보환경하 기업정보센타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제9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75-80. (Min, Yoon-Kyung (2002). Management of corporate library in the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9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75-80.) 

  3. 박성익, 장정아, 신혜숙, 신혜정 (2000). 사이버 공간에서의 청소년 행동특성 연구. 서울: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Park, Sung-Ik, Jang, Jung-Ah, Shin, Hye-Sook, & Shin, Hye-Jung (2000). Youth's behavior in cyber space. Seoul: Korea Publication Ethics Commission.) 

  4. 박언규 (2011).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용자의 지식 생산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Park, Un Kyu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knowledge creation in online communities. Master's dissertation,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The Graduate School of Sogang University, Korea.) 

  5. 박주범, 정동열 (2012). 일상적 만남의 담화분석을 통한 정보탐색행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2), 93-112.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2.093 (Park, Joo-Bum, & Jeong, Dong-Youl (2012).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rough the discourse analysis of casual interactions among wild-goose mot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2), 93-112.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2.093) 

  6. 서우석 (2007). 청소년의 여가 활동에 사회경제적 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1), 273-302. (Seo, U-Seok (2007). Impacts of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s on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youth. Studies on Korean Youth, 18(1), 273-302.) 

  7. 설진아 (2010). 10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동기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상관성 연구. 미디어젠더문화, 14, 43-72. (Seoul, Jin-Ah (2010). A study on Korean teenagers' internet usage and motivation for online communication activities. Media Gender & Culture, 14, 43-72.) 

  8. 안라희, 이범준 (2002).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점자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제9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9-214. (Ann, La-Hee, & Lee, Beom Joon (2002). A study on the braille library service by the challenge of information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9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09-214.) 

  9. 유현종 (2008). 선거에서 정보환경이 유권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정치학회보, 42(4), 155-188. ( Yoo, Hyun Jong (2008). Study on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environment on voters' choice on election: Focused on the presidential election (14th-16th) in Korea.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42(4), 155-188.) 

  10. 이시형, 이세용, 김은정, 오승근 (2000).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녀교육. 서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Lee, Shi-Hyung, Lee, Sae-Yong, Kim, Eun-Jung, & Oh, Seung-Keun (2000).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and an education of children. Seoul: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11. 이은주, 이제환 (2011). 대학생의 학습활동에 있어 도서관의 의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3), 105-126. (Lee, Eun-Ju, & Lee, Jae-Whoan (2011). Meanings of academic library in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105-126.) 

  12. 이정미 (2010). 대학생의 일상생활 및 선거 시기 정보원 이용 형태 비교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3), 117-135. http://dx.doi.org/10.4275/KSLIS.2010.44.3.117 (Lee, Jeong-Mee (2010). Seeking and using information sources by college students: Comparisons of information seeking in everyday life and during ele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3), 117-135. http://dx.doi.org/10.4275/KSLIS.2010.44.3.117) 

  13. 정진수 (2009). 어린이와 청소년의 정보이용에 관한 연구의 비판적 분석I: 학습을 위한 정보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143-153. (Chung, Jin Soo (2009). A critical analysis of the studies on children's and adolescents' information seeking and use part 1: Focusing on information seeking and use for learning.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 143-153.) 

  14. 조윤경, 김은미 (2008). 미디어 이용과 대인 간 상호작용이 청소년의 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2(5), 255-274. (Cho, Yun-Kyoung, & Kim, Eun-Mee (2008). Effects of the media, peers and parents on adolescents'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the body satisfaction.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2(5), 255-274.) 

  15. 지영숙, 이태진, 최보아 (2002). 가족여가 유형이 가족체계 역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189-196. (Chi, Young-Sook, Lee, Tae-Jin, & Choi, Bo-A (2002). A study on the effects of factors of family leisures on family intra-system dynamic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4), 189-196.) 

  16. 한재용, 정철호, 명건식 (2007). 온라인 커뮤니티 유형별 다중비교를 통한 커뮤니티 특성요인의 설명력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17, 219-242. (Han, Jae Yong, Jung, Chul Ho, & Myung, Geun Seek (2007). A study on power of the determinants by a multiple comparison among online community types. Journal of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Business Education, 17, 219-242.) 

  17. 황진구, 권태희 (2003). 청소년의 사이버커뮤니티 참여 및 이용실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Hwang, Jin Goo, & Kwon, Tae Hee (2003). A study on youth's participation and using behavior among cyber community. Research Report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8. Agosto, D. E., & Hughes-Hassell, S. (2006a). Toward a model of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 needs of urban teenagers, part 1: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7(10), 1394-1403. http://dx.doi.org/10.1002/asi.20451 

  19. Agosto, D. E., & Hughes-Hassell, S. (2006b). Toward a model of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 needs of urban teenagers, part 2: Empirical model.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7(11), 1418-1426. http://dx.doi.org/10.1002/asi.20452 

  20. Chelton, M., & Cool, C. (2004). You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Theories, models, and issues. Lanham, Md: Scarecrow Press. 

  21. Dervin, B. (1983). Information as a user construct: The relevance of perceived information needs to synthesis and interpretation. In S. A. Ward, & L. J. Reed (Eds.), Knowledge structure and use: Implications for synthesis and interpretation (pp. 153-184). Philadelphia, PA: Temple University Press. 

  22. Dresang, E. T. (1999). More research needed informal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youth on the Internet.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0(12), 1123-1124. 

  23. Fisher, K. E., Landry, C. F., & Naumer, C. (2007). Social spaces, casual interactions, meaningful exchanges: 'Information grou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llege student experience. Information Research, 12(2). Retrieved from http://informationr.net/ir/12-2/paper291.html. 

  24. Hartel, J. (2003). The serious leisure frontier in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Knowledge Organization, 30(3-4), 228-238. 

  25. Java, A., Song, X., Finin, T., & Tseng, B. (2007). Why we twitter: Understanding microblogging usage and communities. In Proceedings of the 9th WebKDD and 1st SNA-KDD 2007 Workshop on Web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ebKDD/SNA-KDD '07). ACM, New York, NY, USA, 56-65. http://dx.doi.org/10.1145/1348549.1348556 

  26. Kelly, J., & Freysinger, V. (2000). 21st century leisure: Current issues.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27. Kuhlthau, C. (1991). Inside the search process: Information seeking from the user's perspective.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2(5), 361-371. 

  28. Li, C, Bernoff, J., Pflaum, C., & Glass, S. (2007). How consumers use social networks. Forrester Research, Inc. 

  29. Park, M. H., & Lee, J. Y. (2011). An empirical study of the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the baby-boomers as pre-retire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2), 195-208.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2.195 

  30. Pettigrew, K. E. (1999). Waiting for chiropody: Contextual results from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information behaviour among attendees at community clinics.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35(6), 801-817. http://dx.doi.org/10.1016/S0306-4573(99)00027-8 

  31. Prensky, M.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2: Do they really think differently? On the Horizon, 9(6), 1-9. 

  32. Savolainen, R. (1995).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Approaching information seeking in the context of "way of lif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7(3), 259-294. 

  33. Stebbins, R. A. (1982). Serious leisure: A conceptual statement. Pacific Sociological Review, 25, 251-272. 

  34. Stebbins, R. A. (2001). New directions in the theory and research of serious leisure. Lewiston: Edwin Mellen Press. 

  35. Wilson, T. D. (2000). Human information behavior. Informing Science, 3(2), 49-55. Retrieved from http://inform.nu/Articles/Vol3/v3n2p49-56.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