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정보학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0-2011
Detecting Research Trends in Korean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000-2011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0 no.4 = no.90, 2013년, pp.215 - 239  

서은경 (Division of Knowledge & Information at Hansung University) ,  유소영 (Dep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t Hannam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1세기에 들어서서 디지털 정보환경이 발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국내 정보학 연구 역시 많은 발전과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을 산학계 모두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 2000년부터 현재까지 어느 정도로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한 논문은 많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0년에서부터 2011기간동안 연구재단에 등재된 문헌정보학 관련 학회지에 수록된 정보학분야 논문 1,00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보학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시간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논문 데이터를 주제 범주화 한 후, 각 주제 범주 내에서의 논문 및 주요 키워드의 성장률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단어 동시출현 네트워크를 2000-2011년뿐 아니라 2000-2005년과 2006-2011년의 두 시기로 나누어 시각화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정보학 분야의 연구경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난 12년간의 한국의 정보학 연구는 정보시스템중심적 연구에서 이를 도서관에 적용하는 도서관응용적 연구로 나아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지식관리, 웹기반 시스템 평가, 정보검색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변화가 나타났다. 다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이 연구는 정보학 연구분야의 한국 로컬화의 변화를 찾아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though the overall scholarly community has recognized a dramatic growth and changes in the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Korea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re are still only few studies that have identified the changes in terms of long-term and dynamic point of view. We have analyzed 1,007 I...

주제어

참고문헌 (27)

  1. Chu, C., & Wolfram, D. (1991). A survey of the growth of Canadian research in information science.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16(1), 12-28. 

  2. Chua, A. Y. K., & Yang, C. C. (2008). The shift towards multi-disciplinarity in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13), 2156-2170. http://dx.doi.org/10.1002/asi.20929 

  3. Cho, J. (2011). A study for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network tex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65-83.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4.065 

  4. Hansen, D., Shneiderman, B., & Smith, M. A. (2010). Analyzing social media networks with NodeXL: Insights from a connected world. Morgan Kaufmann. 

  5. Hawkins, D. T. (2001). Information Science Abstracts: Tracking the literature of information science. Part 1: Definition and map.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52(1), 44-53. 

  6. Huang, M.-H., & Chang, Y.-W. (2011). A study of interdisciplinarity in information science: Using direct citation and co-authorship analysi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7(4), 369-378. http://dx.doi.org/10.1177/0165551511407141 

  7. Kang, S.-S. (2002). Korean morphemes analysis and information retrieval. Seoul: Hong-Rung Scientific Pub. 

  8. Kim, P. J., & Lee, J. Y. (2007). Descriptor profiling for research domai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4(4), 285-303. http://dx.doi.org/10.3743/KOSIM.2007.24.4.285 

  9. Lee, J. Y., & Choi, S. (2011). Intellectual structure and infrastructure of informetrics: Domain analysis from 2001 to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2), 11-36.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2.011 

  10. Lee, J. Y., Kim, P. J., Kang, D. S., Kim, H. J., Yu, S. Y., & Lee, W. H. (2011). A bibliometric analysis on LED research.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2(3), 1-26. http://dx.doi.org/10.1633/JIM.2011.42.3.001 

  11. Mukherjee, B. (2010). Assessing Asian scholarly research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 quantitative view as reflected in Web of Knowledg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6(1), 90-101. http://dx.doi.org/10.1016/j.acalib.2009.12.003 

  12. NWB Team (2006). Network Workbench Tool. Indiana University, Northeastern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Michigan. Retrieved from http://nwb.slis.indiana.edu 

  13. Oh, S.-H., & Lee, D.-Y. (2005).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2(1), 167-189. http://dx.doi.org/10.3743/KOSIM.2005.22.1.167 

  14. Park, J.-H., & Song, M. (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 7-32.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1.007 

  15. Robinson, L. (2009). Information science: Communication chain and domain analysis. Journal of Documentation, 65(4), 578-591. http://dx.doi.org/10.1108/00220410910970267 

  16. Rorissa, A., & Yuan, X. (2012). Visualizing and mapp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information retriev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8(1), 120-135. http://dx.doi.org/10.1016/j.ipm.2011.03.004 

  17. Schvaneveldt, R. W. (Ed.) (1990). Pathfinder associative networks: Studies in knowledge organization. Norwood, NJ: Ablex. 

  18. Seadle, M. (2012). Library Hi Tech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Hi Tech, 30(2), 205-209. http://dx.doi.org/10.1108/07378831211239915 

  19. Seo, E.-G. (1997).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patterns in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14(1), 269-291. 

  20. Seo, E.-G. (2010a). Longitudinal analysis of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JASIST 1985-2009.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7(2), 129-155. http://dx.doi.org/10.3743/KOSIM.2010.27.2.129 

  21. Seo, E.-G. (2010b). Trends analysis on research article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27(4), 7-32. http://dx.doi.org/10.3743/KOSIM.27.4.007 

  22. Sohn, J.-P. (2003).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1957-2002.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3), 9-32. 

  23. Tsay, M.-y., & Shu, Z.-y. (2010). Journal of bibliometric analysis: The case study on the Journal of Documentation. Journal of Documentation, 67(5), 806-822. http://dx.doi.org/10.1108/00220411111164682 

  24. White, H. D., & McCain, K. W. (1998). Visualizing a discipline: An author co-citation analysis of information science, 1972-1995.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9(4), 327-355. 

  25. Wolfram, D. (2012). An analysis of Canadian contributions to the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literature: 1989-2008.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36(1-2), 52-66. http://dx.doi.org/10.1353/ils.2012.0005 

  26. Zhao, D., & Stromann, A. (2008). Information science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web: An enriched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6), 916-937. http://dx.doi.org/10.1002/asi.v59:6 

  27. Zins, C. (2007). Knowledge map of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4), 524-535. http://dx.doi.org/10.1002/asi.205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