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간척지에서 토양 염농도가 청보리 생육, 수량 및 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Salinity on Growth, Yield and Nutrients Uptake of Whole Crop Barley in Newly Reclaimed Land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2 no.4, 2013년, pp.332 - 337  

이상복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조광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신평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양창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백남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이경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백승화 (충북도립대학 바이오식품공학과) ,  정덕영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간척지에서 청보리의 안정재배를 위한 토양 염농도를 제시하기 위하여 새로 조성된 새만금간척지에서 토양염농도(EC) 0.8, 3.1, 6.5, 11.0 dS/m에 해당하는 지점을 선정하고, 화학비료로 $N-P_2O_5-K_2O$=150-100-100 kg/ha를 시용한 후 2011년 10월 26일에 영양보리를 220kg/ha 파종하였다. 재배기간중 토양 염농도는 수확기>출수기>파종기>월동기 순으로 파종기에 비해 수확기에 1.4~4.2배 상승하였다. 염농도가 높을수록 발근에 지장을 초래하여 지상부 생육도 저조하였고 특히 EC 11.0 ds/m에서 출현은 하였으나 겨울철이 지난 후 고사하였다. 수량은 토양염농도 0.8 dS/m(8.8 MT/ha)에 비해 3.1 dS/m과 6.5 dS/m에서 각각 68 %, 35 % 수준이었다. Proline함량은 생육초기가 수확기보다, 그리고 염농도가 높을수록 많았다. 수확기의 $Na_2O$와 MgO 함량은 염농도가 높을수록 많았고 N, $P_2O_5$, $K_2O$CaO 함량은 염농도가 높을수록 적었다. 따라서 토양 염농도가 3.1 dS/m이상으로 높아짐에 따라 청보리의 지하부와 지상부에 심각한 생육저해로 양분의 불균형 흡수를 초래하여 수량이 저조하기 때문에 안정한 청보리 생산을 위해서는 지하 배수시설 또는 관개수를 이용하여 3.1 dS/m이하로 염농도를 떨어뜨린 후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Newly reclaimed land has poor soil environment for crop growth since it is high in salt concentration but low in organic content compared with ordinary soil. It is known that whole-crop-barley can grow better in the soil of relatively high salt concentration than other crops but, the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롭게 조성된 새만금간척지 포장에서 토양 염농도에 따른 청보리에 대한 염에 대한 안전한 재배조건을 제시하고자 염농도 피해가 전혀 없는 토양조건에서부터 재배가 불가능한 농도에 이르기까지 몇몇 염농도에 파종한 후 지하와 지상부 생육, 양분함량 및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척지 토양의 특징은? 정부는 조사료 증산정책의 일환으로 간척지를 이용한 사료작물 재배면적을 2012년 1,355ha에서 2014년까지 2,000ha로 확대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농식품부, 2013). 그러나 간척지 토양은 일반토양보다 염분농도가 높고 유기물 함량은 낮아 작물이 생육하기에는 열악한 토양환경을 지니고 있다. 특히 간척지 토양의 염분농도는 생물의 생육장애를 일으키는 주요한 요소이며 간척지의 제염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조사료 증산정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계획은? 정부는 조사료 증산정책의 일환으로 간척지를 이용한 사료작물 재배면적을 2012년 1,355ha에서 2014년까지 2,000ha로 확대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농식품부, 2013). 그러나 간척지 토양은 일반토양보다 염분농도가 높고 유기물 함량은 낮아 작물이 생육하기에는 열악한 토양환경을 지니고 있다.
토양의 염분농도가 높을수록 생산성이 저조한 요인은 무엇으로 설명 가능한가? , 2011). 이와 같이 토양 염농도가 높을수록 생산성이 저조한 요인은 염류집적에 의해 토양내 삼투압이 증가로 염이 물 분자를 끌어 당겨 식물의 수분흡수가 저해되어 수분결핍 현상(Lee et al., 1996)은 물론 특정이온의 비정상적 과다 흡수에 의해 이온 특이적 효과(Lutts et. al., 1996), 그리고 이들 두 가지 원인이 복합적 작용의 현상으로 설명되고 있다(Alli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lison, L.E., Bernstein, L., Bower,C.A., Brown, J.W., Fireman, M.J., Hatcher, T., Hayward, H.E. Pearson, G.A., Reeve, R.C. Richard, L.A., Wilcox, L.A., 1969,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saline and alkali soil,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t, Agriculture handbook No.60, pp. 55-68. 

  2. Back, N.H., Choi, W.Y. Ko, J.C., Park, H.K., Nam, J.K., Park, K.G., Kim, S.S., Kim, B.K., Kim, C.K., 2006. Optimum seeding rate in different to soil salinity for broadcasting on the rice flooded paddy surface at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of korea, Korean J. Crop Sci. 51(S), 47-51. 

  3. Back, N.H., Kim, T.K., Yang, C.H., Kim, S., Nam, J.K., Lee, S.B., Choi, W.Y., Kim, S.J., Lee, K.B., 2011. The growth and yield of winter fodder crops by soil salinities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in Korea, Korean. J. Intl. Agri. 23(4), 410-414. 

  4. Back, N.H., Ko, J.C., Nam, J.K., Park, H.K., Kim, S.S., Kim, C.K., 2007. Optimum water management practice direct seeding on paddy surface of saline in soil reclaimed tidelands, Korean J. Crop Sci. 51(2), 204-207. 

  5. Bower, C.A., Turk, L.M., 1946. Calcium and magnesium deficiencies in alkali soils, Amer. soc. Agron. Jour. 38, 723-727. 

  6. Charest, C., Phan C.T., 1990. Cold acclimation of wheat (Triticum aestivum): Properties of enzymes involved in proline metabolism, Physiol. Plant 80, 159-168. 

  7. Choi, W.Y., Lee, K.S., Ko, J.C., Moon, S.H., Kim, C.K., 2005. Optimum drainage time for rice quality in tidal reclaimed area, Korean J. Crop Sci. 50(S), 85-87. 

  8. Choi, W.Y., Lee, K.S., Ko, JC., Park, H.K., Kim, S.S., Kim, B.K. Kim, C.K., 2004. Nitrogen fertillizer management for improving rice quality under different salinity conditions in tidal reclaimed area, Korean J. Crop Sci. 49(3), 194-198. 

  9. Choi, Y.C., Kim, Y.M., Park, J.H., 2002. Effect of salt treatment on yiel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ag leaf at heading stage in winter barley, Korean J. Crop Sci. 47(6), 409-412. 

  10. Choi, Y.C., Park, J.H., 1997. 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to water stress and salt stress at seedling stage, Korean J. Crop Sci. 42(6), 693-698. 

  11. Choi, Y.C., Park, J.H., Kwon, Y.W., 1997. 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to salt stress at reproductive stage, Korean J. Crop Sci. 42(6), 687-692. 

  12. Heimaan, H., Ratner, R. 1961. The influence of potassium on the uptake of sodium by plants under saline conditions. Bull. Res. Counc. of Israel. 10A, pp. 55-62. 

  13. Kang, J.G., Lee, K.D., Lee, J.H., Jeong, J.H., Gil, G.H., Ryu, J.H., Lim, S.H., Hwang, S.W., Kim. S.J., 2010. Resalinization Control of Saline Soil in Reclaimed Upland, J. Soil Sci. Fert.5, 208-209. 

  14. Lee, G.B., Hwang, S.U., Lee, S.H., 2012.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 for multifactorial utilization of reclaimed land, Soci. Agri. Res. Rec. Lands 10, 18-28. 

  15. Lee, S.Y., Kim, C.S., 1995. Cellular structural change of barley seedlings on different salt concentration under Hydroponic culture, Korean J. Crop Sci. 40(4), 481-486. 

  16. Lee, S. Y. Kim, C. S. Cho, J. W. and Kang, Y. G., 1996. 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seedlings to salt stress, Korean J. Crop Sci. 41, 665-671. 

  17. Lutts, S. Kinet J.M., Bouharmont, J., 1996. NaCl-induced senescence in leaves of rice(Oryza sativar L.) cultivars differing in salinity resistance, Annal. Bot. 78, 389-398. 

  18. McMichael, B.L. and Eleore, G.D., 1997. Proline accumulation in water stressed cotten leaves. Crop science 17, 905-908. 

  19. NIAST(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Analytical methods of soil and plant. NIAS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Suwon, Korea. 

  20. RDA., 2003. Standard of research and analysis for agr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pp. 271-29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Suwon, Korea. 

  21. Troll, W., Lindsley, J., 1955. A photo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roline, J. Biol. Chem. 215, 655-6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