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말지각의 기초표상: 음소 또는 변별자질
The Primitive Representation in Speech Perception: Phoneme or Distinctive Feature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4, 2013년, pp.157 - 169  

배문정 (우석대학교 교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a target detection task, this study compared the processing automaticity of phonemes and features in spoken syllable stimuli to determine the primitive representation in speech perception, phoneme or distinctive feature. For this, we modified the visual search task(Treisman et al., 1992) devel...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지각의 기초표상으로 변별자질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말지각의 기초표상으로 변별자질이 가지는 장점은 변별자질은 음소와 달리 동시조음에 의한 음운현상을 자연스럽고 간결하게 설명하고 기술할 수 있는 음운적 단위이며, 동시에 조음동작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접근 가능한 물리적 실체라는 것이다. 현대 음운론에서 변별자질이 음운구조의 기초요소로 제안된 것은 이미 반세기도 넘는 오래된 일이지만, 말지각 연구에서 변별자질이 말지각의 기초표상으로 진지하게 다루어 지지 못한 데는 첫째, 초기 변별자질 이론인 Jakobson과 Fant, Halle(1952)의 음향자질체계와 Chomsky와 Halle(1968)의 조음자질체계가 모두 음운구조를 절대적으로 분리된(absolutely sliced) 음소들의 선형적 조합으로 이해하고, 변별자질들을 음소에 속박된 하위요소로 간주했기 때문이며(Fowler, 1995; Browman & Goldstein, 1992), 둘째, 초기의 음성지각 연구들이 신경적으로 완비된 음성자질 탐지기(phonetic feature detector) 이론에 지나치게 열광한 나머지, 이에 대한 경험 연구가 한계에 부딪히면서 변별자질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쇠퇴했기 때문이다(Goldinger, Pisoni, & Luce, 1996).
음소를 기초표상으로 가정한 초기연구들은 어떤 난관에 봉착하는가? 말지각 연구의 오랜 전통은 음소를 말지각의 기초표상으로 가정하고, 음소에 기반 하여 음성지각(phonetic perception)과 단어재인(word recognition)의 심리적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음소를 기초표상으로 가정한 초기연구들은 모두 경험적, 이론적 난관에 봉착하게 되는데, 첫째는 음향음성학의 발전으로 음향신호에는 음소에 상응하는 불변속성들(invariants)이 없으며, 음절이나 단어가 음소들의 선형적 결합으로 실현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둘째는 음소를 기초표상으로 가정한 단어재인모형들이 동시조음현상(coarticulation)과 분절문제(segmentation)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이 결과 기초적인 음운표상으로서 음소는 그 물리적, 심리적 실재를 의심받게 되고(개괄은 Port, 2006), 음성지각과 단어재인 연구들은 음성실현의 변산성과 비선형성 등 수많은 난제들을 미해결의 상태로 남겨둔 채 각각 분리된 발전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다(Goldinger, Pisoni, & Luce, 1996; Dahan & Magnuson, 2006).
음소에 기반하여 기초표상으로 가정한 연구들은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말지각 연구의 오랜 전통은 음소를 말지각의 기초표상으로 가정하고, 음소에 기반 하여 음성지각(phonetic perception)과 단어재인(word recognition)의 심리적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음소를 기초표상으로 가정한 초기연구들은 모두 경험적, 이론적 난관에 봉착하게 되는데, 첫째는 음향음성학의 발전으로 음향신호에는 음소에 상응하는 불변속성들(invariants)이 없으며, 음절이나 단어가 음소들의 선형적 결합으로 실현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둘째는 음소를 기초표상으로 가정한 단어재인모형들이 동시조음현상(coarticulation)과 분절문제(segmentation)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이 결과 기초적인 음운표상으로서 음소는 그 물리적, 심리적 실재를 의심받게 되고(개괄은 Port, 2006), 음성지각과 단어재인 연구들은 음성실현의 변산성과 비선형성 등 수많은 난제들을 미해결의 상태로 남겨둔 채 각각 분리된 발전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다(Goldinger, Pisoni, & Luce, 1996; Dahan & Magnuson,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e, M -J. (2003). The perceptual structure of distinctive features in Korean consonant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배문정(2003). 한국어 변별자질의 지각적 표상구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Bae, M. -J. (2009a). Perceptual Structure of Korean Consonants in High Vowel Contex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1(2), 95-103. (배문정(2009a), 고설 모음 환경에서 한국어 자음의 지각적 구조, 말소리와 음성과학, 1(2), 95-103) 

  3. Bae, M. -J. (2009b). Nonlinear Interaction between Consonant and Vowel Features in Korean Syllable Perce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1(4), 29-38. (배문정(2009b), 한국어 단음절에서 자음과 모음자질의 비선형적 지각, 말소리와 음성과학, 1(4), pp. 29-38) 

  4. Bae, M. -J. (2010). The perceptual hierachy of distinctive features in Korean conson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2(4), 109-118. (배문정(2010), 한국어 자음에서 변별자질들의 지각적 위계, 말소리와 음성과학, 2(4), 109-118) 

  5. Bae, M. -J. & Kim, J.-O. (2002). The Perceptual Structure of Korean Consonants, Journal of Korean Experi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14(4), 375-408. (배문정?김정오, (2002). 한국어 자음의 지각적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14(4), 375-408.) 

  6. Boersma, P. (1998). Functional Phonology: formalizing the interactions between articulatory and perceptual drives. The Hague: Holland Academic Graphics. 

  7. Broadbent, D. E. (1958).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Pergammon Press. 

  8. Browman, C., & Goldstein, L. (1992). Articulatory phonology: An overview. Phonetica, 49, 155-180. 

  9. Chomsky, N., & Halle, M.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and Row. (MIT Press, 1991.) 

  10. Clements, G. N. (1985). The geometry of phonological features. Phonology Yearbook, 2, 225-252. 

  11. Cutler, A. & Norris, D. (1988). The role of strong syllables in segmentation for lexical acces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4, 113-121. 

  12. Dahan, D., & Magnuson, J. S. (2006). Spoken-word recognition. In M. J. Traxler &M. A. Gernsbacher (Eds.), Handbook of Psycholinguistics (pp. 249-283). Amsterdam: Academic Press. 

  13. Eimas P D., Tartter V. C., Miller, J. L., Keuthen, N. J. (1978) Asymmetric dependencies in processing phonetic features. Perception & Psychophysics, 23(1), 12-20. 

  14. Eimas, P. D., Tartter, V. C., & Miller, J. L. (1981). Dependency Relations During the Processing of Speech. In Eimas, P. D, Miller, J. L. (Eds.)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Speech (pp. 283-309).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 

  15. Fowler, C. A. (1995). Speech production. In J. L. Miller & P. D. Eimas (eds.), Handbook of Perception and Cognition: Speech, Language and Communication (vol 11), NY: Academic Press. 

  16. Frauenfelder, U. H., & Segui, J. (1989). Phoneme monitoring and lexical processing: Evidence for associative context effects. Memory and Cognition, 17, 134-140. 

  17. Goldinger, S. D., Pisoni, D. B., & Luce, P. A. (1996). Speech perception and spoken word recognition. In N. J. Lass (Eds.) Principles of Experimental Phonetics. (pp. 277-327). 

  18. Goldsmith, J. (1976). Autosegmental phonology, Ph. D. Dissertation. MIT. 

  19. Jakobson, R., Fant, C. G. M., & Halle, M. (1952). Preliminaries to Speech Analysis. Cambridge, MA: MIT Press. 

  20. Kim, K. H. (1987).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Distinctive Features: Korean Consonantal Phonology.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Iowa. 

  21. Koh, Y. J. (2000). The Birth and Life of Distinctive Features, Seoul: Tongin. (고영진 (2000). 변별자질 그 탄생과 활약. 서울: 동인.) 

  22. Kohler, K. (1990). Segmental reduction in connected speech in German: phonological facts and phonetic explanations. In Hardcastle W. J. & A. Marchal (eds.) Speech production and speech modelling (pp. 69-92). Netherlands: Kluwer. 

  23. Lahiri, A. & Marslen-Wilson, W. D. (1992). Lexical processing and phonological representa- tion. In G. J. Docherty & D. R. Ladd (Eds.), Papers in laboratory phonology II: Gesture, segment, prosod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29-260). 

  24. Lahiri, A. & Reetz, H. (2010). Distinctive features: Phonological underspecification in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Journal of Phonetics, 38, 44-59. 

  25. Lee. K. O. & Park, H. S. (1977). The restoration of deep syllables and the role of syllables in Korean speech perception. Journal of Korean Experi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9. 73-94 (이광오와 박현수(1997). 음성지각 과정에서 음절의 역할과 기저음절의 복원.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9, 73-94.) 

  26. Liberman, A. M, & Mattingly, I. G. (1985). The motor theory of speech perception revised. Cognition, 21, 136. 

  27. Lindblom, B. (1998). Systemic constraints and adaptive change in the formation of sound structure. In Hurford, J. R., Studdert-Kennedy, M. & Knight C. (Eds.). Approaches to the evolution of language: social and cognitive bas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Lindblom, B. (2000). Developmental origins of adult phonology: The interplay between phonetic emergents and the evolutionary adaptations of sound patterns. Phonetica, 57, 297-314. 

  29. Marslen-Wilson, W. D., & Warren, P. (1994). Levels of perceptual representation and process in lexical access: Words, phonemes, and features. Psychological Review, 101, 653-675. 

  30. McCarthy, J. J. (1994).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semitic pharyngeals. In Patricia Keating, Papers in Laboratory Phonology III: Phonological Structure and Phonetic Form (pp. 191-233).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Miller, G. A. and Nicely, P. E. (1955). An analysis of perceptual confusions among some English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7, 623-638. 

  32. Mitchell, L. M. & Singh, S. (1974). Perceptual structure of 16 prevoclaic English consonants sententially embedded.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55, 1355-1357. 

  33. Pitt, M. A., & Samuel, A. G. (1990). The use of rhythm in attending to speech.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6, 564-573. 

  34. Port, R. (2006) The graphical basis of phones and phonemes. In Murray Munro and Ocke-Schwen Bohn (Eds.). Second language speech learning: The role of language experience in speech perception and production. (pp. 349-365). Amsterdam: John Benjamins. 

  35. Prince, A. & Smolensky. P. (1993).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interaction in generative grammar. Rutgers University Center for Cognitive Science Technical Report 2. 

  36. Repp, B. H. & Liberman, A. M. (1987). Phonetic categories are flexible. In S. Harnad (Ed.) Categorical perception. (pp. 89-112).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Sehneider, W. & Shiffrin, R..M. (1977). Controlled and automatic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 Detection, search, and attention. Psych. Rev. 84, 1-66. 

  38. Stevens, K. N. (1986). Models of phonetic recognition II: A feature-based model of speech recognition. In P. Mermelstein (eds.), Proceedings of the Montreal Satellite Symposium on Speech Recognition, Twelfth International Congress on Acoustics. 

  39. Treisman, A., & Paterson, R., (1984). Emergent features, attention and object percep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0, 12-21. 

  40. Treisman, A., Vieira, A., & Hayes, A. (1992). Automatic and preattentive processing.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05, 341-362. 

  41. Wang, M. D. & Bilger, R. C. (1973). Consonant confusions in noise: a study of perceptual feature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54, 1248-126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