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지글 읽기에 나타난 한국어 모음 /오/-/우/의 세대간 차이
Cross-Generational Differences of /o/ and /u/ in Informal Text Reading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4, 2013년, pp.201 - 207  

한정임 (건국대학교) ,  강현숙 (한양대학교) ,  김주연 (건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Han and Kang (2013) and Kang and Han (2013) which examined cross-generational changes in the Korean vowels /o/ and /u/ using acoustic analyses of the vowel formants of these two vowels, their Euclidean distances and the overlap fraction values generated in SOAM 2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실제 단어가 사용된 편지글을 피험자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읽게 하여 되도록 실제 발화와 유사한 상황을 만들어 두 모음의 포먼트 값을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남성보다는 여성 화자들이 /오/-/우/ 모음 변화를 빨리 수용하여 비슷하게 조음하고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화자들만을 대상으로 해서 20대와 40-50대 간에 모음 조음의 차이가 있는 지 살펴봄으로써 현재 진행 중인 한국어 /오/와 /우/ 모음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모음 /오/와 /우/가 내용어/기능어, 사용빈도수, 어두로부터의 거리 등의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모음 /오/와 /우/가 구체적으로 어떤 자질을 가지고 실현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따라서 향후 대용량 자연발화 코퍼스를 이용하여 이러한 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Han & Kang (2013), Kang & Han (2013)의 후속 연구로서 현재 진행되고 있다고 알려진 한국어 모음 /오/와 /우/의 근접현상이 실제로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는 지 편지글 읽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현재 진행 중이라고 알려진 한국어 모음 /오/와 /우/의 근접현상이 한국어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단어가 포함된 편지글 읽기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실제 단어가 사용된 편지글을 피험자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읽게 하여 되도록 실제 발화와 유사한 상황을 만들어 두 모음의 포먼트 값을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남성보다는 여성 화자들이 /오/-/우/ 모음 변화를 빨리 수용하여 비슷하게 조음하고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화자들만을 대상으로 해서 20대와 40-50대 간에 모음 조음의 차이가 있는 지 살펴봄으로써 현재 진행 중인 한국어 /오/와 /우/ 모음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대 여성 화자들의 /오/와 /우/ 발음을 비교 분석했을 때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가? 예를 들어 90년대 중반에 발표된 Yang (1996)의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음향분석과 최근에 발표된 음향연구의 결과(성철재, 2004; 문승재 2006; 장혜진, 신지영, 2006)를 비교해 보면, 과거에는 /오/와 /우/ 두 모음이 뚜렷하게 구별되어 조음되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이 두 모음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조음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조성문 (2003)은 20대 여성 화자들의 /오/와 /우/ 발음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 두 모음의 고저대립이 사라지면서 /오/는 /우/의 위치로 그리고 /우/는 /으/의 위치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조음의 변화는 이 두 모음을 인지하는 패턴에도 그대로 반영되리라 짐작할 수 있는데 실제로 /오/와 /우/ 모음에 대한 한국인 청자들의 인지실험 연구는 많지 않다.
채서영은 /오/ 모음 상승에 대한 변화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어떤 결과를 얻었는가? 한국어의 /오/ 모음이 /우/ 모음과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은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서 관찰되거나 실험을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오/ 모음 상승에 대한 변화 양상을 가장 먼저 체계적으로 설명한 분석은 채서영(1999)인데, 이 연구에서는 /오/가 상승하여 /우/와 근접하는 변화가 1900년대 말에 시작하여 일부 순우리말 어휘에서는 이미 완성이 되었지만 (예: 하로 → 하루), 어말 위치에 주로 나타나는 동사 어미의 /오/ 모음의 경우, /우/ 모음 자리로의 변화는 현재 진행 중이라고 하였다. 음운분석뿐 아니라 음성학 연구에서도 이 두 모음의 자질에 대한 변화는 많이 입증된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모음 /오/와 /우/의 근접현상이 국어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단어가 포함된 편지글 읽기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는데,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가? 첫째, 모음 고저의 특성을 보여주는 제1포먼트 값의 측정결과, 어두의 위치에서는 두 세대 모두 /오/와 /우/의 고저 차이가 잘 구별되어 조음되지만, 비어두 위치에서 20대 화자들의 /오/와 /우/ 조음에서는 제1포먼트의 차이가 잘 나타나지 않음을 밝혔다. 모음의 전후 구별을 보여주는 제2포먼트의 경우는 20대와 40-50대 화자 모두 어두, 비어두의 위치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남을 보여주었다. 이는 화자가 젊고 모음의 위치가 비어두 위치일 경우 /오/와 /우/ 모음의 고저의 차이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클리디언 거리 평균값의 경우 비어두 위치의 평균 값이 어두 위치의 경우(평균값)보다 짧았지만, 20대와 40-50대화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전반적으로 비어두 위치에서의 /오/-/우/ 모음의 분포가 어두 위치보다 밀집되어 나타나지만, 비어두 위치에서는 40-50대 화자들보다 20대 화자들의 모음 분포가 훨씬 더 밀집되어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ybee, J. & Hopper P. (2001). Frequency and the emergence of linguistic structure.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 Chae, S. (1999). The core-periphery structure in the Korean lexicon reflected in a phonological variation and change.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5, 217-236. (채서영 (1999). 음운변화에 나타난 한국어 어휘의 층위구조.음성.음운.형태론연구, 5, 217-236.) 

  3. Cho, S. (2003). An acoustic study of Korean vowel system.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4, 427-441. (조성문 (2003).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에 대한 음향음성학적인 연구. 한국언어문화, 24, 427-441.) 

  4. Hay, J., Jennedy, S., & Mendoza-Denton, H. (1999). Oprah and /ay/: Lexical frequency, referee design and style.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San Francisco, August 1999, 1389-1392. 

  5. Han, J.- I. & Kang, H. (2013). Cross-generational change of o and u in Seoul Korean I: Proximity in vowel spa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5(2), 25-31. 

  6. Hwang, D. (2002). Letters on Wild Flowers. Seoul: Dosol. (황대권 (2002). 야생초편지. 서울: 도솔.) 

  7. Jang, H., & Shin, J. (2006). An acoustic study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 of the monophthongs in the Daegu Dialect. Malsori, 57, 15-30. (장혜진, 신지영 (2006). 대구 방언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음성학적연구. 말소리, 57, 15-30.) 

  8. Kang, H. & Han, J.-I. (2013). Cross-generational change of o and u in Seoul Korean II: Spectral interactions in normalized vowel spa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5(2), 33-41. 

  9. Kim, J. (2013). A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vowel production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5(2), 71-79. (김주연 (2013). 중국인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종단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5(2), 71-79.) 

  10. Moon, S. (2007). A fundamental phonetic investigation of Korean monophthongs. Malsori, 62, 1-17. (문승재 (2007). 한국어 단모음의 음성학적 기반연구. 말소리, 62, 1-17.) 

  11. Seong, C. (2004). An acoustic analysis on the Korean 8 monophthong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3(6), 454-461. (성철재 (2004). 한국어 단모음 8개에 대한 음향분석. 한국음향학회지, 23(6), 454-461.) 

  12. Wassink, A. (2006). A geometric representation of spectral and temporal vowel features: Quantification of vowel overlap in three linguistic varietie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19, 2334-2350. 

  13. Yang, B. (1996).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vowels produc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Journal of Phonetics, 24, 245-261. 

  14. Yun, J., & Seong, C. (2013). Effects of F1/F2 Manipulation on the perception of Korean vowels /o/ and /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5(3), 39-46. (윤지현, 성철재 (2013). F1/F2의 변화가 한국어 /오/, /우/ 모음의 지각판별에 미치는 영향. 말소리와 음성과학, 5(3), 39-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