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하천변 산림경관벨트 산림경관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경북 상주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est Landscape Master Plan for Riverside Forest Landscape Belt - Focusing on Sangju-si, Gyeongsangbuk-do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6 no.6, 2013년, pp.17 - 29  

김훈희 ((주)에이치스퀘어디자인웍스) ,  신지훈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importance of forest landscape as a visual resource has been increased, so it is emphasized that the necessity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through 'Forest landscape management master plan' and 'National Forest landscape belt'. As such,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for for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림자원이 가지는 경관적 측면의 가치를 높이고 산림경관 특성에 부합하는 관리계획 수립하고자 산림청(2012)의 산림경관관리지역 100여 개소 중 하천산림경관벨트내 산림경관관리지역인 경상북도 상주시에 포함된 낙동면 일대(R-2-2)를 대상으로 산림경관자원조사, 산림경관의 분석ㆍ평가를 통해 산림경관관리 계획 수립을 제안하였다(Figure 1, Table 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림경관관리를 위해 산림청(2012)이 선정한 100개소의 산림경관관리지역 중에서, 산림생태경관 자원분석, 산림경관 가시성분석, 연계자원분석,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산림경관의 조망 수요가 있거나 수요 창출 잠재력이 있는 곳으로 판단되는 경상북도 상주시를 대상으로 산림경관계획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산림경관자원 보전 및 이용, 관리를 위한 기본방향과 실행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대상지인 경상북도 상주시는 산림자원이 가지는 경관적 측면의 가치를 높이고 산림경관 특성에 부합하는 관리계획을 수립하고자 산림청(2008)이 산림경관관리지역 100여 개소 중 하천산림경관벨트 내 산림경관관리지역이다. 산림경관관리지역은 조망 잠재력이 있거나 경관관리가 필요한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산림경관을 복원 및 조성이용하기 위한 지역으로 본 연구의 경우 경상북도 상주시의 산림경관자원조사, 산림경관분석평가를 통해 산림경관관리 계획수립을 위한 기본방향과 실행방향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은 우리나라 국토의 몇%를 차지하는 자원인가? 산림은 우리 국토의 64%를 차지하는 자원으로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장소적 가치, 생태적 가치, 지역 커뮤니티를 포괄하는 관광과 휴양의 중요한 대상이며, 산림휴양에 대한 국민적 수요는 물론이고, 2008년 지리산 둘레길과 제주 올레길의 개통을 시작으로 자연 속에서의 도보여행에 대한 폭발적 관심과 수요는 자연경관으로 표현되는 산림의 효과적 관리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2009년 12월 산림청은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산림을 조성하고 관리하기 위해 ‘산림경관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산림경관관리의 체계화를 도모하고 있다(Kang and Kim, 2010).
산림경관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산림경관 관리와 관련하여 산림청에서는 산림경관관리를 위해 2006년부터 산림경관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산지경관유지를 위한 산지전용제도 개선방안 연구(2006), 산림 경관벨트 구축방안에 관한연구(2008), 산림경관서비스 지불제 도입에 관한 연구(2009) 및 산림경관관리 기본계획 수립 등 산림경관관리의 체계화를 실현하고 있다.
산림경관관리 기본계획의 수립 목적은 무엇인가? 산림은 우리 국토의 64%를 차지하는 자원으로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장소적 가치, 생태적 가치, 지역 커뮤니티를 포괄하는 관광과 휴양의 중요한 대상이며, 산림휴양에 대한 국민적 수요는 물론이고, 2008년 지리산 둘레길과 제주 올레길의 개통을 시작으로 자연 속에서의 도보여행에 대한 폭발적 관심과 수요는 자연경관으로 표현되는 산림의 효과적 관리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2009년 12월 산림청은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산림을 조성하고 관리하기 위해 ‘산림경관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산림경관관리의 체계화를 도모하고 있다(Kang and Kim, 2010). 산림경관관리 기본계획은 경관법 제8조(경관계획의 내용) 및 경관계획수립지침에 따른 ‘특정경관계획’ 중 산림경관계획의 수립과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라 산림자원으로써 산림경관에 대한 관련 계획 수립 시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계획으로 우수한 경관자원을 찾아내 보호․유지하고 훼손된 산림경관은 복원 또는 시대적 흐름에 맞게 경관을 창출하여 체계적으로 관리․발전시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i, J. Y.?Lee, D. G.?Lee, H. C. and KO, J. C. 2009. Pilot - Project Design on Introduction of Payment of Forest Landscape Service. Korean Environmanatal Restoration Technical. 12(6):pp. 112-12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Huh, J.?Kim, D. S.?Joo, S. H.?Kim, C. S. and Ahn, M. J. 2007. The Visual Preference for Damaged Mountainous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4):71-8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Kang, M. H. and Kim, S. I. 2010.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Forest Landscape Classification. Journal of Korea Forest Society 99(6):pp. 777-78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Kim, J. J. 2010. Study on the Local Officials' Awareness for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Journal of Korea Forest Society 99(4):pp. 603-61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Korea Forest Service. 2008. Study on the Forest landscape belt. (in Korean) 

  6. Korea Forest Service. 2011. Forest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operations manual. (in Korean) 

  7. Korea Forest Service. 2012. National Forest landscape belt build basic planning. (in Korean) 

  8.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3. Study of landscape planning criteria of zon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landscape. (in Korean) 

  9. Lee, G. G. and Park, C. W. 2012. A Zoning Method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by Visual Quality Assessment. Journal of Korea Forest Society 101(1):pp. 148-157. (in Korean) 

  10. Lee, J. G. and Kim, J. S. 2006. A Study on the Forest Scenery Preference. Korean Forest Society. pp. 435-436 (in Korean)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7. Research for the reference structure and direction of landscape planning. (in Korean) 

  12. Song, J. E.?Lim, C. Y.?Moon, B. H.?Kim, D. M.?Park, M. H.?Jung, J. S. and Lee, C. Y. 2011. Analysing Spatial Structure of Reserve Forest Lands by Forest-Landscape-Regions Using Morphological Spatial Pattern Analysis.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3(4):pp. 737-74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