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 경관 연결성 및 구조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
Analysis of Bird Diversity According to Landscape Connectivity and Structure of Urban Park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0 no.1, 2017년, pp.131 - 142  

송원경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unction of urban parks as wildlife habitat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urban park serves as a key area for preserving urban biod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bird species diversity in 30 parks in Cheonan city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influence of ve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관의 구조적 조건과 연결성이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경관생태학적 이론을 토대로 계획되었다. 도시 공원에 서식하는 조류의 종다양성에 도시공원의 구조와 식생, 연결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향후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에 활용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 본 연구는 경관의 구조적 조건과 연결성이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경관생태학적 이론을 토대로 계획되었다. 도시 공원에 서식하는 조류의 종다양성에 도시공원의 구조와 식생, 연결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향후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에 활용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지에 위치한 도시공원이 다른 토지이용에서 식재와 시설물 도입을 통해 공원으로 조성되는 경우 필요한 것은? 도시개발 과정에서 기존 산림이 도시공원으로 변화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평지에 위치한 도시공원은 다른 토지이용에서 식재와 시설물 도입을 통해 공원으로 조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경우 파편화라는 개념보다는 개발지역에 넓게 흩어져 분포하고 있는 녹지 패치들이 어떻게 서식지로서 기능하고 있는지에 대한 접근이 도시공원에 대한 서식지 연구에서 필요하다. 특히 도시계획을 통해 개발된 신도시의 경우 도시계획시설로서 공원의 생태적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현재 도시공원이 지니고 있는 서식지로서의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도시공원이란? 도시공원은 도시민의 쾌적한 이용과 도시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도시개발 과정에서 손실된 자연녹지의 환경·생태적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제까지 도시공원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시민의 이용 접근성, 편의시설, 운영 프로그램 등 인간 중심의 생태계서비스가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도시지역에서도 생물다양성 보존이 강조되는 국제적인 추세를 고려할 때(Shimazki et al.
그래프 이론이란? 공원별 주변 녹지 및 공원과의 연결성을 측정하기 위해 그래프 이론(Graph theory)이 적용된 구조적 연결성 평가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래프 이론은 패치를 노드(Node), 거리를 링크(Link)로 설명하여 연결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패치는 연구 대상지인 30개 도시공원을 포함하여 외곽 공원에서 1km 거리에 인접한 산림 및 도시공원을 포함하여 설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ibby, CJ . ND Burgess and DA Hill. 1997. Bird census technique. Academic press. London. 257pp. 

  2. Freeman, L.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 Networks 1(3): 215-239. 

  3. Hong, SH and JI Kwak. 2011.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by Vegetation Type of Paridae in Urban Fore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5): 760-766. 

  4. Jordan F..A. Baldi.K.M. Orci.I. Racz and Z. Varga. 2003. Characterizing the importance of habitat patches and corridors in maintaining the landscape connectivity of a Pholidoptera transsylvanica (Orthoptera) metapopulation. Landsc. Ecol. (18): 83-92. 

  5. Kang, WM and CR Park. 2011. Quantitative Analysis of Seoul Green Space Network with the Application of Graph Theory. Kor. J. Env. Eco. 25(3): 412-420. 

  6. Kang, WM and CR Park. 2015. Corridor and Network Analyses of Forest Bird Habitats in a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3): 191-201. 

  7. Kim, B.U Yeo.D Oh and K Sung. 2015. Effects of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Bird Appearance: Focused on The Nakdong River Estuary. J. Environ. Impact Assess. 24(3): 287-299. 

  8. Kim, HS and CH Oh. 201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y in Rural Village of Korea. Kor. J. Env. Eco. 25(3): 389-403. 

  9. Kim, J and TH Koo. 2003. Influence of the Eco-park Development on Bird Community in Urban Stream.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6(3): 97-102. 

  10. Kim, J.GD Moon and TH Koo. 2004.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e in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7(1): 19-29. 

  11. Kwak, JI.KJ Lee and BH Han. 2010. Study o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 for Wildbirds' Appearance in Urban Area around Urban Green Ax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2): 166-177. 

  12. Lee, DK and EY Kim. 2008. Management Plan of Relationship between Land Development and Forest Fragmentation i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6): 37-47. 

  13. Lee, DK and EY Kim.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mpact Assessment Model of Forest Vegetation by and Development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2(6): 123-130. 

  14. Lee, DK.EY Kim.EJ Lee and WK Song. 2010. Impact Assessment Model of Bird Species for Land Develop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3): 347-356. 

  15. Lee, DK.EY Kim and KS Oh. 2005a.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by Considering Patch Size, Connectivity and Ed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8(5): 56-67. 

  16. Lee, DK.SW Yoon.EY Kim, SW Jeon and JY Choi. 2005b.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y Indicators for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6): 14-22. 

  17. Lee, KJ.BH Han and SD Lee. 2004. Ecological Management Plan and Biotope Structure of Namsan Urban Natural Park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5): 102-118. 

  18. Lee, S.J Kim and H Min. 2002. A Study on Habitat for Multiplication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Korean.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5(3): 143-155. 

  19. Lee, WS.TH Koo and JY Park. 200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Seoul : LG Evergreen Foundation. 

  20. Minor, E. and D. Urban. 2007. Graph Theory as a Proxy for Spatially Explicit Population Models in Conservation Planning. Ecol. Appl. 17(6): 1771-1782. 

  21. R Core Team. 2016.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URL https://www.R-project.org/. 

  22. Rhim, SJ. 2008.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Coniferous Forests of Mt. Namsan and Gwangneung Area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3): 332-337. 

  23. Rhim, SJ.JY Lee and JH Kang. 2007. Characteristics of Habitat Structure and Bird Communities between a Natural Deciduous Forest and the Road Area in Gwangneung,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1): 47-54. 

  24. Saura, S. and J. Torne. 2009. Conefor Sensinode 2.2: a software package for quantifying the importance of habitat patches for landscape connectivity.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24: 135-139. 

  25. Saura, S. and L. Pascual-Hortal. 2007. A new habitat availability index to integrate connectivity in landscape conservation planning: Comparison with existing indices and application to a case stud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3: 91-103. 

  26.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Reprinted with corrections from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7: 379-423, 623-656. 

  27. Shimazaki, A.Y. Yamamura.M. Senzaki.Y. Yabuhara.T. Akasaka and F. Nakamura. 2016. Urban permeability for birds: An approach combining mobbing-call experiments and circuit theory.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9: 167-175. 

  28. Song WK.EY Kim and DK Lee. 2012. Measuring Connectivity in Heterogenous Landscapes: a Review and Applic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3): 391-407. 

  29. Song WK.EY Kim and DK Lee. 2013. Habitat Connectivity Assessment of Tits Using a Statistical Modeling: Focused on Biotop Map of Seoul,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3): 219-230. 

  30. Song, WK. 2015. Analysis of Bird Species Diversity Response to Structural Conditions of Urban Park: Focused on 26 Urban Parks in Cheonan C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3): 65-77. 

  31. Teetor, P. 2012. R Cookbook: Proven Recipes for Data Analysis, Statistics, and Graphics. O'Reilly Media Inc., CA. 

  32. Turner, MG. 1989. Landscape ecology: the effect of pattern on proces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0: 171-197. 

  33. You, S.B Byun and S Kim. 2012.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Population and Industrial Structure due to Residential Development: A Case of Cheonan-Si and Asan-Si.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6(4): 415-4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