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질적분석
Qualitative Analysis the Family Resilience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1 no.6, 2013년, pp.603 - 612  

유순희 (울산광역시 건강가정지원센터) ,  정민자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increase of single-parent families in the Korean society, the perception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family is changing. Thus, a public transition toward embracing single-parent families as another form of family is necessary. This study focuses on the families of divorced femal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Walsh [28]의 가족 레질리언스 이론을 근거로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을 조망하여 레질리언스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강점(strength)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참여자와 심층 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선행 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한 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Walsh [28]의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틀을 근거한 강점(strength)관점에 기초한 건강 개념으로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을 조망하여,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이 지속적으로 레질리언스를 유지·강화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는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강점(sterngth)중심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할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Walsh [28]의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틀-가족 신념체계(역경에 대한 의미부여, 긍정적 시각, 초월과 영성). 조직유형(융통성, 연속성, 사회 및 경제적자원).

가설 설정

  • 3.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원가족 위기와 레질리언스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부모가족이란? 최근 우리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급격한 변화중의 하나는 한부모가족의 증가현상이다. 한부모가족이란 ‘이혼, 별거, 사망, 유기 등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 양친 중 한쪽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을 말한다[14].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2012년 이혼 건수는 11만 4천 건, 조이혼율은 인구 천 명당 2.
이혼 증가의 사회적 배경인 것은? 3건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 기준 남성 한부모가족은 22%, 여성 한부모가족은 78%로 여성 한부모가족이 현저히 많음을 알 수 있다[26]. 이혼 증가의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면 이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여성의 경제적 자립, 결혼에 대한 의미 변화, 자녀수의 감소, 법 제도의 변화, 이혼에 대한 시각과 남녀 성역할의 변화이다[22].
여성 한부모의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받는 요인은? 현재 우리사회는 이혼의 증가를 가족의 ‘해체’ 로 간주하고 문제시하는가 하면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가족 형태의 출현’으로 접근하는 관점이 상존하고 있다.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은 주 소득원이었던 배우자 상실로 인한 경제적 문제와 생활상의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고, 결혼 관계가 해체되면서 배우자와 관련된 사회 관계망과 그밖에 다른 사회 관계망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심리적으로 위축되거나 고립되게 된다[21]. 특히 여성 한부모는 걱정을 많이 하고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며, 상담이나 심리 치료를 받아야 하는 상황에 처한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1, 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BC News. (2003, January 6). The formula for happiness. BBC News. Retrieved from http://news.bbc.co.uk/2/hi/health/2630869.stm 

  2. Choi, M. S., Ryu, J. A., & Park, H. J. (2007). A study on singleparent-families with female as a head of the family: Focused on psychological.emotional & social.economical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2(3), 75-95. 

  3. Greeff, A. P., & Van Der Merwe, S. (2004). Variables associated with resilience in divorced famil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68(1), 59-75. 

  4. Hawley, D. R. (2000). Clinical implications of family resilience.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8(2), 101-116. 

  5. Hawley, D. R., & DeHaan, L. (1996). 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 35(3), 283-298. 

  6. Hutchinson, S. L., Afifi, T., & Krause, S. (2007). The family that plays together fares better: Examining the contribution of shared family time to family resilience following divorce.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46(3/4), 21-45. 

  7. Im, Y. M. (2007).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adaptation of divorced single mother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8. Jeon, W. G. (2003). Korean average happiness index is 64.13 points. Weekly Dong-A, 371, 20-22. 

  9. Kim, A. J. (2005).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family stress of single-parent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10. Kim, E. J. (2007). The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in foster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11. Kim, H. S. (2010). The medi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family resilience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2. Kim, J. H. (2007). A Study on variables influencing single parents' adaptation: Based on double ABC-X model of Mccubbi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J. Y. (2010).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 of a program designed to strengthen resilience of families with alcohol dependent memb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K. S. (2010). Influences of family resilience on th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in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The case of residents in the institutional facilities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Korea. 

  15. Kim, M. A., & Kim Y. H. (2009). A case study on family therapy of the dysfunction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Welfare Counseling, 4(1), 79-99. 

  16. Kim, M. J. (2009). Qualitative research o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family resilience: Focused on Ulsan metropolit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17. Kim, S. K. (2011). A study on the processes of determining the continuance of marital status by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Y. C.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I. Seoul: Moonumsa. 

  19. Kim, Y. S. (1998). Theory and practice of family therapy. Seoul: Hakjisa Publisher. 

  20. Lee, I. (2004).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family psycho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of family resilience: Targeted the family with mental illness childre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9(2), 221-239. 

  21. Lee, I. S. (2009). The effects of mentoring network of single mothers with dependent children on mentoring function and empower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1(4), 61-84. 

  22. Ok, S. H., Jung, M. J., & Ko, S. J. (2005). Marriage and family. Seoul: Hawoo. 

  23. Park, I. J. (2007). A case study on the family resilience of Korean divorced child: Focused on the family proc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4. Rothewell, C., & Cohen, P. (2003). Happiness is no laughing matter. PeteCohen.com. Retrieved from http://www.petecohen.com/microsites/happiness/index.html 

  25. Ryan, G. W., & Bernard, H. R. (2000).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 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pp. 769-802).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6. Statistics Korea. (2010). Marriage divorce statistics. Statistics Korea. Retrieved April 1, 2013,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7. Valentine, L., & Feinauer, L. L. (1993). Resilience factors associated with female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1(3), 216-224. 

  28. Walsh, F. (2006).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O. K. Yang & M. K. Kim, Trans.). Paju: Nanam Publishing House.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29. Wang, H., & Amato, P. R. (2000). Predictors of divorce adjustment: Stressors, resources, and defini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3), 655-668. 

  30. Whiteside, M. F. (1998). The parental alliance following divorce: An overview.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4(1), 3-24. 

  31. Yang, O. K., & Choi, M. M. (2001). Korean's Han and resilience: Application to mental health social work. Mental Health & Social Work, 11, 7-29. 

  32. Yi, J. Y. (2008). Influence of low-income single female parent's social network on isolation: Centering on alienation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