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노인 주 부양자에게 적용한 가족탄력성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the Family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1, 2016년, pp.71 - 82  

방미란 (경동대학교 간호학부) ,  김옥수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FRRP)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on the family resilience, caregiver burden, family adapt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Methods: FRRP was implement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이 치매노인 주 부양자의 가족탄력성, 부양부담, 가족적응, 지각된 건강상태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 주 부양자에게 가족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여 가족탄력성, 부양부담, 가족적응, 지각된 건강상태 및 우울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치매노인 주 부양자에게 가족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여 가족탄력성, 부양부담, 가족적응, 지각된 건강상태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간호중재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탄력성이란 무엇인가?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이란 가족의 잠재적인 회복과 성장을 확신하며 가족이 혼란스러운 도전을 견디고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게 하는 상호작용적인 과정을 의미한다[6]. 최근 치매 환자 가족부양자가 힘든 상황에도 잘 적응하고 스스로 해결방법을 찾는 이른바 가족의 강점을 강조하는 가족탄력성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7-10].
Kwon의 부양부담 도구는 어떤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부양부담은 Kwon[22]이 개발한 부양부담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28문항으로 사회적 활동제한 6문항, 노인주 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 7문항, 가족관계의 악화 5문항, 심리적 부담 4문항,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 3문항, 건강상의 부담 3문항의 6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5점 Likert 척도로 최저 28점에서 최고 14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부양부담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치매 환자 가족의 부담감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치매의 만성적이고 비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치매노인 가족 역시 시간이 갈수록 더욱 힘든 부양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족은 소진되며 결국 가족이 해체되는 위기까지 직면할 수 있다. 이에 치매 환자 가족의 부담감을 줄이기 위한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 휴식 프로그램, 치매 간호방법에 대한 교육, 복합적 심리교육 프로그램[4], 행복 더하기 프로그램[5] 등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이 시도되었다. 하지만 치매가 장기간 가족의 지속적인 보호를 요구하는 질환 임을 고려할 때 이러한 일시적이고 단기간의 서비스 제공보다는 가족의 내재된 강점에 초점을 둔 가족탄력성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치매 환자 가족의 내재된 강점을 발견하고 강화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Internet]. Seoul: author; 2013 [cited 2015 July 29].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86138&page1 

  2. Papastavrou E, Kalokerinou A, Papacostas SS, Tsangari H, Sourtzi P. Caring for a relative with dementia: family caregiver burd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58(5):446-57.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250.x 

  3. Suh KH, Chun KI. The moderat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family caregivers' burdens and health and quality of life with demented patient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009;15(3):339-57. 

  4. Park MH, Park MH, Kim HH. Effects of a multimodal psychoeducational program on burden, depression, and problem coping behaviors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5;17(1):10-9. http://dx.doi.org/10.17079/jkgn.2015.17.1.10 

  5. Song EJ, Jo HK. Effects of "Happy Plus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on sleep, depression,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4;23 (2):49-59. http://dx.doi.org/10.12934/jkpmhn.2014.23.2.49 

  6. Walsh F.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Press; 1998. p. 1-338. 

  7. Yoo YS.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adaption of the family with the elderly dementi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7;38:31-50. 

  8. Kim SD, Kim YH.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the dementi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9;45:7-31. 

  9. Jang HY, Yi MS. Effects of burden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family adaptation of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6):725-35. http://dx.doi.org/10.7475/kjan.2012.24.6.725 

  10. Lee YK, Jung MH.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3;61:111-34. 

  11. Lee HJ, Lee JW, Lee JY.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015;26(1):345-67. http://dx.doi.org/10.16881/jss.2015.01.26.1.345 

  12. Oh H, Sok SH. Health condition, burden of caring,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members of the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9;18(2):157-66. 

  13. Yang MH, Yoon GJ.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 program designed to strengthen family resilience of in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2; 50(1):121-39. http://dx.doi.org/10.6115/khea.2012.50.1.121 

  14. Min H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amily resiliency improvement program for improving family adaptation of person with brain injury [dissertation]. Pusan: Kyungsung University; 2007. p. 1-206. 

  15. Lim HS, Han KS. Effects of the family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for families of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133-42. http://dx.doi.org/10.4040/jkan.2013.43.1.133 

  16. Seok HK, Choi JS. Family resilience enhancement for families with elders affected by dementia.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2015;23(3):499-523. 

  17. Huey WT, Hashim S. A resilience training module for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SHS Web of Conferences. 2015; 18(05001):1-8. http://dx.doi.org/10.1051/shsconf/20151805001 

  18.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9. Sixbey MT. Development of the family resilience assessment scale to identify family resilience constructs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University of Florida; 2005. p. 1-171. 

  20. Kim EJ. The influence of family stress on the personal and social performance in schizophrenia: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p. 1-133. 

  21. Song SI. A study on adaptation of the family with mental disorder: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Journa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2010;16(2):133-55. 

  22. Kwon JD. Measuring the caregiver burden of caring for the demented elderly. Yonsei Social Welfare Review. 1996;3:140-68. 

  23. Antonovsky A, Sourani T. Family sense of coherence and family adapt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1988;50(1): 79-92. http://dx.doi.org/10.2307/352429 

  24. Song JK. Strength and adaptation in families with epileptic children.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2009;17(1):145-65. 

  25.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385-401. http://dx.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6. Chon KK, Lee MK.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2;11(1):65-76. 

  27. Kim JY, Choi JW.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he filial responsibility attitude and care burden of the family with the elderly with dementia upon the changes of family relation. Korean Thought and Culture. 2011;60:495-525. 

  28. Ahn YS, Jun HJ. The effects of alcoholic family's family resilience on family adapta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10; 15(3):155-74. 

  29. Cheon SH.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entrapment,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women as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dementia elder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3):285-93.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3.285 

  30. Suh KH, Chun KI. The moderat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family caregivers' burdens and health and quality of life with demented pati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2009;15(3):339-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