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근 강화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on Pulmonary Function and Gait Abilit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8 no.4, 2013년, pp.489 - 496  

김진석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신원섭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on pulmonary function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METHODS: Eighteen in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선행연구의 대상자들은 대부분 만성 뇌졸중 환자들로 뇌졸중 발병 후 심폐기능이 급격히 나빠지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흡기근과 호기근을 강화시키는 호흡근 강화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과 보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뇌졸중 환자들은 발병 후 7주 이내에 심폐 기능에 손상을 받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심폐 기능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들 대상으로 호흡근 강화 훈련을 통한 폐기능과 보행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호흡근 강화 훈련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심폐 기능과 보행지구력 같은 보행 수행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년 전 세계적으로 몇 명이 뇌졸중을 경험하는가? 뇌졸중은 장기간의 장애를 발생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질병 중의 하나로 매년 전 세계적으로 150만명이 경험을 하게 되며, 그중 1/3에서 장애가 남게 된다(Geyh 등, 2004; Koivusalo과 Mackintosh, 2008). UN의 인구 추정치에 따르면 뇌졸중의 새로운 발생 수는 2025년까지 계속 증가할 것이며, 뇌졸중 인구의 35%가 65세 이상이기 때문에 인구 통계학적 변화에 비례하여 더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 했다(Rosamond 등, 2007; Truelsen 등, 2006).
폐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측정한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폐기능 검사는 앉은 자세에서 실시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들의 폐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폐활량 측정기(Spirobank G, Medical International Research, Ital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폐기능 지표 중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최대 수의적 환기량(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을 측정하였다. 1초간 노력성 호기량과 노력성 폐활량은 폐의 기능을 평가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며(Roth 등, 1995).
호흡의 재훈련의 목적은? 호흡의 재훈련은 횡격막의 정상적인 위치와 기능 회복, 무호흡의 감소, 호흡률의 감소, 흉벽 움직임의 향상, 호흡시 안정된 기도확보, 운동 수행능력의 증가를 목적으로 한다(Sezer 등, 2004; Troosters 등, 2005). 미국 심혈관 호흡재활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Rehabilitation Committee)에서는 심폐 재활의 한 부분으로 흡기근 훈련을 추천하였다(Geddes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rown R, DiMarco AF, Hoit JD, et al. Respiratory dysfunction and management in spinal cord injury. Respir Care. 2006;51(8):853-68. 

  2. Chen CF, Lien IN, Wu MC. Respirat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effects of posture. Paraplegia. 1990;28(2):81-6. 

  3. Crapo RO, Casaburi R, Coates AL, et al. ATS statement:guidelines for the six-minute walk test.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166(1):111-7. 

  4. da Cunha IT, Lim PA, Qureshy H, et al. Gait outcomes after acute stroke rehabilitation with supported treadmill ambulation training: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2;83(9):1258-65. 

  5. Fairbarn MS, Blackie SP, McElvaney NG, et al. Prediction of heart rate and oxygen uptake during incremental and maximal exercise in healthy adults. Chest. 1994;105(5):1365-9. 

  6. Franceschini M, Carda S, Agosti M, et al. Walking after stroke:What does treadmill training with body weight support add to overground gait training in patients early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09;40(9):3079-85. 

  7. Geddes EL, Reid WD, Crowe J, et al.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 adul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Respir Med. 2005; 99(11):1440-58. 

  8. Geyh S, Cieza A, Schouten J, et al. ICF Core Sets for stroke. J Rehabil Med. 2004;44 Suppl):135-41. 

  9. Goldie PA, Matyas TA, Evans OM. Deficit and change in gait velocity during rehabilit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6;77(10):1074-82. 

  10. Gosselink R, Houtmeyers E. Physiotherapy. Eur Respir Monogr. 2000;13:70-89. 

  11. Harvey RL, Roth EJ, Yu D. Rehabilitation in stroke syndrome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Philadelphia; Saunders Elsevier. 2007:1175-212. 

  12. Hill K, Ellis P, Bernhardt J, et al. Balance and mobility outcomes for stroke patients: a comprehensive audit. Aust J Physiother. 1997;43(3):173-80. 

  13. Kelly JO, Kilbreath SL, Davis GM, et al.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walking abilit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2):1780-5. 

  14. Kim J, Davenport P, Sapienza C. Effect of ex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on elderly cough function. Arch Gerontol Geriatr. 2009;48(3):361-6. 

  15. Koivusalo M, Mackintosh M. The World Health Report 2007: A safer Future: Global Public Health Security in the 21st Century. Development and Change 2008; 39(6):1163-9. 

  16. Lanini B, Bianchi R, Romagnoli I, et al. Chest wall kinematics in patients with hemiplegi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3;168(1):109-13. 

  17. Letombe A, Cornille C, Delahaye H, et al. Early post-stroke physical conditioning in hemiplegic patients: A preliminary study. Ann Phys Rehabil Med. 2010; 53(10):632-42. 

  18.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34-9. 

  19. Mackay-Lyons MJ, Makrides L. Exercise capacity early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2):1697-702. 

  20. Miller MR, Hankinson J, Brusasco V, et al. Standardisation of spirometry. Eur Respir J. 2005;26(2):319-38. 

  21. Pang MY, Eng JJ, Dawson AS, et al. The use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improving aerobic capacity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meta-analysis. Clin Rehabil. 2006;20(2):97-111. 

  22. Pang MY, Eng JJ, Dawson AS. Relationship between ambulatory capacity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chronic stroke: influence of stroke-specific impairments. Chest. 2005;127(2):495-501. 

  23. Portney L, Wakin M. Foundation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3r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2008. 

  24. Ries AL. The importance of exercise in pulmonary rehabilitation. Clin Chest Med. 1994;15(2):327-37. 

  25. Rosamond W, Flegal K, Friday G, et al.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07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atistics Committee and Stroke Statistics Subcommittee. Circulation. 2007; 115(5):e69-171. 

  26. Roth EJ. Heart disease in patients with stroke. Part II: Impact and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4;75(1):94-101. 

  27. Roth EJ, Noll SF. Stroke rehabilitation. 2. Comorbidities and complications. Arch Phys Med Rehabil. 1994;75(5 Spec No):S42-6. 

  28. Roth EJ, Nussbaum SB, Berkowitz M, et al. Pulmonary function testing in spinal cord injury: correlation with vital capacity. Paraplegia. 1995;33(8):454-7. 

  29. Salbach NM, Mayo NE, Higgins J, et al. Responsiveness and predictability of gait speed and other disability measures in 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9):1204-12. 

  30. Sezer N, Ordu NK, Sutbeyaz ST, et al. Cardiopulmonary and metabolic responses to maximum exercise and aerobic capacity in hemiplegic patients. Funct Neurol. 2004;19(4):233-8. 

  31. Sutbeyaz ST, Koseoglu F, Inan L, et al.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mproves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tolerance in subjects with subacute stroke: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0;24(3):240-50. 

  32. Teixeira-Salmela LF, Parreira VF, Britto RR, et al. Respiratory pressures and thoracoabdominal motion in communitydwelling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10):1974-8. 

  33. Troosters T, Casaburi R, Gosselink R, et al.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5;172(1):19-38. 

  34. Truelsen T, Piechowski-Jozwiak B, Bonita R, et al. Stroke incidence and prevalence in Europe: a review of available data. Eur J Neurol. 2006;13(6):581-98. 

  35. van der Palen J, Rea TD, Manolio TA, et al.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the risk of incident cardiovascular events. Thorax. 2004;59(12):1063-7. 

  36. van Schalkwyk EM, Schultz C, Joubert JR et al. Guideline for office spirometry in adults. S Afr Med J. 2004;94(7 Pt 2):576-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