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복궁 석조조형물의 재질 및 손상특성 분석
Material and Deterior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Stone Sculptures in Gyeongbokgung Royal Palace, Seoul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9 no.4, 2013년, pp.407 - 420  

김지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영훈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복궁 석조조형물은 주로 화강암(884점, 96.7%)과 대리암(25점, 2.7%)으로 구성되었으며, 다양한 산지의 석재가 혼용되어 조성되었다. 이 석조조형물에서 나타나는 주요 손상은 균열(24%), 탈락(21%), 박리박락(36%), 입상분해(9%) 및 흑색변색(20%)으로써, 균열과 탈락은 높은 물리적 손상도에, 흑색변색은 높은 변색 손상도에 주로 기여하는 손상유형이다. 구역별로는 경회루(3등급 55%), 근정전(3등급 29%) 및 품계석(3등급 11%) 구역의 석조조형물에서 상대적으로 손상도가 높아 이들을 우선관리대상으로 설정하여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정기모니터링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품계석은 대리암으로 구성되어 외부환경에 노출될 시 풍화민감도가 크므로 강우와 일사를 제어할 수 있는 보호시설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one sculptures in Gyeongbokgung Royal Palace are mainly composed of granite (884 sculptures, 96.7%) and marble (25 sculptures, 2.7%) that originated in several different quarries. Main deterioration forms are crack (24%), break-out (21%), exfoliation (36%), granular disintegration (9%) and b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정밀진단법은 경복궁 석조조형물과 같이 부재의 수량이 매우 많은 석조문화재에 적용하기에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많아 연속적인 정기모니터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조형물의 손상도와 손상유형을 단순화된 기준에 따라 간략하게 기재하고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손상특성을 고찰하였다. 이 결과는 경복궁 석조문화유산의 육안적 손상 기록화뿐만 아니라 과학적 보존관리에 응용할 수 있으며, 장기적이고 효율적인 보존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복궁은 어떻게 소실되었는가? 경복궁은 태조 4년(1395)에 창건되어 세종대에 법궁의 격을 갖추기 위해 여러 건물군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명종 8년 (1553) 9월 14일에 일어난 대화재로 인해 근정전을 제외한 대부분의 전각이 불에 타버렸다. 명종 10년(1555)에 다시 재건되었으나 반세기도 지나지 않아 임진왜란으로 전부 소실되었다(Korea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2012).
경복궁은 행정구역상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경복궁은 행정구역상 서울시 종로구 사직로에 소재하고, 한양 도성의 북쪽에 위치한다. 조선의 정궁으로서 동쪽에 낙산, 창덕궁, 종묘, 서쪽에 인왕상, 남쪽에 남산, 북쪽에 북악산이 자리한다.
경복궁 석조조형물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어떤 관점에서 이루어졌는가? 경복궁 석조조형물에 대한 연구는 주로 미술사 및 건축사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석물의 배치원리, 상징성 및 조성시기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Cho, 1997; So, 2000; Lee, 2006; Bae, 2007; Lee, 2011). 인문학적 선행연구에 따르면 석조조형물은 대부분 고종대(1863〜1907)에 경복궁 재건 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일부 부재는 기존의 석물을 재사용하여 조성되었을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Lee,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M.G., 2007, A study on the symbolism of stone sculptures of animal of the Royal Palace. Master thesis, Dongguk University, 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edecker, P.A., Reddy, M.M., Reimann, K.J. and Sciammarella, C.A., 1992, Effects of acidic deposition on the erosion of carbonate stone - experimental results from the U.S. National Acid Precipitation Assessment Program (NAPAP). Atmospheric Environment Part B Urban Atmosphere, 26, 147-158. 

  3. Cho, E.J., 1997, A study on the imperial sculptures in the 19th to 20th century. Journal of Korean modern art studies, 5, 178-237. (in Korean) 

  4. Eppes, M.C. and Griffing, D., 2010, Granular disintegration of marble in nature: A thermal-mechanical origin for a grus and corestone landscape. Geomorphology, 117, 170-180. 

  5. Feddema, J.J. and Meierding, T.C., 1987, Marble weathering and air pollution in Philadelphia. Atmospheric Environment, 21, 143-157. 

  6. Fitzner, B. and Heinrichs, K., 2004, The Bangudae petroglyph in Ulsan, Korea: studies on weathering damage and risk prognosis. Environmental Geology, 46, 504-526. 

  7. Kim, J., Lee, C.H., Kim, R.H. and Shin, E.J., 2013, Characterization of White and Black Deposits on the Surface of Korean Stone Cultural Heritages. Microscopy and Microanalysis, 19, 167-171. 

  8. Kim, J., Lee, M.S. and Lee, C.H., 2013,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Daejiguksatapbi (State Preceptor Daeji's Memorial Stele) in Samcheonsaji Temples Site, Seoul.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6, 93-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orea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2012, A Development Study on the Academic Research of Gyeongbokgung Stone Art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6-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C.H., Jo, Y.H. and Kim, J., 2011, Damage evalu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enth century Korean rock-carved Buddha Statues. Environmental Earth Science, 64, 1-14. 

  11. Lee, C.H., Kim, J. and Lee, M.S., 2010, Petrograph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Archaeometry, 52, 31-44. 

  12. Lee, C.H., Lee, M.S., Kim, Y.T. and Kim, J.Y., 2006, Deterioration assessment and conservation of a heavily degraded Korean stone Buddha from the 9th Century. Studies in Conservation, 51, 305-316. 

  13. Lee, K.G., 2006, Gyeongbokgung Royal Palace. Deawonsa Publishing, 4-143. (in Korean) 

  14. Lee, S.J., 2011, A Study on the Stone Step Parapet Sculptures of the Geunjeonjeon Hall of the Gyeongbok Palace.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72, 237-260. (in Korean) 

  15. Malaga-Starzec, K., Akesson, U., Lindqvist, J.E. and Schouenborg, B., 2006, Microscopic and ma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the porosity of marble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impregna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 939-947. 

  16. So, J.G., 2000, Stone sculptures in stone basement terrace. Survey report on Geunjeongjeon,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1-389. (in Korean) 

  17.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2001, Research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one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1-1068. (in Korean) 

  18. Uchida, E., Cunin, O., Suda, C., Ueno, A. and Nakagawa, T., 2007, Consider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sandstone quarries during the Angkor period based o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4, 924-9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