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재질분석과 표면상태 변화 모니터링
Material Analysis and Surface Condition Monitoring of Standing Buddha Statue in the Gwanchoksa Temple, Nonsan,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8 no.4, 2019년, pp.227 - 236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최명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유지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안유빈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중립 내지 조립질의 흑운모 화강섬록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불의 제작 시기 및 장소에 대해 고문헌에 반야산의 서북쪽에서 제작되어 동쪽으로 이동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채석지가 명확하다. 또한 석불과 주변 기반암의 암상, 조직, 전암대자율 및 감마스펙트로미터 비교 결과, 모두 유사한 특성으로 보여 동일한 기원의 암석으로 판단된다. 이 석불에서 관찰되는 표면오염물에 의한 훼손은 환경적인 요인과 보수물질의 노후에 의한 복합적 요인이 발생하는 것이며, 2007년 제거작업 이후에도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의 경우 석조문화재의 표면에 생물학적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 착생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며, 곰팡이와 공생체를 이루어 이차적으로 지의류의 착생 가능성이 있어 위치 및 분포 범위에 대한 변화 관찰이 요구된다. 또한 노후된 보수물질은 염의 정출에 따른 오염물 발생, 탈락으로 인한 결합력 저하 등으로 이차적인 훼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보존관리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dium to coarse-grained biotite granodiorite was used to build the Standing Buddha Statue in the Gwanchoksa temple. An ancient document revealed the period and place of constructing the statue: it was made in the northwest of Mt. Banyasan and then moved eastward. Also, the comparison of standing Bu...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재질특성과 표면 상태 변화 모니터링을 위하여 과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석불과 주변 기반암은 모두 중립 내지 조립질의 흑운모 화강섬록암으로, 대자율과 감마스펙트로미터 측정 결과가 유사한 영역 내에 도시되어 동일한 기원의 암석으로 판단된다.
  • 이 논문은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수행한 국가지정 심의대상 문화재의 과학적 조사 결과를 보완하여 정리한 것이다. 논문 심사과정에서 건설적인 비평과 유익한 조언으로 논문의 오류와 부정확한 표면을 바로잡아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 이 연구에서는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구성암석에 대한 재질특성을 규명하고 비파괴 기법을 활용한 석불의 오염물 피복상태 파악 및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우선 석조미륵보살입상의 보존이력, 선행연구 및 현황을 파악하고 석불입상의 구성암석과 주변 및 기반암의 재질분석을 위해 육안관찰과 아울러 전암대자율과 감마스펙트로미터를 측정하였다.
  • 대자율은 암석의 생성 시 자성광물 함유량, 구조 및 측정환경에 영향을 받으나 동일 마그마 기원의 암석은 유사한 값의 분포를 보인다. 이에 석불의 재질특성과 석불, 기반암, 2007년 복원된 신부재를 대상으로 유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어느 시대의 석조문화재인가?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충남 논산시 은진면에 있는 관촉사 내에 위치하며, 2018년에 보물 제 218호에서 국보 제323호로 승격된 고려시대의 석조문화재이다. 이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 19년(968년)에 관촉사의 창건과 함께 조성된 석불로 기반암 위에 대좌를 따로 만들지 않고 자연암반 위에 7개의 별석을 이용하여 조성되어 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체계적인 보존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보존처리 전에 수행된 것으로 보존처리 후 석불입상의 상태변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석불입상의 체계적인 보존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보존처리 이후 발생하는 훼손도의 변화를 파악하고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충남 논산시 은진면에 있는 관촉사 내에 위치하며, 2018년에 보물 제 218호에서 국보 제323호로 승격된 고려시대의 석조문화재이다. 이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 19년(968년)에 관촉사의 창건과 함께 조성된 석불로 기반암 위에 대좌를 따로 만들지 않고 자연암반 위에 7개의 별석을 이용하여 조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Y.B., Lee, M.S., Yoo, J.H. and Choie, M.J., 2019, Stone Cultural Heritages Monitoring for Field Application with Hyperspectral Image Analysis. The 49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31-32. (in Korean) 

  2. Appolonia, L., Bruni, V., Cossu, R. and Vitulano, D., 2006, Computer-aided monitoring of buildings of historical importance based on color.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7, 85-91. 

  3. Chang, T.W. and Hwang, J.H., 1980, Geological map and explanation of Nonsan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Natural Resource and Development, 1-32. 

  4. Choi, S.E., 1992, Discussion of sculpture in area of the Baegje Kingdom-Focused on late Unified Shilla Kingdom to early Koryo dynasty. Sculpture and Fine Art in Baegje Kingdom, Kongju National University Museum, 211-226. (in Korean) 

  5. Choi, S.J., 2000, A Studies on the stone Buddha in Gwanchoksa temple of Koryo dynasty. Journal of Fine Art History in Korea, 14, 3-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un, Y.G., Lee, J.M., Lee, M.H., Park, S.M., Lee, S.M. and Lee, M.S., 2014, Long Term Monitoring of Deterioration Condition for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Seos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4), 439-4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9, National Cultural Heritage Portal, www.heritage.go.kr (September 30, 2019). 

  8. Hwang, S.Y., 1973, Art of Korea. 5, Donghwachulpangongsa, 1-150. (in Korean) 

  9. Jwa, Y.J., Lee, S.W., Kim, J.S. and Sohn, D.W., 2000, Source area of stones used for the stone buildings of 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Grott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6, 335-3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ang, D.J., 2003,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Visual C++. Scitechmedia, 2. (in Korean) 

  11. Kim, L.N., 1985, A study on stone Buddha in Koryo dynasty. Korean Journal of Archaeological Fine Arts, 166-167, 57-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C.H., Kim, Y.T. and Lee, M.S., 2007,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Jo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183-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M.S., Ahn, Y.B., Yoo, J.H., Choie, M.J., Kim, Y.R. and Chun, Y.G., 2018, Long Term Monitoring of Deterioration Condition for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Seoak-ri (Gyeongju) using Image Analysis. The 47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145-146. (in Korean) 

  14. Lee, M.S., Chun, Y.G. and Kim, J., 2016, Study for Selection of Replica Stone of the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t Yeoju Godalsa Temple Site using Magnetic Susceptibility.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5, 299-3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M.S., Yoo, J.H. and Kim, J., 2018, Source rock investigation for the Gyeongju Seated Stone Buddha with Square Pedestals in the Blue House using nondestructive petrological analysi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4, 567-5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Mercede, M and Cossu, R., 2007, Decay regions segmentation from color images of ancient monuments using fast marching method.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8, 170-175. 

  17. Nonsan City, 2007,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roject of Standing Buddha Statue in the Gwanchoksa Temple. 1-52. (in Korean) 

  18. Park, S.C., Moon, S.W., Kim, S.D. and Jwa, Y.J., 2015, A petrological study of stones used in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Journal of Petrology Society Korea, 24, 1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Shin, E.Y., 2015,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Icon and the Name of the Standing Stone Bodhisattva Statue of Gwanchoksa Temple and the Earnest Wishes of the People. The Review of Korean History, 117, 123-1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Yi, J.E., Park, S.M., Jeong, Y,S., Kaug, Y.C., Lee, C.H., Yun, S.B., Moon, H.E., Oh, J.H., Lee, K.R. and Choi, B.M., 2005, Conservational Scientific Diagnosis and Provenance Presumption of Source Rock For the Standing Buddha Statue in the Gwnachoksa Temple, Nonsan, Korea. The 22th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207-212. (in Korean) 

  21. Yun, S.B., Kaug, Y.C., Park, S.M., Yi, J.E., Lee, C.H. and Choi, S.W., 2006,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State of Standing Buddha Statue in the Gwanchoksa Temple, Nonsan,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9(6), 629-6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