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잊혀질 권리의 법제화와 언론의 자유
Legalization of Right to be Forgotten and Freedom of Pres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9, 2013년, pp.21 - 27  

김형일 (극동대학교 언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미디어 환경이 도래하면서 정보의 유통방식이 변화되었고, 이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유통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잊혀질 권리'를 법제화할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를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인터넷산업의 발전이 저해되고, 언론자유나 알권리를 비롯한 헌법적 권리를 침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잊혀질 권리의 적용 범위를 보다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첫째, 개인정보에 대한 권리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사회적 인격상에 관한 자기결정권으로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잊혀질 권리가 적용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보호가치와 활용가치를 비교해서 판단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는 과거의 언론보도가 인터넷을 통해 반복적으로 유통되면서 새로운 피해를 낳고 있다. 하지만 과거의 언론보도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일종의 역사적 기록물이 되기 때문에 잊혀질 권리를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advent of digital media environment, distribution way of information changes, legalization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becoming increasingly necessary. However, too much emphasis o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hinde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ndustry and constitution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행 법제는 이러한 개인정보 유형간의 차이를 분명히 하지 않기 때문에 그 적용 범위를 둘러싸고 논란이 야기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개인정보 보호가 언론자유와 갖는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기 때문에 개인정보(personal information)와 개인에 대한 묘사, 서술, 평가, 의견, 언론보도 등을 의미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information concerning a person)를 구분하고자 한다[2].
  • 잊혀질 권리로 인해 언론자유를 비롯한 또 다른 중요한 보호법익이 침해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개인정보의 성격과 유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잊혀질 권리의 적용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잊혀질 권리 도입의 정당화 근거로 자주 거론되는 지나간 언론기사의 인터넷을 통한 반복적 유통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개인정보의 성격과 유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잊혀질 권리의 적용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잊혀질 권리 도입의 정당화 근거로 자주 거론되는 지나간 언론기사의 인터넷을 통한 반복적 유통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언론보도가 갖는 파급력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개인에게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요인이지만 동시에 헌법상의 또 다른 기본권인 언론자유 내지 국민의 알권리와 상충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잊혀질 권리란? 잊혀질 권리란 말 그대로 정보주체가 온라인상에서 자신과 관련된 모든 정보에 대해 삭제 및 확산 방지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이런 새로운 권리 개념이 등장하게 된 것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도래로 정보의 유통방식이 과거와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정보의 범위를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규정할 경우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개인정보가 아무리 중요한 보호가치가 있다 할지라도 그 범위를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규정할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개인정보에 대한 어느 정도의 노출은 불가피한 환경에서 정보의 활용을 통한 경제적 가치의 창출도 무시할 수 없고, 표현의 자유를 비롯한 다른 헌법적 가치와 충돌할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EU의 규정안에서도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 행사, 공공 보건 부문에서 공익을 위한 경우, 역사·통계·과학연구 목적으로 필요한 경우, 합법적 목적에 적합하고 타 법률에 의해 개인정보를 보관해야 하는 경우 등에는 잊혀질 권리를 적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정보의 유통방식의 문제점은 필요한 정보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 몰라도 강력한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고, 심지어 전에는 몰랐던 내용까지 관련 검색을 통해서 알 수 있을 정도이다. 이렇게 필요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의 도래로 많은 사람들이 편리함을 누리고 있지만 반대로 이로 인해 고통 받는 이들도 생겨나고 있다. 과거 별 생각 없이 인터넷에 올렸던 글이나 사진 또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언론기사 등 알리고 싶지 않은 내용들이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지워지지 않고 계속 유통되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