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유연근무제 유형에 관한 연구
Clustering Analysis of Smart Flexible Work Arranagement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1, 2013년, pp.169 - 175  

정진택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  이윤묵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 유연근무는 개인이 직장과 가정에서 요구되는 역할 균형을 가능하도록 하는 주요 정책수단으로 최근 관심을 받아 왔다. 본 연구는 유연근무를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유연근무제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조직단위 별 스마트 유연근무 유형을 분석하고 근로 장소 유연성, 근로시간 유연성 과 근로 장소 및 시간 융합 유연성 등 스마트 유연근무제 유형별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장영역과 가정영역 별 유연근무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가정 및 직장 융합 영역이 유연근무에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 flexible work has been a topic of considerable interest to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ublic policy advocates as a tool to help individuals manage work and family rol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ypes of smart flexible work arrangement and analyzed the organizational units ass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새롭고 실증주의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대표적인 광역자치 단체 조직단위를 대상으로 유연근무제 실증사례를 바탕으로 유연근무제의 실태를 진단하고 유연근무제의 유형을 파악하고 조직단위 차원에서 유연근무제도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유연근무제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유연근무제의 실증자료에 기초하여 대표적 광역자치단체의 유연근무제의 실태와 추세를 알 수 있도록 유연 근무제를 유형화하여 현재의 유연근무제가 어떠한 모습인가를 규명하고 유연근무제 유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각 유형별 특성과 성공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새롭고 실증주의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대표적인 광역자치 단체 조직단위를 대상으로 유연근무제 실증사례를 바탕으로 유연근무제의 실태를 진단하고 유연근무제의 유형을 파악하고 조직단위 차원에서 유연근무제도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유연근무제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유연근무제의 실증자료에 기초하여 대표적 광역자치단체의 유연근무제의 실태와 추세를 알 수 있도록 유연 근무제를 유형화하여 현재의 유연근무제가 어떠한 모습인가를 규명하고 유연근무제 유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각 유형별 특성과 성공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유연근무제에 대한 실태에 대해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광역자치단체 조직단위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유연근무제 유형화를 시도하였고, 발견된 유연근무제 유형과 관련 변수들과의 통계적 검증을 통해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였다.
  • 표본집단은 남성이 2,246명(72%), 여성이 856명(28%)이었으며 종사하는 직종의 경우 행정직이 1,182명(38%)으로 전체 조사자의 다수를 차지했고, 이외에 기술직이 1,089명(35%), 연구지도직 287명(9%), 계약직 163명(5%), 기능직 301명(10%)등으로, 비교적 다양한 직종의 종사자들이 조사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조사 및 분석 내용은 유연근무제 요인을 분석하고 조직단위별 유연근무제 유형 및 조직단위 차원에서 스마트 유연근무제 성과를 촉진하는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스마트 유연근무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ill에 따르면 스마트 유연근무제란? Hill에 따르면 스마트 유연근무제란 근무환경의 시간적, 공간적인 탄력성에 초점을 맞추어 “자신이 종사하고 있는 업무와 관련하여 언제(when), 어디서(where), 그리고 얼마나(how long) 일을 할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근무제도”를 말한다[4]. 네덜란드, 영국, 독일을 비롯한 대다수의 유럽서방국가 들은 1990년대부터 유연근무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0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인 연구와 함께 실천에 옮기기 시작 하였다.
스마트 유연근무제의 특징은? 스마트 유연근무제는 두 가지 형태인 직장 유연성 영역과 가정 유연성 영역이 서로 호환이 어렵고 하나의 구조로 파악하면 두 영역 간의 차별화된 효과를 구별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스마트 유연근무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정 영역 유연성과 직장 영역 유연성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마트 유연근무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가정 영역 유연성과 직장 영역 유연성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러한 예는? 따라서 스마트 유연근무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정 영역 유연성과 직장 영역 유연성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개인은 일정에 유연성을 가질 수 있지만 모든 과업을 직장 현장에서 수행하도록 요구 받거나, 마찬가지로 개인은 가정에서 모든 과업을 완료 할 수 있지만, 일정을 엄격하게 준수하도록 요구 받을 수 있다. 현재까지 발표된 유연근무제 관련 분석 논문에서도 유연근무제의 유연성 정도와 세부 영역에 대한 구별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llen TD, Shockley K., Flexible work arrangements: Help or hype? In Crane R, Hill J (Eds.), Handbook of families and work: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pp. 265-284, 2009. 

  2. Byron K.,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67, No. 2, pp. 169-198, 2005. 

  3. Gajendran RS, Harrison DA., The good, the bad, and the unknown about telecommuting: Meta-analysis of psychological mediators and individual consequenc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92, No. 6, pp. 1524-1541, 2007. 

  4. Hill EJ, Grzywacz JG, Allen S, Blanchard VL, Matz-Costa C, Shulkin S, Pitt-Catsouphes M, Defining and conceptualizing workplace flexibility. Community, Work & Family, Vol. 11, No. 2, pp. 149-163, 2008. 

  5. Kossek EE, Baltes BB Matthews RA, How work-family research can finally have an impact in organizations.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erspectives on Science and Practice, Vol. 4, No. 3, pp. 352-359, 2011. 

  6. Kyoo-Sung Noh, Seong-Hwan Ju, Jin-Taek Jung, An Exploratory Study on Concept and Realization Conditions of Smart Learning,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Vol. 9, No. 2, pp. 1-10, 2011. 

  7. Mesmer-Magnus JR, Viswesvaran C., How family-friendly work environments affect work/family conflict: A meta-analytic examination, Journal of Labor Research, Vol. 27, No. 4, pp. 555-574, 2006. 

  8. Michel JS, Kotrba LM, Mitchelson JK, Clark MA, Baltes BB., Antecedents of work-family conflict: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32, No. 5, pp. 689-725, 2011. 

  9. Porter S, Ayman R, Work flexibility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the intention to quit, Journal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Vol. 16, No. 3, pp. 414-424, 2010. 

  10. Shockley KM, Allen TD, Investigating the missing link in flexible work arrangement utilization: An individual difference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76, No. 1, pp. 131-14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