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리방법에 따른 고등어(Scomber japonicus) 및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의 일반성분 및 지질성분의 변화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and Lipid Components in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and Japanese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with Various Cook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6 no.6, 2013년, pp.708 - 716  

문수경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지연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인수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보영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lipid classes, and fatty acids were studied in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and Japanese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muscles cooked using a frying pan, oven, and microwave oven.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 in the raw samples (chub mackerel 65.5%, Ja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에게 가장 친숙하고 비교적 다 량 소비되고 있는 적색육 어류로서 자연산 고등어 및 전갱이를 선택하여 일반가정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조리기구인 frying pan, oven 및 microwave oven으로 가열처리한 조리방법이 이 들 어류 근육의 일반성분, 지질 class 및 지방산 조성 등의 식품 영양성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류는 어육의 색깔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어류는 어육의 색깔에 따라 백색육 어류와 적색육 어류로 분 류되는데 도미, 광어, 가자미 및 조기 등은 백색육 어류이고, 국 민 생선이라고 불리는 고등어를 비롯하여 전갱이, 방어, 꽁치, 멸치 및 다랑어류 등은 적색육 어류에 속한다. 적색육 어류는 백 색육 어류에 비해 값이 비교적 저렴하여 옛날부터 대중적인 생 선으로 이용되고 왔으나 일부 어종은 고가의 어종에 속하기도 한다.
백색육 어류로는 무엇이 있는가? 어류는 어육의 색깔에 따라 백색육 어류와 적색육 어류로 분 류되는데 도미, 광어, 가자미 및 조기 등은 백색육 어류이고, 국 민 생선이라고 불리는 고등어를 비롯하여 전갱이, 방어, 꽁치, 멸치 및 다랑어류 등은 적색육 어류에 속한다. 적색육 어류는 백 색육 어류에 비해 값이 비교적 저렴하여 옛날부터 대중적인 생 선으로 이용되고 왔으나 일부 어종은 고가의 어종에 속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된 원인은 무엇인가? 5 kg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KREI, 2013). 이러한 현상은 국민소득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산물이 곧 건강식품 또는 웰빙식품이라는 인식이 소비자들 사이에 확대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도 국민소득 향상과 함께 100세 시대를 선도하는 건강식품으로서 수산물의 소비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ckman RG. 1986. WCOT (capillary) gas-liquid chromatogra­phy. In: Analysis of oils and fats. Hamilton RJ and Rossell JB eds.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Ltd., London and New York, U.S.A., 137-206. 

  2. AOCS. 1998. AOCS official method Ce 1b-89. In: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 of the AOCS (5th ed). Firestone D. ed. AOCS, Champaign, U.S.A. 

  3. Bartlett GR. 1959. Phosphorus assay in column chromatogra­phy. J Bio Chem 234, 466-468. 

  4. Bligh EG and Dyer WJ. 1959. Arapid method of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5. Carl JL, Richard VM, Mandeep RM and Hector OV. 2009.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J Am coll cardiol 54, 585-594. http://dx.doi.org/10.1016/j.jacc.2009.02.084. 

  6. Cho SO, Cho SH and Lee HG. 1985. The changes of texture and some chemical components of atka-fish by various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1, 74-81. 

  7. Gladyshev MI, Sushchil NN, Gubanenko GA, Demirchieva SM and Kalachova GS. 2007. Effect of boiling and frying on the content of essenti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muscle tissue of four fish species. Food Chemistry 101, 1694-1700. http://dx.doi.org/10.1016/j.foodchem.2006.04.029. 

  8. Hirayama T. 1990. Life-style and mortality: A large-scale cen­sus-based cohort study in Japan. Contributions to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6, 1-133. 

  9. Horrocks LA and Yeo YK.. 1999. Health benefits of docosa­hexaenoic acid (DHA). Pharmacological Research 40, 211­225. 

  10. Jeong BY, Choi BD and Lee JS. 1998a. Proximate composition, cholesterol and a-tocopherol content in 72 species of Korean fish. J Korean Fish Soc 31,160-167. 

  11. Jeong BY, Choi BD, Moon SK and Lee JS. 1998b. Fatty acid composition of 72 species of Korean fish. J Fish Sci Tech 1, 129-146. 

  12. Jeong BY, Moon SK, Jeong WG and Ohshima T. 2000. Lipid classe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wild and cultured sweet smelt Plecoglossusaltivelis muscles and eggs in Ko­rea. Fish Sci 66, 716-724. 

  13. Jeong BY, Moon SK, Choi BD, Lee JS. 1999. Seasonal varia­tion in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12 species of Korean fish. Kor J Fish Aquat Sci 32, 30-36. 

  14. Jeong BY, Ohshima T, Koizumi C and Kanou Y. 1990. Lipid deterioration and its inhibition of Japanese oyster during fro­zen storage. Nippon Suisan Gakkaishi 56, 2083-2091. http.// dx.doi.org/ 10.2331/suisan.56.2083. 

  15. Kim JS, Oh KS and Lee JS. 2001. Comparison of food com­ponent between conger eel (Congermyriaster) and sea eel(Muraenesoxcinereus) as a sliced raw fish meat. J Korean Fish Soc 34, 678-684. 

  1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2010. www.krei.re.kr 

  17.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http://kosis.kr 

  18. Larsen D, Quek SY and Eyres L. 2010. Effect of cook­ing method on the fatty acid profile of New Zealand king salmon(Oncorhynchus tshawytscha). Food Chem­istry 119, 785-790. http://dx.doi.org /10.1016/j.food­chem.2009.07.037. 

  19. Moon SK, Hong SN, Kim IS and Jeong BY.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s and lipid component in cultured and wild mackerel Scomberjaponicus muscles. Kor J Fish Aquat Sci 42, 411-416. 

  20. Moon SK, Kang JY, Kim IS and Jeong BY. 2012. Change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by various cooking methods. Kor J Fish Aquat Sci 45, 317-326. http://dx.doi.org/10.5657/KFAS.2012.0317. 

  21. Moon SK, Kim IS, Hong SN and Jeong BY. 2011. Food Com­ponents of the muscle and liver of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eleginoides. Kor J Fish Aquat Sci 44, 451-455. 

  22. Moon SK, Kang JY, Kim KD, Kim IS and Jeong BY. 2005. Lipid components of the cultured pearl oyster (Pinctadafu­catamartensii) in Korea. J Fish Sci Technol, 189-194. 

  23. Park EJ, Kim JT, Choi YJ and Choi BD. 2010. Effects of cook­ing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mackerel (Scomb­erjaponicas) fed with CLA fortified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10-1714. http://dx.doi.org/10.3746/ jkfn.2010.39.11.1710. 

  24. Shim KH, Lee JH, Ha YL, Seo KI, Moon JS and Joo OS. 1994. Change in amino acid composition of some fish meat by heat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Nutr 23, 933-938. 

  25. Takama K, Suzuki T, Yoshida K, Arai H and Mitsui T. 1999. Phosphatidylcholine levels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in teleost tissues and squid muscle. Comp Biochem Physiol Part B 124, 109-116. 

  26. Yoon MS, Heu MS and Kim JS. 2010. Fatty acid composi­tion, total amino acid and mineral contents of commercial Kwamegi. Kor J Fish Aquat Sci 43, 100-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