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낙동강 하구 해양환경 및 기상 요인이 김P(orphyra yezoensis) 생산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 Properties on Variability of Laver Produc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South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6 no.6, 2013년, pp.868 - 877  

권정노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심정희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상용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바이오연구센타) ,  조진대 (부산지방기상청 예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arine environmental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on laver Porphyra yezoensis produc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we analyzed marine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salinity, nutrients, etc.) and meteorological properties (air temperature, wind speed, precipit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외에도 최근 김 양식 산업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환경변화(고수온, 영양염류 부족, 유해물질 증가 등)로 갯병 빈발, 황백화 발생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대외적으로 후발주자인 중국의 김 생산이 급속하게 증가함으로 인한 수출 경쟁 등의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NFRDI,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정적이고 고효율의 김 생산을 위해 낙동강 하구의 김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환경 및 기상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 1970년 낙동강 양식장에서 11개월 조사한 결과(Choe and Chung, 1972)와 비교를 통해 그 간의 환경변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Table 1). Choe and Chung (1972)이 조사한 정점 5의 위치가 국가 해양환경측정망 낙동강 하구 정점 2와 비슷하여 직접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kr/aboutkma/intro/busan). 부산시 동래구에 위치한 부산기상청은 김 양식장과 약 25-30 km 떨어져있어,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기상현상이나 바다로부터 받는 영향 등을 정밀하게 대변할 수는 없으나 본 연구에서는 월 또는 계절주기의 기상변화를 주로 평가할 것이므로 부산기상청의 관측 정보가 낙동강 하구의 월별, 계절별, 연별 기상 변화를 대표한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기준 국내의 양식 김의 연간 생산량은? 낙동강 하구에서도 100여년 전부터 김 양식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1933년에는 낙동강 하구 김 어장의 흉작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Kang, 1972). 양식 김의 연간 생산량은 35 만 톤, 생산액은 2,774억 원으로 양식 품종 중 넙치, 전복 다음으로 생산액이 높으며(2012년 기준, 통계청http://www.kostat.
한국에서 김 양식이 시작된 시기는? 우리나라 김(Porphyra yezoensis)은 양식의 역사성이나 생산 규모 면에서 대표적인 양식품목이다(Ock, 2010). 김 양식은 약 540여년전(1470년대) 남해안 광양만에서 시작되었으며(Bae, 1991), 1920년 후반부터 우리나라 전역에 근대 김 양식이 활발해졌다(Yoo, 2003). 낙동강 하구에서도 100여년 전부터 김 양식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1933년에는 낙동강 하구 김 어장의 흉작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Kang, 1972).
낙동강 하구에서 환경변화는? Choe and Chung (1972)은 낙동강 하구가 일본의 김 생산해역 및 국내 완도 등지에 비해 영양염이 풍부하여 김 생산을 위한 우수한 어장이라 평가하였으며, 실제 낙동강에서 생산되는 김은 색택과 식감이 우수하여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낙동강하구는1980년대 하구 둑 건설 후 지형적으로 을숙도 아래 사주 발달이 심화되고 있으며, 수층 혼합에 관여하는 주 기작이 조류에서 방류수량으로 바뀌었다(Jang and Kim, 2006; Kim et a., 2011). 또한 하구 둑 건설 후 오염 부하량, 영양 염류 농도, 녹조류 및 남조류 밀도 증가 등의 생화학적 변화가 확인되었다(Moon and Choi, 1991; Cho et al., 2007; Yo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S-H. 1991.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laver culture industry in Korea 1. Laver culture history till the end of Chosun dynasty. Bull Korean Fish Soc 24, 153-166. 

  2. Cho HY, Cho BJ and Kim YH. 2007. Estimation error analysis on the COD loads due to the sampling interv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19, 266-­273. 

  3. Choe S and Chung TW. 1972. Nutrients and suspended organic particulates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7. 1-14. 

  4. Hong J-S, Song CB, Kim N-G, Kim JM and Huh HT. 1987. Oceanographic conditions in relation to laver production in Kwangyang Bay, Korea. Bull Korean Fish Soc 20, 237-247. 

  5. Hwang MS, Chung IK and Oh YS. 1997. Temperature re­sponses of Porphyra tenera Kjellman and P. yezoensis Ueda (Bangiales, Rhodophyta) from Korea from Korea. Algae 12, 207-213. 

  6. Hwang MS and Lee IK. 2002. Character analysis and numeri­cal taxonomy of Porphyra (Bangiales, Rhodophyta) from Korea. Algae 17, 217-233. 

  7. Hwang MS and Lee IK. 1994. Two species of Porphyra (Ban­giales, Rhodophyta), P. koreana sp. Nov. and P. lacerate Miura from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hycology 9, 169-177. 

  8. Jang GN. 2002. Aquaculture of Seaweeds (macro algae) and Crustacean. Sam-Gwang Press, Seoul. p. 153-190. 

  9. Jang S-T and Kim K-C. 2006. Changes of oceanographic envi­ronment in the Nakdong Estuary.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1, 11-20. 

  10. Jung S. 2008. Spatial variability in long-term changes of climate and oceanographic conditions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9, 519-529. 

  11. Kang JW. 1972. Diseases of the cultivated porphyra at culture bed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ffects of fertilizer plant effluents. Bull Korean Fish Soc 5, 39-44. 

  12. Kim BO, Lee SR and Khim BK. Temporal change of grain size of the beach sediments in the Sinjado,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3, 304-312. 

  13. Kim SJ, Woo SH, Kim BM and Hur SD. 2011. Trends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change nea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past 130 years. Ocean and Polar Research, 33, 281-290. 

  14. KMA. 2011. How to use regional climate change information? 11-1360000-000812-01, 76-81. 

  15. MLTM. 2010. Analytical standard methods for marine environ­mental parameters. 50-100. 

  16. Moon C-H and Choi H-J. 1991.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6, 144-154. 

  17. NFRDI. 2012. Countermeasure and research about impact on climate change of fisheries . 10-51. 

  18. NFRDI. 2013. One hundreds species of fisheries I..218-230. 

  19. Ock YS. 2010. Some schem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laver industry.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1, 25-44. 

  20. Parsons TR, Maita Y and Lalli C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173. 

  21. Yeh SW, Park YG, Min HS, Kim CH and Lee JH. 2010.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variability in the East/Japan Sea. Progress in Oceanography, 85, 213-223. 

  22. Yoo SG. 2003. Introduction to aquaculture. Gu-Deok Press, Busan, Korea, 309-331. 

  23. Yoon HS, Park S, Lee IC and Kim HT. 2008.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seawater quality due to the inflow of discharge from Nakdong River Barr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11, 78-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