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폭력 피해 경험이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분석
Effects of Violence Victimization on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4, 2013년, pp.407 - 418  

성경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이한주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on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fell victim to violenc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4th, 5th, and 6th graders from 2 elementary schools and 1st, 2nd, and 3rd year students from 3 middle scho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를 들면 가정폭력의 노출경험이 학교폭력의 가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 등이다(Lee,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폭력의 잠재적 가능 주체들(부모, 학교선생님, 학원선생님, 동급 또는 선・후배 학생)을 모두 포함하여 이들에 의한 폭력이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력을 강화 또는 약화시킬 수 있는 자아개념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아개념이 폭력 피해경험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지의 검증을 통해 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직접적 통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이로부터의 유해한 영향을 낮추거나 변화시키기 위한 효율적 간호전략으로 자아개념 증진 프로그램을 고려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로부터 수행되었다.
  • 폭력은 피해학생에게 심각한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며 극단적으로 자살을 택하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 급증하고 있는 학교 폭력 피해 경험 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정신건강을 이해하는데 있어 폭력을 시행한 주체의 종류에 따른 정신건강의 영향정도와 상대적으로 국내에서 연구가 부족했던 보호요인, 특히 자아개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폭력 피해 경험 아동・청소년의 부정적 정신건강에 대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폭력 피해 경험을 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자아개념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학교폭력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학교폭력의 실태 및 경향(Foundation for Prevention Youth Violence, 2011),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부적응(Kim, Jang, & Min, 2011),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의 어려움(Shin, Kwon, Shin, & Cho, 2000), 학교폭력 피해의 위험요인(Chung & Chun, 2012), 가정폭력과 정신건강의 관계(Choi & Kim, 2011) 등으로 폭력 피해 실태나 원인, 경험자들의 부적응 현상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폭력의 경험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회복하기 위한 주요 중재방법으로서 자아개념의 역할에 대한 모색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폭력에 노출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자아개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여 폭력경험으로 인해 악화될 수 있는 정신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려고 한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폭력의 경험을 단지 학교 폭력만이 아니라 부모님과 학원으로까지 범위를 넓혔기 때문에 동일하게 비교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로모형을 전체 대상으로 설정하고, 다시 여학생과 남학생을 구분하여 폭력의 행위자에 따라 학생들의 정신건강에 달리 영향을 주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정적인 행동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폭력 피해 경험은 부모, 선생님(학교, 학원), 친구로 폭력의 주체를 구분하였다. Olweus (1994)는 ‘bully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한 학생이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한명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학생들로부터 부정적인 행동을 당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는데 이때의 부정적인 행동이란 폭행, 구타, 위협, 못살게 굴고 놀리는 것, 따돌리는 것 모두를 포함한 포괄적인 범위의 행동을 말한다. 이후에 Olweus (1994)는 bullying을 공격적인 행동이나 고의적인 괴롭힘이며,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힘의 불균형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대인관계 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정의를 보완하였다.
아동 · 청소년에 대한 폭력이 주요 쟁점화되는 요즘 자아개념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Houbre, Tarquinio와 Lanfranchi (2010)는 가정과 학교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는 폭력이 피해 아동과 청소년의 자아개념 형성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종단적 연구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폭력을 경험한 아동과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현저히 악화되었다고 보고하여 이런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즉 자아개념은 폭력 피해경험과 정신건강 사이에 존재하는 매개체로서 폭력 피해경험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여 온전한 정신건강 상태를 유지하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거나, 폭력 피해 경험으로 손상되어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폭력 발생을 직접 통제하기 어려운 사회적 맥락에서 그로 인한 유해한 영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자아개념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는 것은 아동 · 청소년에 대한 폭력이 주요 쟁점화되는 요즘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폭력이란 어떤 사건인가? 폭력은 정신건강에 손상을 주는 부정적인 생활사건으로 아동이나 청소년은 심각한 폭력에 노출될 경우 성장발달이 왜곡되거나 지연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정신심리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Brunstein Klomek. Sourander, & Gould,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k, W. H., & Son, H. G. (2004). The relationships among the level of domestic violenc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8 (2), 181-193. 

  2. Baumeister, R. F. (1991). Suicide as a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 (1), 90-113. 

  3. Bhang, S. Y., Yoo, H. K., Kim, J. H., Kim, B. S., Lee, Y. S., Ahn, D. H., et al. (2012). Victims of bullying among Korean adolescents: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evaluated using the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II standardization study dat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3 (1), 23-30. 

  4. Brunstein Klomek, A., Sourander, A., & Gould, M. (2010). The association of suicide and bullying in childhood to young adulthood: A review of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search findings.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5 (5), 282-288. 

  5. Choi, J. W., & Kim, H. J. (2011). Domestic violence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 (1), 73-103. 

  6. Choi, S., Lee, Y. H., & Ko, S. H. (2013). The experience of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4 (1), 34-44. 

  7. Choi, Y. J. (2012). Effects of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who report a history of childhood abus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 (2), 307-333. 

  8. Chung, H. E., & Chun, J. S. (2012). Risk factors of adolescents victimization by school violenc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 (1), 195-212. 

  9. Davidson, L. M., & Demaray, M. K. (2007).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between victimization and internalizing-externalizing distress from bullying. School Psychology Review, 36 (3), 383-405. 

  10. De Man, A. F., & Gutierrez, B. I.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with stability of self-esteem as moderator.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34 (4), 235-238. 

  11. Foundation for Prevention Youth Violence. (2011). 2011 National survey report on school violence in Korea. Seoul: Author. 

  12. Houbre, B., Tarquinio, C., & Lanfranchi, J. B. (2010). Expression of self-concept and adjustment against repeated aggressions: The case of longitudinal study on school bullying.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25 (1), 105-123. http://dx.doi.org/10.1007/s10212-009-0005-x 

  13. Hwang, E, S., & Seong, Y. H. (2006).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scious affect and the impact of childhood abuse on depression and anxiety.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9 (2), 73-89. 

  14. Kaspar, V. (2013). Mental health of aboriginal children and adolescents in violent school environments: Protective mediators of violence and psychological nervous disorders. Social Science & Medicine, 81, 70-78. 

  15. Kim, J. Y., Jang, Y. E., & Min, J. A.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to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 (7), 209-234. 

  16. Kwon, J. K. (2011).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victimized experiences and the changing behavior problems-a longitudinal study with applied LLGA & GMM with known cla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4, 96-127. 

  17. Lee, B. J., & Yim, S. H. (2008). Housing and child development. Health Welfare Policy Forum, 145, 43-50. 

  18. Lee, E. H., & Son, J. M. (2011).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mental health of the junior highschool student who experience school violence: Application of the resiliency model.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3 (2), 149-171. 

  19. Lee, S. C. (2012).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and exercising school violence. Forum for Youth Culture, 29, 116-135. 

  20. Moon, K. S. (2008).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Self-concept as a mediator. Paper presented at the 2008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eoul. 

  21. Nam, Y. O., & Han, S. C. (2007). A quest for influence of protective factors for prevention of adolescent violence. The Korean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5 (1), 77-89. 

  22. Olweus, D. (1994).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 (7), 1171-1190. 

  23. Polit, D. F., & Sherman, R. E. (1990). Statistical power in nursing research. Nursing Research, 39 (6), 365-369. 

  24. Shin, B. K., & Lee, S. J. (2012). Relations among adolescents' domestic violence, school violence, depression-anxiety, and suicide. Hanguk Minjok Munhwa, 44, 281-318. 

  25. Shin, S. I. (2001).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6, 210-235. 

  26. Shin, S. W., Kwon, S. W., Shin, M. S., & Cho, S. C. (2000). A survey of the psychosis among school violence victims. Korean Journal of Child & Adolescence Psychiatry, 11 (1), 124-143. 

  27. Sung, K. M. (2012). Development of a self-evaluation scale to measure self-concep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1 (4), 292-302. 

  28. Werner, E. E., & Smith, R. S. (1992). Overcoming the odds: High risk children from birth to adulthood.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29. Wynne, S. L., & Joo, H. J. (2011). Predictors of school victimization: Individual, familial, and school factors. Crime & Delinquency, 57 (3), 458-488. 

  30. Yun, W. S. (2011). The effect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y on parenting and juvenile delinquency.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22 (1), 137-1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