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가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Reasons Affecting o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8 no.3, 2013년, pp.113 - 124  

이우진 (호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조경제시대의 실현을 위해 정부가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에 힘쓰고 있는 가운데 교육부는 국내 대학 내 창업교육의 확산을 위해 많은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창업교육은 개인에게 창업의 동기를 부여하고 시장의 혁신을 만들어 국가경제의 효율성 증대를 통한 성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한 창업교육의 중요성도 날로 더해지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창업교육은 전국의 대학에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확산되고 있는 창업교육에 비해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는 아직 크게 향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한 교육을 받은 학생이라 할지라도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환경이나 동기와 같은 특성에 따라 교육의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의 연구를 통해 좀 더 체계적인 창업교육의 방향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대학 내 창업교육의 확산 분위기와 더불어 창업교육에 대한 국내의 연구도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창업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어떻게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학생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만족이나 개인적인 환경이 어떻게 창업의지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의 한 부분으로써 창업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와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2012년 서울 및 경기지역에 창업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7개 대학의 학생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91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85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의 요인에 따라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창업의지의 변수에 영향을 주는 관계가 규명되었다. 학생들의 자아실현과 혁신성 그리고 롤모델 추구의 직업선택의 동기 요인들은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창업의지가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관념과는 다르게 재무성취와 독립성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창업의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대학 내 확산되고 있는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창조경제 실현의 한 부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vernment strives to create venture ecosystem for realizing creative economy, at the same time, the Mistry of Education is spending huge resources and efforts to spread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universities in Korea. Si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gives motivation to individuals and c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선택하는 직업의 하나로써의 창업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에 따라 행동의지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 Carter et al.(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여섯 가지 범주의 직업선택의 동기 중 어떠한 요인이 창업의지와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에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창업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들의 직업선택의 동기는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정부의 창조경제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및 벤처, 창업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내 대학에 확산되고 있는 창업교육과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극심한 고용불안과 청년실업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 창업이 직업선택의 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대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와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국내에서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더욱 성장하게 될 창업분야에서 국내에서도 전 세계를 무대로 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탄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첫 단추가 대학의 창업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먼저 창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요인과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모델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는 학생들이 창업교육을 받기 전부터 가지고 있는 직업관에 대한 부분이며 이는 교육 및 경험 등을 통해 변할 수 있는 요인이다.
  • 본 연구는 교육부의 노력으로 현재 전국 대학 내 확산되고 있는 창업교육을 받는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에 따른 창업의지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7개 대학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2012년 창업 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정부의 창조경제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및 벤처, 창업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내 대학에 확산되고 있는 창업교육과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극심한 고용불안과 청년실업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 창업이 직업선택의 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대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와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일반적으로 창업가는 일반 구직자에 비해 높은 재무성취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소득증대와 재정적 안정, 후손에게의 유산상속과 같은 부분을 측정한다. 롤모델 추구(role)는 가족의 분위기를 따르거나 자신이 닮고 싶어 하는 사람을 따르는 것으로 부모의 영향을 받거나 개인이 설정한 롤모델을 따르는 부분이 포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검토한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창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요인에 따라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향후 창업을 하려는 의지에 대한 수준이 어떻게 다른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각 변수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된 창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와 창업의지 그리고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그림 1>과 같이 수립된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각각의 변수들이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특히, 성별, 인종, 사전경험, 교육정도, 전공 등 다양한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개인의 다양한 특성들이 교육의 효과와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음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career reasons)에 따라 창업에 대한 의지가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직업선택의 동기는 성취하고자 하는 진로의 목적을 위해 행동하도록 하는 개인의 내적 심리상태이다(Kim, 2006; Owens & Valesky, 1995).
  • 그러나 생계유지, 사회적 역할 수행, 자아실현 등 개인적 혹은 사회적인 목표와 성취를 위한 개인의 직업선택의 동기는 그 자체로써 향후 자신의 목표활동에 대한 가능성을 추구하게 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나타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선택하는 직업의 하나로써의 창업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에 따라 행동의지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 Carter et al.(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여섯 가지 범주의 직업선택의 동기 중 어떠한 요인이 창업의지와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에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선택의 동기(career reasons)와 창업의지와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정하고 두 변수의 관계 에서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2012년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간된 ‘대학생 창업활동 및 창업지원제도 현황 분석’보고서를 보면 대학 졸업 후 진로선택으로 창업을 생각하고 있는 학생은 전체의 2.
  • 특히 이제는 창업이 하나의 직업으로 인식이 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다양한 직업선택의 동기와 창업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좀 더 세밀하게 창업교육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2년 서울 및 경기지역의 7개 대학에서 창업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와 창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창업의지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대학에서 회수되어 본 연구에 맞도록 선별한 800부 이상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AMOS 18.

가설 설정

  • 가설 1 :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는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는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5: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 중 롤모델 추구는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1: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 중 재무성취는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5: 학생들의 직업선택의 동기 중 롤모델 추구는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또한 자아효능감은 창업교육을 받은 후에 학생 스스로 자신이 더 나은 성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믿음과 그에 대한 높은 기대치로써(DeWitz & Walsh, 2002) 의식적으로 창업을 목표로 하여 계획된 행동을 하는 창업의지의 선행과정으로 볼 수 있다(Lee, Kim & Kim, 2013). 따라서 창업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여섯 가지 범주의 직업선택의 동기 중 어떠한 요인이 창업의지와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에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창업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들의 직업선택의 동기는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창업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들의 직업선택의 동기는 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학생 개인에 따라 상이한 직업선택의 동기는 Shapero가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같이 창업에 대한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을 통해 행동으로 이어질 것이다. 즉, 직업선택의 동기요인은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는 이유는? 창업교육(entrepreneurship education)은 개인에게 창업의 동기를 부여하고, 시장의 혁신을 만들어내며, 국가경제의 효율성 증대를 통한 성장을 이끌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지고 있다(Chrisman, Hynes & Fraser, 1995; Shane & Venkataraman, 2000). 특히 최근 전 세계적인 경제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국가에서 창업교육 및 창업보육을 통해 다양한 경제분야 및 산업과 기술에 대한 새로운 기회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직업선택의 동기가 직업선택의 결과로 나타나는 걸로 보아 어떤 대책이 중요하다고 보는가? 그리고 개인이 창업을 하는 것은 직업선택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Katz, 1992). 따라서 창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요인을 파악하여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창업을 예측하고 창업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 직업선택의 동기는 Carter et al.
최근 확산되는 창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현재 전국의 대학 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창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의 기업가정신 고취와 창업관련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통해 창업의 절차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개인의 창업의지(entrepreneurial intention)를 높이는 데에 있다(Linan, 2004; Fretschner & Weber, 2013; Lee, Kim & Kim, 2013). 이러한 개인의 창업의지는 TPB(Theory of Planned Behavior)모델(Ajzen, 1991)과 SEE(Shapero’s Entrepreneurial Event)모델(Shapero & Sokol, 1982) 그리고 Boyd & Vozikis(1994)와 Chen, Creene & Crick(1998)등의 연구를 통해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entrepreneurial self-efficacy)이 창업의 지의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주장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Ajzen, I. 50 179 10.1016/0749-5978(91)90020-T 

  2. Psychology and Health Ajzen, I. 13 735 10.1080/08870449808407426 

  3.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Ajzen, I. 32 4 665 10.1111/j.1559-1816.2002.tb00236.x 

  4. American psychologist Bandura, A. 37 2 122 10.1037/0003-066X.37.2.122 

  5.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Bandura, A. 50 2 248 10.1016/0749-5978(91)90022-L 

  6.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Birley, S. 9 1 7 10.1016/0883-9026(94)90024-8 

  7.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Boyd, N. G. 18 63 10.1177/104225879401800404 

  8.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Carter, N. M. 18 1 13 10.1016/S0883-9026(02)00078-2 

  9.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Chrisman, J. J. 10 4 267 10.1016/0883-9026(95)00015-Z 

  10.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Chen, C. C. 13 4 295 10.1016/S0883-9026(97)00029-3 

  11. 직업교육연구 최동선 22 1 115 

  12. 벤처창업연구 최종인 7 1 125 

  13.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Conner, M. 27 11 1547 10.1177/01461672012711014 

  14.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x, L. W. 1 2 229 

  15.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DeWitz, S. J. 10 3 315 10.1177/10672702010003003 

  16.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Edelman, L. F. 48 2 174 10.1111/j.1540-627X.2010.00291.x 

  17.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Fischer, E. M. 8 2 151 10.1016/0883-9026(93)90017-Y 

  18.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Fretschner, M. 51 3 410 10.1111/jsbm.12019 

  19.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Gartner, W. B. 13 14 47 

  20.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Gartner, W. B. 5 1 15 10.1016/0883-9026(90)90023-M 

  21.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Gist, M. E. 17 2 183 10.5465/amr.1992.4279530 

  22. 경영교육연구 한길석 47 47 379 

  23. 경영교육연구 정두식 27 6 373 

  24. Entrepreneurship Theory Practice Katz, J. A. 17 1 29 10.1177/104225879201700104 

  25.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Katz, J. A. 18 2 283 10.1016/S0883-9026(02)00098-8 

  26.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Katz, J. A. 13 3 429 10.5465/amr.1988.4306967 

  27.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Kickul, J. 33 2 439 10.1111/j.1540-6520.2009.00298.x 

  28. 한국체육과학회지 조우정 15 2 49 

  29. 호텔경영학연구 김영미 18 4 177 

  30.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Kolvereid, L. 20 3 23 10.1177/104225879602000302 

  31. Decision Sciences Krueger, Jr, N. F. 25 3 385 10.1111/j.1540-5915.1994.tb01849.x 

  32.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Lent, R. W. 45 1 79 10.1006/jvbe.1994.1027 

  33. Piccolla Impresa/Small Business Liñán, F. 3 1 11 

  34. Korean Industrial Economic Journal Lee, H. S. 12 4 325 

  35.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이현숙 15 2 65 

  36. 경영교육연구 이우진 28 3 105 

  37. 벤처창업연구 이우진 8 1 99 

  38. American psychologist Ryan, R. M. 55 1 68 10.1037/0003-066X.55.1.68 

  39.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Sánchez, J. C. 51 3 447 10.1111/jsbm.12025 

  40.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Scherer, R. F. 13 3 53 10.1177/104225878901300306 

  41.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Shane, S. 13 2 257 10.1016/S1053-4822(03)00017-2 

  42.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Shane, S. 25 1 217 

  43. Entrepreneurship Theory Practice Shaver, K. G. 16 2 23 10.1177/104225879201600204 

  44.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Siu, W. S. 37 2 147 10.1111/j.1540-6520.2011.00462.x 

  45.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olomon, G. T. 1 1 65 

  46.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Thompson, E. R. 33 3 669 10.1111/j.1540-6520.2009.00321.x 

  47.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Wood, R. 56 407 10.1037/0022-3514.56.3.407 

  48. Tourism Research You, H. S. 19 81 

  49.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Zhao, H. 90 6 1265 10.1037/0021-9010.90.6.126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