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확장된 깊이-우선 탐색 알고리듬을 적용한 다중표적 위치 좌표 추정 기법
Location Estimation for Multiple Targets Using Expanded DFS Algorithm 원문보기

한국통신학회논문지.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통신이론 및 시스템, v.38C no.12, 2013년, pp.1207 - 1215  

박소령 (가톨릭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 통신신호처리 연구실) ,  노상욱 (가톨릭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지능형시스템 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에서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적외선 센서를 가진 다수의 감시 로봇이 획득한 정보를 융합하여 분산되어있는 표적의 위치 좌표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방위각(azimuth)과 표적을 대응시키는 방법으로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서 제안되었던 깊이-우선(depth-first) 트리 탐색(tree search) 기법을 바탕으로, 우회경로 탐색, 중간 단계 탐색 종료, 하위 단계 부분 탐색, 결정기준 보완 등을 추가함으로써 트리 탐색을 확장한 새로운 기법을 제시하였다. 방위각과 표적이 대응된 후에는 하나의 표적을 가리키는 방위각들에 최소 제곱 오차(least square error)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최적 교점을 구함으로써 표적의 위치 좌표를 추정한다. 제안한 위치 추정 기법의 좌표 추정 성능과 복잡도를 모의실험으로 제시하고 분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the location estimation techniques of distributed targets with the multi-sensor data perceived through IR sensors of the military robots in consideration of obstacles. In order to match up targets with measured azimuths, to add to the depth-first search (DFS) algorithms in fre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측정 방위각과 표적을 대응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트리 탐색 알고리듬 중 깊이-우선 탐색(depth-first search: DFS)[7,8]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장애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중간 단계의 노드를 거치지 않고 하위 단계로 우회하는 경로나 잎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경로까지도 판단기준을 만족하면 후보로 선택될 수 있도록 트리 탐색을 확장한 기법과 추가된 결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지닌 다수의 무인 감시 로봇이 장애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표적을 탐지하였을 때, 표적의 위치 좌표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추정 성능을 모의실험으로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감시 로봇에 의해 탐지되는 표적의 유형은 장갑차/전차/트럭 등의 전투용 차량으로 가정하며, 이 논문에서는 표적의 종류에 관계없이 표적의 위치 좌표를 추정하는 것만을 다루기로 한다. 표적 방위각의 변동 및 오탐지로 인한 크기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은 표적의 높이 정보를 픽셀 크기 측정요소로 사용하여 대략적인 거리를 추정한다[6].
  • 여기서, #는 R[i]의 j번째 측정 방위각 방향에서 탐지되는 표적과 R[i] 간의 추정거리이다. 감시 로봇으로부터 1km 거리에 위치한 높이 2.5m의 표적이 적외선 센서 화면에서 높이가 11.4픽셀로 측정된다고 두었으며, 적외선 센서 화면에서 픽셀 퍼짐의 크기 W를 0부터[측정 픽셀로 계산한 거리]/6까지 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하고 거리를 추정하였다[6]. 마지막으로 장애물로 인한 탐지 방위각의 개수는 가장 왼쪽의 로봇부터 각각 4, 3, 2, 1개로 고정하였다.
  • 의 위치 좌표를 추정한다. 원격통제기는 고정형 감시 로봇들의 위치 좌표를 정확히 알고 있다고 가정하며, 감시 로봇들로부터 표적의 방위각 정보와 픽셀 수를 수신하여 방위각과 표적을 알맞게 대응시키고 표적의 위치 좌표를 계산한다.
  • 적외선 센서는 광시계 모드에서 10초의 주기로 360°를 회전하며 다중표적이 위치하는 방향을 탐지하여 각 표적의 방위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협시계 모드에서는 하나의 표적을 30Hz 속도로 추적하면서 표적의 방위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중표적의 탐지 및 위치 추정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적외선 센서가 광시계 모드로 동작하여 다중 표적을 탐지하는 경우를 고려하며, 획득한 방위각 정보는 평균이 0인 정규분포의 측정오차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 그림 5는 (N × M)=(4×4)인 협업감시 시스템에서 EDS 트리 구조의 일부를 보기를 들어 나타낸 것이다. 이 보기에서 R[1]은 모든 표적을, R[2]는 3개의 표적을, R[3]과 R[4]는 각각 2개의 표적을 탐지하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그림에서 굵은 실선은 후보로 선택된 경로를, 가는 실선은 탐색하였으나 후보로 선택되지 못한 경로를, 점선은 이 보기에서 탐색하지는 않았으나 고려할 수 있는 모든 경로를 표시한 것이고, 동그라미 안의 숫자는 탐색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방위각을 활용하여 신호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의 문제점은? 방위각을 활용하여 신호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이제까지의 연구에서는 항공기에 설치된 배열센서들을 이용하여 고정된 신호원 하나의 위치를 추정하거나, 각 센서에서 측정한 방위각이 동일한 하나의 표적이라는 확신이 있을 경우에 최소제곱오차(least square error: LSE)를 보장하는 위치 추정 방식,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측정 방위각과 표적을 알맞게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트리 탐색(tree search) 알고리듬을 적용하는 기법 등이 제안되었다[4-6]. 그러나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든 감시 로봇이 동일한 수의 표적을 탐지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고, 어느 방위각들의 교점에 표적이 위치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기존의 알고리듬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기존에 제안된 방위각을 활용하여 신호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적외선 감시 장비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 중에서 표적의 좌표 추정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은 표적의 방위각(azimuth)과 화면에서의 표적 크기 정도이다. 방위각을 활용하여 신호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이제까지의 연구에서는 항공기에 설치된 배열센서들을 이용하여 고정된 신호원 하나의 위치를 추정하거나, 각 센서에서 측정한 방위각이 동일한 하나의 표적이라는 확신이 있을 경우에 최소제곱오차(least square error: LSE)를 보장하는 위치 추정 방식,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측정 방위각과 표적을 알맞게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트리 탐색(tree search) 알고리듬을 적용하는 기법 등이 제안되었다[4-6]. 그러나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든 감시 로봇이 동일한 수의 표적을 탐지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고, 어느 방위각들의 교점에 표적이 위치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기존의 알고리듬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적외선 감시 장비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 중에서 표적의 좌표 추정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적외선 감시 장비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 중에서 표적의 좌표 추정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은 표적의 방위각(azimuth)과 화면에서의 표적 크기 정도이다. 방위각을 활용하여 신호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이제까지의 연구에서는 항공기에 설치된 배열센서들을 이용하여 고정된 신호원 하나의 위치를 추정하거나, 각 센서에서 측정한 방위각이 동일한 하나의 표적이라는 확신이 있을 경우에 최소제곱오차(least square error: LSE)를 보장하는 위치 추정 방식,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측정 방위각과 표적을 알맞게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트리 탐색(tree search) 알고리듬을 적용하는 기법 등이 제안되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 S. Ryu, "Improved target localization using line fitting in distributed sensor network of detection-only sensor," J. Inst. Electron. Eng. Korea (IEEK), vol. 49, no. 9, pp. 362-369, Sep. 2012. 

  2. H. J. Kwon, T. W. Bae, B. I. Kim, S. H. Lee, Y. C. Kim, S. H. Ahn, and K. I. Sohng, "Shape extraction of near target using opening operator with adaptive structure element in infrared images," J. Korean Inst. Commun. Inform. Sci. (KICS), vol. 36, no. 9, pp. 546-554, Sep. 2011. 

  3. M. Valera and S. A. Velastin, "Intelligent distributed surveillance systems: a review," IEE Proc. Vision, Image, Signal Process., vol. 152, no. 2, pp. 192-204, Apr. 2005. 

  4. J. H. Lee, M. C. Kim, S. W. Cho, Y. Jin, and D. Lee, "Performance comparison of LOB-based emitter localization algorithms," J. Korea Inst. Military Sci. Technol. (KIMST), vol. 12, no. 4, pp. 437- 445, Aug. 2009. 

  5. M. Gavish and A. J. Weiss, "Performance analysis of bearing-only target location algorithms," IEEE Trans. Aerosp. Electron. Syst., vol. 28, no. 3, pp. 817-828, July 1992. 

  6. S. R. Park and S. Noh, "Location estimation for multiple targets using tree search algorithms under cooperative surveillance of multiple robots," J. Korean Inst. Commun. Inform. Sci. (KICS), vol. 38, no. 9, pp. 782-791, Sep. 2013. 

  7. M. Lee, Y. Lee, I. Song, and S. Yoon, "A novel decoding scheme for MIMO signals using combined depth-and breadth-first and tree partitioning," J. Korean Inst. Commun. Inform. Sci. (KICS), vol. 36, no. 1, pp. 37-47, Jan. 2011. 

  8. J. Ahn and K. Kim, "Lower bound on expected complexity of depth-first tree search with multiple radii," IEEE Commun. Lett., vol. 16, no. 6, pp. 805-808, June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