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조건축물 구조부재의 열전도율에 따른 건물외피의 단열 성능
Thermal Performance of Wooden Building Envelope by Thermal Conductivity of Structural Members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6, 2013년, pp.515 - 527  

김석환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환경재료연구실) ,  유슬기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환경재료연구실) ,  서정기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환경재료연구실) ,  김수민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환경재료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에너지 성능평가 시뮬레이션 마다 상이한 재료의 열전도율로 평가 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확한 건물에너지부하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시뮬레이션에서 목조건축물의 스터드로 사용되고 있는 목재의 열전도율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벽체의 열관류율과 부재 접합부위에서의 선형열교 차이를 연구하였다. 각 시뮬레이션은 동일 수종에 대해 상이한 열전도율을 채택 후, 각 시뮬레이션에서 추출한 열전도율 간의 차이가 가장 상이한 소나무의 열전도율을 스터드에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간 지붕, 벽체, 지면 슬래브의 열관류율 중 최대오차는 $0.023W/m^2{\cdot}K$이었으며, 지붕의 서까래 접합부, 지붕-벽체 접합부, 지면슬래브-벽체 접합부 중 최대 선형열교 오차는 $0.025W/m{\cdot}K$이었다. 또한, HEAT2 정상상태전열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형열교 및 벽체의 온도변화에 대한 전열해석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구조체에 온도 분포를 선으로 표시하여 단열이 부족한 곳에서는 온도선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온도선이 급격하게 변하는 부위에서는 다른 곳보다 온도가 낮으며, 다른 구조체 부분보다 더 많은 열류가 손실됨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ilding energy simulations which are mainly used in Korea have evaluated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with the different thermal conductivity of construction materials. In order to evaluate the energy consumption accurately, the difference in thermal conductivity of the wood used in stud for w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시뮬레이션들이 각기 상이한 재료의 열전도율 기준으로 건물에너지를 평가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의 경우 시뮬레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제시하는 재료의 물성을 사용 하게 되는데 시뮬레이션별로 같은 수종의 목재라도 열전도율의 차이가 많으며 최대 3배가 넘는 차이를 보이는 수종들도 존재하였다.
  • 따라서 향후 관련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특히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목재의 열전도율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의 확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목조건물에너지의 오차로 예측하기 위해, 각 시뮬레이션에서 스터드로 사용되고 있는 목재의 열전도율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목구조 벽체의 열관류율과 부재 접합부위에서의 열교를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재의 장점은? 최근, 녹색건축물의 효과적인 방안으로 목조건축이 주목받고 있다. 목재는 자연적으로 태양에너지를 사용하여 성장하기 때문에 재생 가능하며 지속가능한 자원으로 특히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분해 또는 연소 시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건축재료 및 가구 등의 제품으로 사용될 경우 탄소고정효과가 탁월하다[1,2]. 에너지적인 측면에서 목재를 실내 마감재로 사용하였을 시에는 우수한 단열 성능 덕분에 건물에너지 소요량이 최대 7.
냉ㆍ난방 부하를 최소화를 위한 첫걸음은? 건물 외피 성능은 건축물의 에너지소비와 재실자가 거주하는 실내환경에 큰 영향을 준다. 냉ㆍ난방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성능의 외피를 구축하는 것이 저에너지건축물을 만들기 위한 첫 걸음이다. 최근, 녹색건축물의 효과적인 방안으로 목조건축이 주목받고 있다.
목조주택의 벽체 이외 부분에서 단열의 문제점은? 목조주택은 목재의 우수한 절연성 덕분에 벽체를 단열재와 함께 구성 시 높은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목재 스터드와 단열재가 함께 조립을 이루는 벽체와 달리 지붕-벽체, 벽체-지면과 같이 벽체와 벽체가 만나는 접합부에서는 단열재가 시공되지 않아, 단열재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목재 스터드로 열손실이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Dodoo, A., L. Gustavsson, and R. Sathre. 2012. Effect of thermal mass on life cycle primary energy balances of a concrete- and a wood-frame building. Applied Energy 92: 462-472. 

  2. Nassen, J., F. Hedenus, S. Karlsson, and J. Holmberg. 2012. Concrete vs wood in buildings e An energy system approach. Building and Environment 51: 361-369. 

  3. McGraw Hill Construction. Wood Rates: How Wood Products Stack Up in Green Building Systems / How Wood Products Stack Up in Green Building Systems. continuingeducation. construction. com. 

  4. Koo, B.-K., J.-H. Lim, and S.-Y. Song. 2011. Improvement schemes of regulation related to thermal bridges in residential buildings.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55-58. 

  5. Inspect A pedia. Mold inspect test remove. www.inspectapedia.com. 

  6. Theodosiou, T. G. and A. M. Papadopoulous. 2008. The impact of thermal bridges on the energy demand of buildings with double brick wall constructions. Energy and Buildings 40: 2083-2089. 

  7. Erhorn, H., H. Erhorn-Kluttig, M. Citterio, M. Cocco, D. V. Orshoven, and A. Tilmans. 2010. An effective handling of thermal bridges in the EPBD context. Final Report of the IEE ASIEPI Work on Thermal Bridges. 

  8. Jeon, J. S., J. K. Seo, and S. M. Kim. 2011. Suggestion of termal environment miniature for evaluation of heating efficiency based on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merhod of building materials. Mokchae Konghak 39: 269-280. 

  9. Korean Standard Association. 2007. ISO 6946 Building components and building elements Thermal resistance and thermal transmittance Calculation method. 

  10. Koo, B.-K., J.-H. Lim, and S.-Y. Song. 2011. Statistical analysis on the prediction of linear thermal transmittances for wall-slab joints in internally and externally-insulated apartment building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 305-312.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Regulation for Facility in Building.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