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우리나라는 1921년 태화기독교 여성관 탁아프로그램으로 보육이 시작된 이후 1991년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는 등 질적인 보육을 제공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이 꾸준히 발전해왔다. 약 90년 정도 된 보육의 역사에서 보육정책을 담당하는 부처는 시대에 따라, 그리고 관련 법의 규정에 따라 보건사회부, 농업진흥청, 내무부, 문교부, 노동부 등 여러 부처로 분산되어 왔으나, 1991년 제정된 영유아보육법에 의해 보건복지부로 일원화되었고 2004년에는 여성가족부로, 2007년에는 다시 보건복지부로 이관되었다.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은 1991년 제정된 영유아보육법을 기점으로 교육부 관할의 유치원과 보건복지부 관할의 어린이집의 이원체제로 운영되어 왔다. 최근 출산율의 급속한 저하로 인해 출산율 회복을 위한 정책 개발과 보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에 의해 다양한 보육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현재 보육정책의 주요 특징과 앞으로 다가올 시대를 위해 보육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childcare program of TaeHwa Christian Women's Institution in 1921, the childcare system in Korea was incepted. Since then, the political foothold of childcare system has steadily been advancing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s to young children. In almost a hundred-year-history of public child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보육법 제정 배경은 무엇입니까? 첫째,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보육정책 추진 둘째, 증가하는 보육수요, 아동보호, 교육문제에 대한 사회적·국가적 차원의 대처 강화 셋째, 분산된 보육관련 법령의 통합 넷째, 다원화된 관리체계의 일원화
우리나라의 보육의 시초는 무엇입니까? 우리나라의 보육은 1921년 태화기독교 여성관 탁아프로그램을 시초로, 이후 1991년 영유아보육법 제정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변화해 왔다. 태화기독교 여성관의 탁아프로그램이 빈민가정의 아동을 구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현재 보육은 모든 계층, 모든 연령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다.
2004년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의 주요 내용은 무엇입니까? ▪ 첫째, 전달체계 보완(국무총리산하 보육정책조정위원회 및 보육개발원 설치 근거 신설) ▪ 둘째, 체계적인 보육정책 수립 지원(보육 중장기 계획 수립: 새싹플랜, 아이사랑플랜, 보육실태조사 실시) ▪ 셋째, 보육의 전문성 강화(보육교사, 원장의 국가자격증 제도 도입, 표준보육과정 도입, 건강, 영양, 안전 분야 강화) ▪ 넷째, 지역사회, 부모와의 협력 강화(어린이집운영위원회) ▪ 다섯째, 국가, 지자체의 보육비용 부담 원칙 ▪ 여섯째, 보육비용 상한선 규제(가격 규제)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의향(2013) 보육교직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격관리와 처우개선 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보육지원학회. 

  2. 보건복지부(2012). 보육정책성과 자료집. 보건복지부. 

  3. 서문희(2013). 보육재정 구조와 확충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보육지원학회. 

  4. 윤희숙, 김인경, 권형준(2013). 보육 . 유아교육 지원에 관한 9가지 사실과 그 정책적 함의. KDI FOCUS. 

  5. 이재연, 박은미, 황옥경, 강현아, 이은주(2013). 아동복지론. 서울: 학지사. 

  6. 정선아(2013). 현 정부 영유아 보육정책의 분석 및 발전방향. 서울 YMCA 창립 110주년 기념 보육정책 세미나 자료집. YMCA. 

  7. 황옥경(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추진 방안에 대한 토론회 자료집. 한국보육진흥원. 

  8. 황옥경(2011). '공공형'과 '자율형' 어린이집 정책에 대한 논란, 그 해법과 과제는 무엇인가? , 한국보육지원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보육지원학회. 

  9. 황옥경(2012). 보육교직원의 합리적 수급과 전문성 강화.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0. 황옥경(2013a). 현 정부 영유아 보육정책의 분석 및 발전방안. YMCA 서울 YMCA 창립 110주년기념 세미나 자료집. YMCA. 

  11. 황옥경(2013b). 영아 무상보육정책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81-100. 

  12. 황옥경 외(2012). 어린이집 원장 사전 직무교육과정 교재 개발. 한국보육진흥원. 

  13. OECD(2012). Starting strong III : A quality tool box for ECEC. OEC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