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현안 및 발전방안
Status, Issues, and Improvement of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6, 2013년, pp.461 - 490  

황해익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남희 (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정혜영 (대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운영체계 및 지표를 주기별로 정리하고, 어린이집 평가인증을 실시하고 있는 외국(미국, 호주, 영국)의 사례들을 살펴본 후 현재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어린이집 평가인증 준비과정, 평가인증지표, 평가인증 결과 및 사후관리 측면에 따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본질적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평가인증제도의 철학적 패러다임의 전환, 보육교직원이 주체가 되는 평가, 어린이집 현실을 고려한 평가인증지표의 다양화, 다양한 평가방법 적용, 그리고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어린이집, 가정 및 지역사회, 정부의 사전 협의, 조정 및 협력적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issues and improvement of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and to suggest som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Korean and accreditation systems abroad and th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주기와 2주기로 진행된 어린이집 평가인증의 과정 및 지표를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 본 절에서는 우리나라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평가인증 준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평가인증지표와 관련된 문제점, 평가결과 및 사후관리에서 나타난 문제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각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와 관련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평가인증지표 자체, 참여설명회, 그리고 현장관찰 및 관찰자의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 자체가 안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이번에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어린이집 평가인증을 실시하거나 어린이집에 대한 외부 평가를 시행하고 있는 몇몇 국가들의 어린이집 평가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은 1986년부터 NAEYC를 중심으로 인준평가제를 꾸준히 발전시켜 왔으며, 최근에는 평가담당 전문 인력에 대한 연수를 심화하고 있다(NAEYC, 2008).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운영체계 및 지표를 주기별로 살펴보고, 어린이집 평가인증을 실시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들을 정리한 뒤, 현재 어린이집 평가인증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발전방안을 기술해보고자 한다.
  • 지금까지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국내외 현황과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평가인증제의 본질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언과 더불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한편 1주기 평가에서는 필수항목이 ‘정원준수’, ‘영유아 상해보험 가입’, ‘예․결산서 및 회계장부 구비’ 3항목이던 것이 2010년부터 ‘영유아보육법 관련 행정처분 등’이 첨가되어 4항목으로, 다시 2013년부터 ‘어린이집의 설치기준’, ‘보육실의 설치기준’, ‘보육교직원의 배치기준’, ‘보육교직원의 정기 건강 검진’, ‘비상대피 시설 설치’가 필수항목으로 전환되어 필수항목을 9항목으로 정하여 법적 기준을 강화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 자체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인가? 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와 관련된 문제점은 평가인증지표 자체가 안고 있는 문제점, 평가인증지표의 이해 창구인 참여설명회에서 나타난 문제점, 그리고 평가인증과정에서 지표에 따른 채점 절차인 현장관찰 및 관찰자와 관련된 문제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어린이집 평가인증지표 자체의 가장 큰 문제점은 획일화된 평가인증지표로 인해 각 시설마다 다양한 특색이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하영례, 2008). 일례로 기존 평가인증지표들이 대부분 만 3세 이상 유아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있고(최경애, 양옥승, 2004) 영아의 발달적 특성과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아 영아에게 그대로 적용하기 힘든 실정이며(이미정, 이진희, 2010), 심지어 영아반 교사가 참고할 수 있는 평가인증 관련 자료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옥경, 2009).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목적은? 우리나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는 질적으로 우수한 보육서비스에 대한 평가인증을 통해 안전한 보육환경에서 양육될 영유아의 권리보장, 보육서비스의 수준을 높이는 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 증진, 부모들이 합리적으로 어린이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보육현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관리하는 정책 수립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일정한 기간을 주기로 점진적으로 보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해 나갈 수 있도록 중장기 계획에 따라 시행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후 사후유지가 어려운 이유는? 둘째, 평가인증 후 사후유지 및 관리와 관련된 문제점으로는, 대부분 평가인증 당시의 수준으로 잘 유지되고 있으나 일부 평가항목에서는 평가인증 신청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김동례, 2007; 박경희, 2009; 박경희, 2012). 사후유지가 어려운 이유는 교사의 업무과중 외에도 영유아보육시간이 길고, 재인증을 위한 문서 및 서류작업이 많으며,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및 관리 의지가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문순정, 2010; 장상란, 서현아, 2009). 평가인증 통과 후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은 자신들이 지급받는 인센티브가 부적절하며 평가인증 점수와 등급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 전반적으로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정재은, 정은정, 2012), 사후유지관리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교사의 의지 및 지속적 근무를 중요시하였다(조현옥, 최인화,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강미옥(2008). 경남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수경(2009).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의 평가위원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강옥주(2008).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 지표에 관한 인식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금미숙(2007).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에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혜, 김진숙(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반응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6), 85-112. 

  6. 김남희(2010). 유아교육평가의 구조적 문제 진단 및 방향 모색을 위한 탐색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9(4), 135-163. 

  7. 김동례(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명순(2004). 저소득층 영유아를 위한 보육의 긍정적 효과. 영유아보육과 파트너쉽, 삼성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6월 23일. 서울: 성균관대학교 600주년 기념관 새천년홀. 

  9. 김수향, 최연희(2009). 평가인증에 통과한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아동교육, 18(2), 65-78. 

  10. 김순덕(2010).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 통과후 인식과 사후관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정희(2004). 보육시설 평가 인증제 도입에 관한 의식 조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향은(2008).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 아동학회지, 29(1), 169-188. 

  13. 남미경(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의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연구, 30(1), 147-171. 

  14. 남미경, 김남희, 고은미(2009). 델파이 조사를 통한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서의 조력활동 평가 체제 개발. 영유아교육학논집, 13(5), 141-164. 

  15. 남선영(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시설장들의 인식연구: 2005년 평가인증 통과시설 대상.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라소영(2006).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시설의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류미선(2003).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에 따른 원내자율장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마미정(2006). 성공적인 보육시설 평가인증 준비과정을 위한 질적 접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111-135. 

  19. 문순정(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따른 사후 유지관리 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문지희(2003). 영유아 보육시설 평가인증 제도 도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박경희(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이후 사후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원주시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경희(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평가인증을 통과한 40인 이상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복매(2005).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시설장의 인식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영숙(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의 인식 : 경기도 용인시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보건복지부(2013).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서울 : 보건복지부. 

  26. 서문희, 이상헌, 임유경(200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도입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서은총(2012). 평가인증 방문조력가의 경험이야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여성가족부 보육정책국 보육재정팀(2006). 2006년 보육시설평가인증 시행계획. 

  29. 유희정(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범운영 결과 및 발전방안. 육아정책 포럼, 2, 6-19. 

  30. 이경채(2003).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기숙, 강수경(2012). 유아교육기관평가. 서울: 창지사 

  32. 이기숙, 김영옥, 박경자(2005). 보육경험과 유아의 인지 및 사회성 발달. 유아교육연구, 25(6), 255-275. 

  33. 이기심(2010). 평가인증제도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대균(2005). 한국과 미국, 호주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비교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9(2), 125-150. 

  35. 이미정, 이진희(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표의 영아 대상 적절성에 대한 영아전담 보육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111-135. 

  36. 이미정, 이현진(2011). 영아전담어린이집의 평가재인증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요구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3), 95-117. 

  37. 이숙자 (2005). 여성부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 옥(2002).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도입과 보육의 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 발표 자료집, 9-22. 

  39. 이완정, 허린강(2012). 보육교사의 평가인증경험과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자료집. 99-104. 

  40. 이은해, 유희정, 김온기(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범 사업 평가 및 사후관리. 육아정책개발센터 연구보고서. 30-31. 

  41. 이정숙(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이재완, 류수현(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장의 인식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361-381. 

  43. 이혜숙(2008).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과 평가인증에 따른 직무만족도.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장상란, 서현아(2009). 평가인증 후 어린이집 종사자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및 사후관리 실태. 생태유아교육연구, 8(3), 191-222. 

  45. 전춘애, 이미숙(2002). 보육시설의 구조적, 과정적 변인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5-124 

  46. 정재은, 정은정(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30(1), 67-94. 

  47. 조미환, 성은영(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참여에 따른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강원도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2(2), 101-119. 

  48. 조현옥, 최인화(2011).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2차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01-324. 

  49. 조형숙, 김현주(2005).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멘토링 의미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227-263. 

  50. 중앙보육정보센터(2013. 10. 7). 보육컨설팅. http://central.childcare.go.kr 

  51. 채혜선, 현정희(2008). 보육시설평가인증 참여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자기평가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2, 63-84. 

  52. 최경애, 양옥승(2004).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의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24(5), 5-23. 

  53. 최일선, 이기숙, 강숙현, 기현주(2000). 미국 , 영국 , 호주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제도 비교. 영유아교육연구, 3(1), 99-118. 

  54. 최지현, 박혜원(2000). 보육환경(보육시설 및 교사)이 영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논문집, 2(1). 73-87. 

  55. 탁옥경(2009). 자연 어린이집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탁옥경, 배지희(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7(4), 327-353. 

  57. 하영례(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준비과정의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4), 25-47. 

  58. 하영례, 고경필(2007). 평가인증제를 준비하는 교사의 '어려움' 분석-평가인증지표 7개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1, 127-153. 

  59. 홍은숙, 부성숙(2011). 보육시설 평가인증 재인증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조사. 발도르프교육연구, 3(2), 79-97. 

  60. 한국보육진흥원(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2013. 10. 7). https://www.kcpi.or.kr/ 

  61. 황인숙(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조사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황채영(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사후유지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자율장학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황해익(2009). 질적수준 제고를 위한 유아교육기관평가. 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03-126. 

  64. 황해익, 조준오, 김병만(2012). 보육컨설턴트의 역할과 자질 및 보육컨설팅 요구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3), 187-208. 

  65. ACEAQA(2013a). Introducing the National Quality Framework. (2013, October 7). http://www.acecqa.gov.au/national-quality-framework/introducing-the-national-qualityframework. 

  66. ACEAQA(2013b). Guide to Assessment and Rating for Services. (2013, October 7). http://fi les.acecqa.gov.au/files/Assessment%20and%20Rating/Guide%20to%20Assessment% 20and%20Rating%20for%20Services_130109.pdf. 

  67. Booth, C., & Kelly, J.(2002). Child car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oddlers with special need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7(2), 171-196. 

  68. Doherty-DeKowski, G.(1995). Quality matters : excellen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Don Mills, Ontario: Addison-Wesley Publishers Limited. 

  69. Field, T.(1992). Quality of infant day-care and grade school behavior and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62(4), 863-870. 

  70. Goffin, S.(2002). 영유아 교육기관의 인정제: 한국, 일본, 미국, 영국, 호주. 2002년 삼성복지재단국제학술대회: Succeeding with accreditation, 259-286. 

  71. NAEYC(2013a). Overview of the Four Steps. (2013, October 7). http://naeyc.org/academy/pursuing/ fourstepoverview. 

  72. NAEYC(2013b). NAEYC Early Childhood Program Standards and Accreditation Criteria & Guidance for Assessment. (2013, October 7).http://www.naeyc.org/files/academy/file/AllCriteria Document.pdf 

  73. OFSTED(2012). Framework for the regulation of provision on the Early Years Register. www.ofsted.gov.uk/resources/120288. 

  74. Oscar, a. B., Terry, M., Diane, E., Richard M. C., Donna, B., & Margaret, B.(2006). Quality of prekindergarten: what families are looking for in public sponsored program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7(4), 619-6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