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뎅기열은 아시아, 남태평양 지역,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지방에 걸쳐 널리 발생하며, 이러한 유행지역으로부터 돌아온 여행자들에게 중요한 감염 질환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풍토지역을 방문하는 여행자의 점차적인 증가로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의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해외에서 유입되는 뎅기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뎅기열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내며, 종종 예측할 수 없는 임상 증상과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감염자들은 저절로 회복되거나 경한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뎅기 출혈열이나 뎅기 쇼크와 같은 심각한 경과를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뎅기열 유행지역 방문자가 발열을 보이는 경우 뎅기열을 의심하는 것은 중요하며, 일단 의심이 되면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뎅기열 유행지역을 여행한 소아에서 발열, 두통, 구역, 발진 등이 발생하여 시행한 혈청검사에서 뎅기열로 진단된 2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ngue fever is an important health problem for international travelers to all endemic areas. The steadily increasing numbers of tourists visiting endemic areas raise the risk of exposure, and imported dengue cases are increasingly observed in nonendemic area. Dengue has a wide spectrum of clin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뎅기열 유행지역 방문자가 발열을 보이는 경우 뎅기열을 의심하는 것은 중요하며, 일단 의심이 되면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뎅기열 유행지역을 여행한 소아에서 발열, 두통, 구역, 발진 등이 발생하여 시행한 혈청검사에서 뎅기열로 진단된 2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World Health Organization. Dengue: guidelines for diagnosis, treatment, prevention and control: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ss, 2009. 

  2. Gubler DJ. The global emergence/resurgence of arboviral diseases as public health problems. Arch Med Res 2002;33:330-42. 

  3. Simmons CP, Farrar JJ, Nguyen v V, Wills B. Dengue. N Engl J Med 2012;366:1423-32. 

  4. Stienlauf S, Segal G, Sidi Y, Schwartz E. Epidemiology of travel-related hospitalization. J Travel Med 2005;12:136-41.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rends in imported cases of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2008;1. 

  6. Guzman MG, Kouri G, Bravo J, Valdes L, Vazquez S, Halstead SB. Effect of age on outcome of secondary dengue 2 infections. Int J Infect Dis 2002;6:118-24. 

  7. O'Brien DP, Leder K, Matchett E, Brown GV, Torresi J. Illness in returned travelers and immigrants/refugees: the 6-year experience of two Australian infectious diseases units. J Travel Med 2006;13:145-52. 

  8. Gibbons RV, Vaughn DW. Dengue: an escalating problem. BMJ 2002;324:1563-6. 

  9. Barrera R, Amador M, MacKay AJ. Population dynamics of Aedes aegypti and dengue as influenced by weather and human behavior in San Juan, Puerto Rico. PLoS Negl Trop Dis 2011;5:e1378. 

  10. Halstead SB. Dengue virus-mosquito interactions. Annu Rev Entomol 2008;53:273-91. 

  11. Lee CJ, Kim HR, Kim MJ. A case of imported dengue hemorrhagic fever. Korean J Infect Dis 1995;27:403-6. 

  12. Choi HH, Park JA, Kim JS, Hur YJ, Song MS, Hwang TG, et al. A case of an imported dengue hemorrhagic fever with spontaneous bleeding: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11;18:207-11. 

  13. Choi SH, Kim YJ, Shin JH, Yoo KH, Sung KW, Koo HH. International travel of Korean children and dengue fever: A single institutional analysis. Korean J Pediatr 2010;53:701-4. 

  14. Park HS, Kim KK, Yoon J, Lee KR, Suh HS. Two cases of dengue fever in family medicine. J Korean Acad Fam Med 2008;29:48-51. 

  15. Solomon T, Dung NM, Vaughn DW, Kneen R, Thao. LT, Raengsakulrach B, et al. Neurological manifestations of dengue infection. Lancet 2000;355:1053-9. 

  16. Cobra C, Rigau-Perez JG, Kuno G, Vorndam V. Symptoms of dengue fever in relation to host immunologic response and virus serotype, Puerto Rico, 1990-1991. Am J Epidemiol 1995;142:1204-11. 

  17. Rigau-Perez JG, Clark GG, Gubler DJ, Reiter P, Sanders EJ, Vorndam AV. Dengue and dengue haemorrhagic fever. Lancet 1998;352:971-7. 

  18. Jelinek T, Muhlberger N, Harms G, Corachan M, Grobusch MP, Knobloch J, et al.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imported dengue fever in Europe: sentinel surveillance data from TropNetEurop. Clin Infect Dis 2002;35:1047-52. 

  19. Srikiatkhachorn A, Krautrachue A, Ratanaprakarn W, Wongtapradit L, Nithipanya N, Kalayanarooj S, et al. Natural history of plasma leakage in dengue hemorrhagic fever: a serial ultrasonographic study. Pediatr Infect Dis J 2007;26:283-90. 

  20. Kalayanarooj S, Vaughn DW, Nimmannitya S, Green S, Suntayakorn S, Kunentrasai N, et al. Early clinical and laboratory indicators of acute dengue illness. J Infect Dis 1997;176:313-21. 

  21. Harris E, Roberts TG, Smith L, Selle J, Kramer LD, Valle S, et al. Typing of dengue viruses in clinical specimens and mosquitoes by single-tube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 PCR. J Clin Microbiol 1998;36:2634-9. 

  22. Chan SY, Kautner IM, Lam SK. The influence of antibody levels in dengue diagnosi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J Virol Methods 1994;49:315-22. 

  23. Schwartz E, Mileguir F, Grossman Z, Mendelson E. Evaluation of ELISA-based sero-diagnosis of dengue fever in travelers. J Clin Virol 2000;19:169-73. 

  24. Dung NM, Day NP, Tam DT, Loan HT, Chau HT, Minh LN, et al. Fluid replacement in dengue shock syndrome: a randomized, double-blind comparison of four intravenous-fluid regimens. Clin Infect Dis 1999;29:787-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