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Elastomers and composites =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48 no.4, 2013년, pp.294 - 299
문지연 (코스모신소재) , 정경호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박문수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Solution polymerization was conducted with water-soluble methacrylic acid (MAA) as a monomer and potassium persulfate (KPS) as an initiator at a selected temperature betwee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poly(methacrylic acid)의 특징은 무엇인가? | 이러한 수용성고분자는 수용액에 소량만을 첨가하여도 점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과 수소결합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물성으로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1-7 이 중 poly(methacrylic acid) (PMAA)는 이온화의 정도와 분자량의 차이에 따라 코일구조 (hypercoiled structure)로부터 밀집된 송이구조 (packed cluster structure)까지 단계적으로 입체형태 (conformation)를 달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이러한 특성은 자극에 예민한 (stimuli-sensitive) hydrogel에로의 응용 뿐만 아니라, 선택적 투과막 (selective membrane), 이온교환수지, 약물전달, 화장품, 접착제, 폐수정화 등의 분야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 |
수용성고분자가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는? | 수용성고분자인 poly(acrylic acid), poly(acrylamide), poly(meth- acrylic acid)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합성전해질이다. 이러한 수용성고분자는 수용액에 소량만을 첨가하여도 점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과 수소결합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물성으로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1-7 이 중 poly(methacrylic acid) (PMAA)는 이온화의 정도와 분자량의 차이에 따라 코일구조 (hypercoiled structure)로부터 밀집된 송이구조 (packed cluster structure)까지 단계적으로 입체형태 (conformation)를 달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poly(methacrylic acid)의 이온화의 정도와 분자량의 차이에 따라 바뀌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어떤 분야에 이용되고 있는가? | 1-7 이 중 poly(methacrylic acid) (PMAA)는 이온화의 정도와 분자량의 차이에 따라 코일구조 (hypercoiled structure)로부터 밀집된 송이구조 (packed cluster structure)까지 단계적으로 입체형태 (conformation)를 달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이러한 특성은 자극에 예민한 (stimuli-sensitive) hydrogel에로의 응용 뿐만 아니라, 선택적 투과막 (selective membrane), 이온교환수지, 약물전달, 화장품, 접착제, 폐수정화 등의 분야에서도 이용되고 있다.9 |
S. Beuermann, M. Buback, P. Hesse and I. Lacik, "Free-Radical Propagation Rate Coefficient of Nonionized Methacrylic Acid in Aqueous Solution from Low Monomer Concentrations to Bulk Polymerization", Macromolecules, 39, 184 (2006).
S. Beuermann, M. Buback, P. Hesse, R. A. Hutchinson, S. Kukuckova and I. Lacik, "Termination Kinetics of the Free-Radical Polymerization of Nonionized Methacrylic Acid in Aqueous Solution", Macromolecules, 41, 3513 (2008).
R. J. Minari, G. Caceros, P. Mandelli, M. M. Yossen, M. Gonzalez-Sierra, J. R. Vega and L. M. Gugliotta, "Semibatch Aqueous-Solution Polymerization of Acrylic Acid: Simultenaeous Control of Molar Masses and Reaction Temperature", Macromol. Reac. Eng., 5, 223 (2011).
S. Muthukrishnan, E. H. Pan, M. H. Stenzel, C. Barner-Kowollik, T. P. Davis, D. Lewis and L. Barner, "Ambient Temperature RAFT Polymerization of Acrylic Acid Initiated with Ultraviolet Radiation in Aqueous Solution", Macromolecules, 40, 2978 (2007).
M. Buback, P. Hesse and I. Lacik, "Propagation Rate Coefficient and Fraction of Mid-Chain Radicals for Acrylic Acid in Aqueous Solution", Macromol. Rapid Commun., 28, 2049 (2007).
I. Rintoul and C. Wandrey, "Magnetic field effects on the free radical solution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Polymer, 48, 1903 (2007).
B. Grassel, G. Clisson, A. Khoukh and L. Billon, "Nitroxide-mediated radical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in water solution", Euro. Polymer J., 44, 50 (2008).
H. Mark, N. Bikales, C. Overberger and G. Menges, "Encyclopedia of Polym. Sci. & Eng", 2nd Ed., p. 560, 1989.
I. Lacik, L. Ucnova, S. Kukuckova, M. Buback, P. Hesse and S. Beuermann, M. Buback, "Propagation Rate Coefficient of Free-Radical Polymerization of Partially and Fully Ionized Methacrylic Acid in Aqueous Solution", Macromolecules, 42, 7753 (2009).
J. Barth and M. Buback, "SP-PLP-EPR Study into the Termination Kinetics of Methacrylic Acid Radical Polymerization in Aqueous Solution", Macromolecules, 44, 1292 (2011).
S. Jiang, E. D. Sudo, V. L. Dimonie and M. S. El-Aasser, "Kinetics of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and n-Butyl Acrylate: Effect of Initiator Concentration", Macromolecules, 40, 4910 (2007).
N. F. G. Wittenberg, M. Buback and R. A. Hutchinson, "Kinetics and Modeling of Methacrylic Acid Radical Polymerization in Aqueous Solution", Macromol. React. Eng., 7, 267 (2013)
S. Beuermann, M. Buback, P. Hesse, F. Kuchta, I. Lacik and A. M. van Herk, "Critically Evaluated Rate Coefficients for Free-radical Polymerization Part 6: Propagation Rate Coefficient of Methacrylic Acid in Aqueous Solution", Pure Appl. Chem., 79-8, 1463 (2007).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