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크리깅을 이용한 소나무림 지위지수 공간분포 추정
Spatial Estimation of the Site Index for Pinus densiplora using Kriging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2 no.4, 2013년, pp.467 - 476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  박기호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국토문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입지도의 지위지수 정보는 조사지점에만 존재하므로 미조사 지역에 대한 지위지수는 별도의 추정이 필요하다. 미조사 지역의 지위지수 추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점자료로부터 연속표면을 생성하는 공간 내삽법인 크리깅 기법을 적용하였다. Chapman-Richards 생장모델을 이용하여 표준지별 지위지수 추정치를 구한 뒤 가우시안, 구형 및 지수형 베리오그램 모델별로 정규크리깅을 이용하여 단양 전역의 소나무림 지위지수를 격자단위($30m{\times}30m$)로 추정하였다. 교차검증을 위해 평균오차(ME), 평균표준오차(ASE) 및 평균제곱근오차(RMSE)를 계산하였다. 베리오그램 모델 적합 결과, 상대 너깃이 가장 큰 가우시안 모델(37.40%)이 제외되었으며 구형 모델(16.80%)과 지수형 베리오그램 모델(8.77%)이 선택되었다. 크리깅에 의한 지위지수 추정치는 지수형 모델을 적용한 경우 4.39~19.53, 구형모델을 적용한 경우 4.54~19.23의 분포를 보였다. 교차 검증 결과, RMSE는 두 모델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형모델의 ME와 ASE가 지수형 모델보다 작기 때문에 구형 베리오그램 모델 기반 지위지수 지도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지위지수 지도로부터 산출된 단양지역 소나무림 평균 지위지수는 10.78로 추정되었다. 공간이질성이 큰 우리나라 산림의 바이오매스 추정 시 지위지수 지도를 통해 지역적 변이를 고려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탄소저장량 분포 추정의 정확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te index information given from forest site map only exist in the sampled locations. In this study, site index for unsampled locations were estimated using kriging interpolation method which can interpolate values between point samples to generate a continuous surface. Site index of Pinus densip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위지수의 공간적 자기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표본간의 거리 h의 증가에 따른 속성 값의 상관성 변동을 보여주는 실험적 베리오그램을 작성하였다. 이때 분리거리는 ArcGIS geostatistical analyst의 분리거리 초기값을 시작으로 베리오그램이 가장 잘 적합되는 분리거리를 반복해서 찾는 과정을 통해 분리거리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바이오매스 밀도의 공간이질성은 무엇에 기인하는가? 산림바이오매스 밀도의 공간이질성은 산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토양, 지형적 차이에 기인한다(Brown et al., 1989; Iverson et al.
지위지수의 추정이 표본점 위주로만 활용이 제한되어 있는 이유는? 지위는 임분 기준령(Index age)에서 우세목 또는 준우세목의 평균 수고로(Lee, 2000; Skovsgaard and Vanclay, 2008) 이는 임분 내 상층목의 수고가 임분밀도에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도 임분이 가지고 있는 생산능력을 잘 표현하기 때문이다(Korea Forest Service, 2001). 지위지수의 추정은 대부분 현지 조사에 의존하므로 표본점 위주로만 그 활용이 제한되어 있다(Véga and St-Onge, 2009). 우리나라의 경우 산림입지도 속성 정보에 지위지수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소나무 지위지수와 토양형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산림입지도와 소나무 지위지수 예측지도를 중첩한 결과, 단양지역의 갈색산림토양(B1, B2, B3)에서는 낮은 지위지수를 암적색산림토양(DR1, DR2, DR3)에서는 높은 지위지수가 관찰된 이유는? 소나무 지위지수와 토양형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산림입지도와 소나무 지위지수 예측지도를 중첩한 결과, 단양지역의 갈색산림토양(B1, B2, B3)에서는 낮은 지위지수를 암적색산림토양(DR1, DR2, DR3)에서는 높은 지위지수가 관찰되었다(Figure 13). 이는 암적색산림토양이 소나무 생장에 양호한 조건이라기 보다는 암적색산림토양형이 분포하는 지역인 남한강 지역이 고도가 낮고(Figure 2) 수분조건이 양호하여 소나무 생육에 적합한 입지환경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왜냐하면 소나무림은 모재나 표토에 대한 특이성이 적어(Yoon, 2003) 갈색산림토양형에서부터 암쇄토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지만 습윤비옥한 입지환경에서 더욱 잘 자라는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rown, S., Gillespie, A.J.R., and Lugo, A.E. 1989. Biomass estimation methods for tropical forests with applications to forest inventory data. Forest Science 35: 881-902. 

  2. Choi, J.K. 2007. Geostatistcs. Sigma press. pp. 386. 

  3. EPA. 2004. Developing spatially interpolated surfaces and estimating uncertainty. pp. 160. 

  4. Fournier, R.A., Guindon, L., Bernier, P.Y., Ung, C.-H., and Raulier, F. 2000. Spatial implementation of models in forestry. The Forestry Chronicle 76(6): 929-940. 

  5. Hall, R.J., Price, D.T., Siltanem, R.M., Wang, Y., Fournier, R., Fraser, R.H., and Luther, J.E. 2001. Assessing the role of environmental and remote sensing variables in modeling Canada's forest biomass. 23rd Canadian Remote Sensing Symposium. Ste Foy, Quebec, pp. 465-471. 

  6.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 Strategies(IGES), Kanagawa, Japan. pp. 576. 

  7. Iverson, L.R., Brown, S., Prasad, A., Mitasova, H., Gillespie, A.J.R., and Lugo, A.E. 1994. Use of GIS for estimating potential and actual forest biomass for continental South and Southeast Asia. In: V.H. Dale(ed.). Effects of land-Use change on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s: south and southeast Asia as a case study. Springer, New York, pp. 67-116. 

  8. Kim, D.H., Ryu, D.W., Choi, Y.M., and Lee, W.J. 2010. Application of Kriging and Inverse Distance Weighting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Geo-Layer of Songdo Area in Inche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6(1): 5-19. 

  9. Kimmins, J.P. 1997. Forest ecology 2nd ed. Prentice-Hall. pp. 596. 

  10. Kitanidis, P.K. 1997. Introduction to geostatistics: applications in hydrogeology. Cambridge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pp. 251. 

  1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9. Pine, Pine Forest. pp. 205. 

  1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4. Forest sites of Korea. pp. 620. 

  1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9.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Guideline. Ver. 1.3. pp. 54. 

  1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Economic Tree Species 1 Pine Trees. Research Book 59. pp. 250. 

  15. Korea Forest Service. 2001. Dictionary of Forestry. Korea Forest Policy Research Association. pp. 1341. 

  16. Korea Forest Service. 2009. Climate change & forest. pp. 244. 

  17. Korea Forest Service. 2011. Result of calculation of Forest Basic Statistics(2010). pp. 48. 

  18. Lee, S.H. 2000. Prediction of height growth and derivation site index equation. Korean Journal of Forest Measurements 3(1): 29-34. 

  19. Lee, S.W., Won, H.K., Jeon, Y.H., Jeon, J.H., Ku, K.S., Kang, Y.H., Sohn, Y.M., and Shin, M.H. 2009. A study on history and utilization of suitable tree on a site. Research report 09(0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128. 

  20. Lee, H.Y. 2010,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Bobmunsa. pp. 688. 

  21. Meng, Q., Cieszewski, C., and Madden, M. 2009. Large area forest inventory using Landsat ETM+: a geostatistical approach.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64(1): 27-36. 

  22. Palmer, D.J., Hock, B.K., Kimberley, M.O., Watt, M.S., Lowe, D.J., and Payn, T.W. 2009. Comparison of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for developing Pinus radiata productivity surfaces across New Zealan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8: 2046-2055. 

  23. Park, N.W. and Jang, D.H. 2008. Mapping of Temperature and Rainfall Using DEM and Multivariate Kriging.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Journal 43(6): 1002-1015. 

  24. Robinson, A.P. and Hamann, J.D. 2011. Forest Analytics with R. Springer. pp.339. 

  25. Tang, D. and Bian, F. 2009. Forest site evaluation based on GIS and kriging.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cience and Engineering(ICISE2009). pp. 2063-2067. 

  26. SAS Institute. 2000. SAS/STAT user's guide. Version 8.01. SAS Institute, Cary, NC. pp.3809. 

  27. Shin, M.Y. and Han, W.S. 2006. Development of a Forest Inventory System for th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Forestry 95(3): 370-377. 

  28. Skovsgaard, J.P. and Vanclay, J.P. 2008. Forest site productivity: a review of the evolution of dendrometric concepts for even-aged stands. Forestry 81: 13-31. 

  29. Sousa, V. and Pereira, L.P. 1999. Regional analysis of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using kriging:Application to potato crop.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40: 221-233. 

  30. Vega, C and St-Onge, B. 2009. Mapping site index and age by linking a time series of canopy height models with growth curv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7: 951-959. 

  31. Webster, R. and Oliver, M.A. 2007. Geostatistics for Environmental Scientists. Statistics in Practice(2nd). John Wiley & Sons. Chichester, England. pp.330. 

  32. Yoon, J.H. 2003. Characteristics and change predic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at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pp. 160. 

  33. Danygang County Office. 2012. The Characteristic of Dangyang-Gun. 

  34. http://www.danyang.chungbuk.kr/dy21/happydanyang/?menu 010104 (2012.09.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