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귀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도시부 차량주행거리 산정
Estimation of the VKT(vehicle kilometers traveled) in Urban Areas using Regression Kriging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6 no.4, 2017년, pp.132 - 152  

김현승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박동주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홍다희 (한국교통연구원) ,  허태영 (충북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이철기 (아주대학교 교통.ITS대학원) ,  서태교 ((주)태영알앤디)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부 도로의 혼잡 및 지체가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중 국내외에서 교통네트워크 성능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교통네트워크 성능평가의 대표적인 항목은 차량주행거리를 들 수 있다. 차량주행거리는 해당 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들의 이동거리 합으로 다양한 교통정책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6대 광역시를 대상으로 차량주행거리 산정방법론을 정립하고 이를 적용하여 차량주행거리를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6대 광역시 대상 수집된 도로교통량과 회귀크리깅을 이용하여 추정한 교통량 미수집 구간의 교통량을 활용하여 차량주행거리를 산정하였다. 도시부 도로의 네트워크 형상과 교통량 미수집구간 위치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통량 추정방법을 향후 차량주행거리 산정에 있어 큰 효용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twork performance measure has been more and more important in transportation sector because traffic congestio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urban area. VKT is defined a sum of traveled distances of whole vehicles on the road network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sure of effectiveness (MO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국내 6대 광역시를 대상으로 도시부 차량주행거리 산정방안을 정립하고 이 방법을 적용하여 차량주행거리를 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차량주행거리 산정과 관련된 기존문헌 고찰을 통해 차량 주행거리 산정 오차발생 원인을 살펴보고 본 논문에서 차량주행거리를 산정함에 있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는 도시지역 내 집분산도로를 제외한 간선도로(도시고속화도로(urban expressway), 주간선도로(main-arterial), 보조간선도로(sub-arterial))만을 차량주행거리 산정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단, 도로의 기능구분은 도로의 물리적 속성과는 별개로 기능적 속성으로 구분되며, 도로의 기능적 속성은 분석대상 도시 내 교통량 처리량 또는 도시계획상 해당 도로에 부여(설정)된 정책적 역할(기능)에 따라 나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에 각 도시마다 명목상․실질적 도로의 기능이 부여된 도시교통정비계획(Basic Plan for Urban Traffic Improvement)이나 도시기본계획(Urban Master Plan)에 준하여 각 분석 대상도시 내 도로 기능구분을 하였다.
  • 교통축 설정 과정은 차량주행거리 산정 대상도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도시지역 내 도로위계구분상의 집분산도로 수준까지 관련 자료획득이 어려워 집분산도로 수준까지 차량주행거리를 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이에 적절한 기준으로 차량주행거리 산정 대상 도로 및 교통축을 선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량에 기초하지 않은 차량주행거리 산정방법은 어떻게 산정되는가? 교통량에 기초하지 않은 차량주행거리 산정방법(non-traffic count-based model)은 연료판매, 가구크기, 가구수입, 연구, 운전면허자수, 통행발생행태 등의 사회경제적 자료, 즉 비교통량 자료를 활용하여 차량주행거리를 산정한다. 이 방법은 사회경제적 자료의 정기적인 수집을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정확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차량주행거리 산정에서 교통량에 기초한 방법은 어떻게 산출하는가? 교통량에 기초한 차량주행거리 산정방법(traffic count-based model)은 차량이동에 대한 실적 값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현재 가장 선호되고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표본구역의 24시간 교통량을 기준으로 산정한 ‘표본구역 차량주행거리’에 표본구역의 중심 주행거리를 곱하여 산출한다. 모든 도로에 대해 교통량 수집이 가능할 경우 차량 주행거리 추정이 불필요하나, 대부분 교통량 수집은 표본 추출에 의한 표본구역 자료를 통해 얻어진다.
교통네트워크 성능평가에서 차량주행거리는 어떤 지표인가? 차량주행거리(VKT, Vehicle Kilometers Traveled)는 해당 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들의 이동거리 합으로, 혼잡(량) 및 혼잡요금 산정,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등 다양한 교통정책분석의 기초자료로 이용되는 중요 지표이다. 해외에서는 1990년대부터 교통DB를 이용하여 교통량 기반 차량주행거리를 산정해오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교통량 부재로 차량주행기록계를 기반으로 한 차량주행거리만이 제공됨에 따라 도로별․지역별 정확한 차량주행거리는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2012), 2011 Vehicle Kilometers Traveled(VKT) Analysis. 

  2. Kumapley R. K. and Fricker j. D.(1996), "Review of Methods for Estimating Vehicle Miles Travele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1551. 

  3. Gadda S., Kochelman K. and Maggon A.(2007), "Estimates of AADT: Quantifying the Uncertainty," presented at the World Conference on Transportation Research(WCTR). 

  4. FHWA(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2013), "Highway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Field Manual". 

  5. Lim S. H.(2005), "Classification Method of Homogeneous Road Sections for Traffic Survey of National Highway," Seoul Studies, vol. 6, no. 3, pp.127-135. 

  6. Frawley W. E.(2007), "Random Count Site Selection Process for Statistically Valid Estimations of Local Street Vehicle Miles Travele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7. Kim H. Y.(2010), "A Geostatistical Approach for Improved Prediction of Traffic Volume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3, no. 4, pp.138-147. 

  8. Selby B. and Kockelman K.(2011), "Spatial Prediction of AADT in Unmeasured Location by Universal Kriging,"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90th Annual Meeting, no.11-1665. 

  9. Wang X. and Kockelman K. M.(2009), "Forecasting Network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105, no. 1, pp.100-108. 

  10. Eom J. K., Park M. S., Heo T. Y. and Huntsinger L. F.(2006), "Improving the prediction on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for nonfreeway facilities by applying a spatial statisticl metho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1968, no. 1, pp.20-29. 

  11.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2012), "Guide book for Structure and facility of Highway-Revised Version". 

  12. KOTI(Korea Transport Institute)(2013), Estimation of VKT Estimation in Kwacheon City. 

  13. Alex B., McBratney, Inakwu O. A. Odeh, Thomas F. A. Bishop, Marian S. Dunbar, Tamara M. Shatar(2000), "An overview of pedometric techniques for use in soil survey," Geoderma, vol. 97, Issues 3-4, pp.293-327. 

  14. KOTI(Korea Transport Institute)(2014), Estimation of VKT Estimation using Kriging in Bucheon C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