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산림황폐지 복구를 위한 REDD 메커니즘 사전 검토
A Preliminary Review of REDD Mechanism for Rehabilitating Forest Degradation of North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2 no.4, 2013년, pp.491 - 498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 산림황폐화를 방지하기 위한 남북한 협력 수단으로 REDD 메커니즘의 적용 가능성을 사전 검토하였다. 북한은 기후변화협약이 국가 단위의 REDD+ 메커니즘의 이행 조건으로 요구한 REDD+ 국가 전략 수립과 산림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구비하지 못하였다. 또한 북한은 REDD 메커니즘을 적용하기 위한 토대인 산림자원 통계의 신뢰성 역시 부족하였다.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추정한 산림면적 자료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림자원 통계는 신뢰할만한 산림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 단순한 가정을 기초로 추정된 것이다. 이러한 검토 결과는 북한이 산림황폐지 복구 수단으로 REDD 메커니즘을 당장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REDD 메커니즘을 북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 주제와 남북한 산림부문의 협력 의제를 제안하였다. (1) 최소한 2000년 이후 북한지역의 토지이용변화 탐지, 탄소축적변화 추정 및 산림전용 산림황폐화의 원인 구명 연구가 필요하다. (2) 남북한의 REDD+ 협력은 북한의 'REDD+ 국가 전략 수립' 및 '국가산림조사 체계 구축' 부문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liminary feasibility of REDD mechanism to combat forest degradation in North Korea is reviewed as a means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North Korea has not established a national REDD+ strategy and a forest monitoring system which are required to implement REDD+ under the 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표적으로 북한지역 황폐지 조림과 탄소배출권을 연계하는 조림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을 들 수 있다. CDM 사업을 통해 북한은 남한의 재정 지원으로 산림황폐지를 감소시키고 남한은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판매하거나 향후 국내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상쇄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산림청(KFS, 2009)은 ‘남북 산림협력 증진 방안’을 수립하고 북한의 평양, 혜산, 개성 등 8개 지역을 조림 CDM 사업 가능 대상지로 선정, 사업 추진에 대비하였다.
  • 이런 측면에서 북한이 기후변화협약이 요구하는 REDD 메커니즘의 참여 요건을 얼마나 충족하고 있는지를 사전에 검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음으로 북한이 REDD 메커니즘에 참여하기 위한 기본 토대인 국가 단위 산림면적, 임목축적, 산림바이오매스 및 탄소축적 자료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와 FAO 추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REDD의 명칭이 내포하고 있듯이 신뢰할만한 산림면적 변화의 탐지와 탄소축적 변화의 추정은 REDD 메커니즘을 이행하는 토대이다.
  • 마지막으로 REDD 메커니즘 적용과 연결된 남북한 산림부문 협력 의제를 국가 수준에서 제안해 보고자 한다. 북한이 국가 수준에서 REDD+ 메커니즘을 통해 선진국의 재정 지원을 받으려면 REDD+ 국가 전략 또는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국가 산림 모니터링 체계를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 북한 산림황폐화를 방지하기 위한 남북한 협력 수단으로 REDD 메커니즘의 적용 가능성을 사전 검토하였다. 북한은 기후변화협약이 국가 단위의 REDD+ 메커니즘의 이행 조건으로 요구한 REDD+ 국가 전략 수립과 산림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구비하지 못하였다.
  • 이 논문은 북한 산림황폐화를 방지하기 위한 남북한 협력 수단으로 REDD(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메커니즘의 적용 가능성을 사 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전 검토 사항으로 (1) 국가 단위에서 REDD 메커니즘을 이행하기 위한 필수 요구사항과 (2) REDD 메커니즘을 적용하기 위한 토대인 북한 산림자원 통계, 특히 산림면적 자료의 신뢰성을 다루었다.
  • VCS는 시간과 경비를 고려하여 최소한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지하부 바이오매스의 탄소축적 변화를 측정하면 REDD 사업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논문은 현재 북한의 산림면적, 임목축적, 산림바이오매스 및 탄소축적 자료를 검토하고자 한다.
  • 사전 검토 사항으로 (1) 국가 단위에서 REDD 메커니즘을 이행하기 위한 필수 요구사항과 (2) REDD 메커니즘을 적용하기 위한 토대인 북한 산림자원 통계, 특히 산림면적 자료의 신뢰성을 다루었다. 이를 바탕으로 REDD 메커니즘을 북한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연구 주제 및 남북한 산림부문의 협력 의제를 제안 하고자 한다.
  • 이러한 검토 결과는 북한이 산림황폐지 복구 수단으로 REDD 메커니즘을 당장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하 사전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REDD 메커니즘을 북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 주제와 남북한 산림부문 협력 의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0만 ha를 산림면적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1990-1996년간 연간 산림감소 면적 12.6만 ha가 2000년, 2005년, 2010년까지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여 북한 산림면적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은 북한 산림전용률이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낳게 한다.
  • 남북한이 분단될 때 강원도가 남북한에 부분적으로 분할될 것을 반영하여 북한지역 산림면적을 추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남북한 분단 시 강원도의 37%가 북한지역에 편입되었다는 것을 고려하여 1933-1943년간 강원도의 입목지 면적의 37%가 북한지역에 포함되었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 하에 1933-1943년간 북한지역의 산림면적은 614만-634만 ha로, 전체 토지면적에서 차지하는 산림률은 50-51%를 차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이 기후변화 협약 하에서 REDD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선진국의 재정 지원과 기술이전을 받기 위해서는 무엇을 구비해야하는가? REDD는 기후변화협약 하에서 논의되는 개발도상국(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 활동 중 하나이다. 북한이 기후변화 협약 하에서 REDD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선진국의 재정 지원과 기술이전을 받으려면 제16차 당사국총회에서 결정한 개도국의 필수적인 참여 요건을 구비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북한이 기후변화협약이 요구하는 REDD 메커니즘의 참여 요건을 얼마나 충족하고 있는지를 사전에 검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북한지역에서 산림황폐화로 인한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하는데 대표적으로 어떤 것이 있는가? 북한지역에서 산림황폐화로 인한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홍수, 가뭄, 산사태 등과 같은 자연재해와 이로 인한 인명 피해를 들 수 있다. 2007년 북한은 세계 128개국 중 두 번째로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로 평가(Germanwatch, 2008)되었는데, 홍수, 가뭄 등 자연재해로 인해 인구 10만 명 당 2.
REDD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이용하였다. REDD는 기후변화협약 하에서 논의되는 개발도상국(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 활동 중 하나이다. 북한이 기후변화 협약 하에서 REDD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선진국의 재정 지원과 기술이전을 받으려면 제16차 당사국총회에서 결정한 개도국의 필수적인 참여 요건을 구비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grawal, A., Nepstad, D. and Chhatre, A. 2011.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Annual Review of Environmental Resources. 2011.36: 373-396. 

  2. Bae, J.S. 1997. A study on the Chosun forest policy during the rule of Imperialist Japan: With an emphasis on the national forest policy.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pp.281. 

  3. Bae, J.S. 2012. Development of criteria for evaluating Indonesia's REDD+ strateg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4): 606-612. 

  4. Bae, J.S. 2013. Indonesia's REDD+ national strategy between ideal and real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2): 189-197. 

  5. Bae, J.S. and Bae, K.K. 2009. Assessment of the potential carbon credit from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enhancement of forest carbon stock activ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3): 263-271. 

  6. Bae, J.S., Joo., R.W. and Kim, Y-S. 2012. Forest transition in South Korea: Reality, path and drivers. Land Use Policy 29: 198-207. 

  7. Bae, J.S., Jung, B.H, Joo, R.W., Park., K.S., Lim, J.H., Han., S.H. and Min, K.S. 2009. A guidebook for af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CDM.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09-30. pp. 380. 

  8. Bae, J.S., Kim, Y.H. and Han, K.J. 2013. Trends of forest carbon market and new opportunities for forest management. Agriculture Prospect 2013(I). pp. 523-557. 

  9. Diaz, D., Hamilton K. and Johnson, E. 2012. State of the Forest Carbon Markets 2011. Ecosystem Marketpalce. pp. 70. 

  10. DPRK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00. DPRK's First National Communication under the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DPRK. pp.68. 

  11. DPRK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02. National Report to the Third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Forum on Forests. Ministry of Land and Environment Protection, DPRK. 

  12. FAO (Food and Agriculture of the United Nations). 2010. Country Repor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Global Forest Resouces Assessment 2010. Rome, Italy. pp.37. 

  13. Germanwatch. 2008. The 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 A comparison of emissions trends and climate protection policies of the top 56 CO2 emitting nations. pp.19. 

  14. Government of the Kingdom of Norway (Norway) and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ROI). 2010. Letter of Intent (LOI): Cooperation o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Oslo, Norway. 

  15. Han, K.J. 2005. An economic analysis of forest sink CDM in North Korea.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ROK). pp. 97. 

  16. Harmeling, S. and Eckstein, D. 2013. Global Climate Risk Index 2013: Who suffers most from extreme weather events? Weather-related loss events in 2011 and 1992 to 2011. Germanwatch Briefing Paper. pp. 27. 

  17. IETA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Association). 2012 (7th Edition), GHG Market Sentiment Survey. pp. 22. 

  18.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3. In Perman, J. et al., (eds.).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GES, Kanagawa, Japan. 

  19. JGGI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Various years (1927-1943), Statistical Yearbook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JGGJ, Seoul (in Japanese). 

  20. Jo, J.H., Koo, J.C. and Youn, Y.C. 2011. Economic feasibility of REDD project for preventing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4): 630-638. 

  21. KFR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9. Forest degradation detection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Annual report of KFRI (Forest resources 5-III). pp. 303-311. 

  22. KFR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8, A study on forest degradation detection of North Korea and suitable site selection of af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CDM in Gyeseong a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Annual special report of KFRI. Special report of KFRI. pp. 50. 

  23. KFS (Korea Forest Service). 2013. Development of Greenhouse Gas Inventory System in forest sector for Post-2012 Climate Regime. Special Paper of Korea Forest Service. pp. 352. 

  24. Korea Forest Service (KFS). 2009. Improvement options for forest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pp. 78. 

  25. Kim, U.K. 1997. Agriculture and forestry of North Korea. Ministry of Information. pp. 181. 

  26. Kossoy, A. and Guigon, P. 2012. State and trends of the carbon market 2012. Carbon Finance, World Bank. Washington, USA. pp. 133. 

  27. Lee, K-S., Jung, M-R. and Yoon, J-S. 1999.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cover changes in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8(3): 352-363. 

  28. Lee, S.H., Chung, S.H. and Song, J.H. 1998. Forest resources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Journal of Forest Science of KFRI 58: 1-13. 

  2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3. Act of the Allocation and Trading of Greenhouse Gas Emission Permits. 

  30. Oh, Y-C. 2007. A study on the UNFCCC forestry mechanism in North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OK. pp. 162. 

  31. Oh, Y-C. 2012. A study on A/R CDM application for the forestation and deforested land in North Korea.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OK. pp. 79. 

  32. Park, C. and Yu, J. 2009. Forest degradation detection of North Korea using remote sensing. Collection of environmental papers 48: 3-24. 

  33. Park, K.S., Lee, S.Y. and Park, S.Y. 2011. A study on the basic directions for forest rehabilitation programs considering to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423-431. 

  34. Peters-Stanley, M., Hamilton, K. and Yin, D. 2012. State of Forest Carbon Markets 2012. Ecosystem Marketplace. pp.86. 

  35. 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03. DPR Korea: State of the Environment 2003. Thailand. pp. 65. 

  36. 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07.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pproaches to stimulate action. FCCC/CP/2007/6/Add.1, pp. 8-11. 

  37. 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05. Decision 16/CMP.1 on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38. 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10. Decision 1/CP.16, The Cancun Agreements: Outcome of the work of the Ad Hoc Working Group on Long-term Cooperative Action under the Convention (FCCC/CP/2010/7/Add.1). 

  39. 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11. Outcome of the work of the Ad Hoc Working Group on Long-term Cooperative Action under the Convention. 

  40. Verified Carbon Standard. http://v-c-s.org/ 

  41. Yoo, S.J., Lee, W.K., Lee, S.H., Kim, E.S. and Lee, J.Y. 2011. Approach for suitable site selection and analysis for reforestation CDM using satellite image and spatial data in North Korea.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9(3): 3-11. 

  42. Yu, J., Park, C. and Lee, S. 2011. Level 3 type land use cover (LULC) characteristics based on phenological phases of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7(4): 457-4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