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용승류 해역에서 채집한 난자치어의 종조성 및 시공간 변동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s in a Sea Area, wit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9 no.4 = no.57, 2013년, pp.309 - 314  

곽석남 (환경생태공학연구원) ,  허성회 (부경대학교) ,  김하원 (환경생태공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공용승류 해역에서 난자치어의 종조성 및 시공간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6월 13일, 9월 21일 및 25일에 난자치어 네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란은 4,849 ind./$1,000m^3$, 자치어는 641 ind./$1,000m^3$이였다. 출현한 어란 중 가장 우점한 종은 멸치(Engraulis japonicus)로써 총 출현량의 약 57.5 %를 차지하였다. 그 외 미동정(Unidentified) 어란 I, II, III, IV이 출현하였다. 자치어는 청베도라치(Pictiblennius yatabei)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돛양태류(Repomucenus sp.A, sp.B), 고등어(Scomber japonicus), 멸치(Engraulis japonicus), 전어(Konosirus punctatus)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동정(Unidentified) 자치어 I, II가 출현하였다. 대조구 해역에서는 어란은 멸치, 자치어는 돛양태류가 출현하였다. 시기별 변동에서는 어란 및 자치어 모두 7월에 가장 많았으며, 8월에 가장 낮았다. 정점별 변동에서는 인공용승이 일어나는 인근 정점인 2, 3번에서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량이 가장 많았다. 대조구 해역과의 비교하여 정점당 약 4배 이상 많은 어란 및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인공용승에 의한 영양염류 및 먹이생물의 증가로 인하여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s were investigated by Bongo net in a sea area wit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at 13, June, 21 September, and 23 September in 2012. A total of fish eggs was 4,849 ind./$1,000m^3$, and fish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해 동부 인공용승류 조성 해역에서, 여름과 가을철 난자치어 군집의 종조성과 인공용승류에 의한 난자치어의 분포와 현존량의 변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어란은 총 4종, 자치어는 9종이 출현하여 비교적 적은 출현종수를 보였다. 본 연구는 비교적 단기간 조사에 의한 인공용승류가 난자치어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기 때문에 장기간 조사에 비해 출현종수가 적었다. 그리고 종다양도지수와 풍부도지수 또한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개체수와 출현종수에 의해 산출하는 풍부도지수는 개체수에 비해 출현종수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출현 종수가 적고 각 조사시기에 우점종의 우점율이 높아 두 지수가 낮은 값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용승류 해역에서 난자치어의 종조성 및 시공간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무엇을 이용하였는가? 인공용승류 해역에서 난자치어의 종조성 및 시공간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6월 13일, 9월 21일 및 25일에 난자치어 네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란은 4,849 ind.
여름에는 표층에 영양염의 농도가 감소하여 생물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공어초들은 수산자원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류의 흐름을 바꿔 놓을 수 있다. 바닥이 평탄한 해역에서는 해저지면과 수평인 해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수온이 증가하는 여름철에는 성층의 형성으로 바닷물은 표층과 저층이 섞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여름에는 표층에 영양염의 농도가 감소하여 생물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수산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인공어초와 같은 인위적인 구조물을 바다에 투입하여 물고기들의 서식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자연적인 수산자원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수산자원을 회복하기 위하여 인공어초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인공어초 지역에서 수산자원 증대, 인공 산란장 및 서식지 조성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로 많이 진행되었다(Ohn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uth, T. D.(2008),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ichthyoplankton from the northern and central California Current in May 2004-06, Fisheries Oceanography, Vol. 17, No. 4, pp. 316-331. 

  2. Brodeur, R. D., W. T. Peterson, T. D. Auth, H. L. Soulens, M. M. Parnel and A. A. Emerson(2008), Abundance and diversity of coastal fish larvae as indicators of recent changes in ocean and climate conditions in the Oregon upwelling zone,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366, pp. 187-202. 

  3. Beer, T.(1996), Environmental Oceanography. 2nd ed. Boca Raton: CRC Press; p. 367. 

  4. Cha, S. S. and K. J. Park(1994), Distribution of the ichthyoplankton in Kwangyang Bay,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6, No. 1, pp. 60-70. 

  5. Cha, S. S., K. J. Park, J. M. Yoo and Y. K. Kim(1991),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adjacent waters of Wolsong,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3, No. 1, pp. 11-23. 

  6. Han, K. H., D. Y. Kim, D. S. Jin, S. S. Shin, S. R. Baik and S. H. Oh(2001), Seasonal vari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Sunchon Bay,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13, No. 2, pp. 136-142. 

  7. Han, K. H., Y. H. Shin and D. S. Hwang(2002),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off Kohung Peninsula,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14, No. 1, pp. 45-52. 

  8. Jeong, Y. K., H. N. Lee, C. I. Park, D. S. Kim and M. C. Kim(2013),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in a sea area, with the building of an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Animal Cells and Systems, Vol. 17, No. 1, pp. 63-72. 

  9. Kim, I. S., Y. Choi, C. R. Lee, Y. J. Lee, B. J. Kim and J. H. Kim(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Seoul, p. 615. 

  10. Kim, J. Y. and N. C. H. Lo(2001), Temporal variation of seasonality of egg production and the spawning biomass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in 1983-1994, Fisheries Oceanography, Vol. 10, No. 3, pp. 297-310. 

  11. Kim, Y. U., J. G. Myoung, K. H. Han and C. B. Kang(1991), Morphology of larvae, egg development and spawning behavior of the blenniid fish, Pictiblennius yatabei (Jordan et Snyder),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4, No. 2, pp. 44-54. 

  12. KOSIS(1990-201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 Database for Fisheries Production, Retrieved from http://www.kosis.kr/nspotal/. 

  13. Lee, J. W. and Y. S. Kang(1994), Variations of fish community and density on artificial reefs, Bulletin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7, No. 5, pp. 535-548. 

  14. Lee, S. J., Y. B. Go and B. J. Kim(2006),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fish eggs and larvae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Vol. 18, No. 2, pp. 129-140. 

  15. Margalef, R.(1963), On certain unifying principles in ecology, The American Naturalist, Vol. 97, No. 897, pp. 357-374. 

  16. Nelson, J. S.(1994), Fishes of the World(3rd ed.), New York, John Wily & Sons, p. 550. 

  17. NFRDI(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and Offshores Waters in Kore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Development Insititute, Busan, p. 333. 

  18. Ohno, M., S. Arai and M.. Watanabe(1990), Seaweed succession on artificial reefs on different bottom substrata,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Vol. 2, No. 4, pp. 327-332. 

  19. Okiyama, M.(ed.)(198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p. 1154. 

  20. Park, H. H. and J. K. Shin(2003), An effect on fisheries resources enhancement of hollow jumbo structure and a search for artificial reefs by side scan sonar in the western Sea o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ol. 39, No. 3, pp. 230-238. 

  21. Park, K. D., J. G. Myoung, Y. J. Kang and Y. U. Kim(2005), Seasonal variation of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 off Tongyoung, Kore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38, No. 6, pp. 385-392. 

  22. Park, K. J.(1999), Species composition of the ichthyoplankton and feeding ecology of early stage in Kwangyang Bay, Korea.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 131. 

  23. Pickering, H. and D. Whitmarsh(1996), Artificial reefs and fisheries exploitation: a review of the 'attraction versus production' debate, the influence of design and its significance for policy, Fisheries Research, Vol. 31, pp. 39-59. 

  24. Shannon, C. E. and W. Wie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 125. 

  25. Yanagi, T. and M. Nakajima(1991), Change of oceanic condition by the man-made structure for upwelling,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23, pp. 131-1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