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에서 외양의 해양학적 현상으로 인하여 연안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층 현상을 이해할 목적으로 2013년 2월 국립수산과학원의 해양조사 정선관측 자료와 함께 연안의 3개 지점(속초, 죽변, 감포)에서 조사한 CTD 자료를 분석하였다. 속초와 감포 연안은 혼합 상태였으며, 죽변 연안은 강항 성층을 이루고 있었다. 또한 해양 정선 조사에서 104선(죽변)의 연안쪽 정점에서도 마찬가지로 107선(속초)과 209선(감포)의 연안쪽 정점에 비해서 성층이 강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104선(죽변)의 정점 9의 깊이 200 m층에서 $4.0^{\circ}C$의 양의 수온 편차를 보였으며 이것은 연안까지 이어져 양의 수온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10^{\circ}C$ 등온선이 깊이 200 m까지 아래로 오목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104선의 정점 9를 중심으로 10~40 cm/s의 속도로 시계 방향의 소용돌이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는 죽변 연안에서 나타난 성층은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접안에 의해서 형성된 것임을 보여주었다. 난수성 소용돌의 변화는 동해에서 대구와 같은 냉수성 어종의 회유에 장애물이 될 수도 있어 수산 자원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ee the stratification phenomenon in the coastal area induced by oceanographic conditions of the open sea, we analyzed the CTD (Conductivity-Temperature-Depth) data taken from the oceanographic survey on February 16~28, 2013. The stratification in Jukbyun coast was stronger than thos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양한 해양학적 현상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동해에서, 외양의 물리적 현상에 의한 연안역의 성층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연안 접안으로 인하여 연안역의 해황 변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 남서해역에 형성되는 해류의 흐름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평균 수심은 1,684 m이고 최심부는 3,762 m에 이르며 면적은 약 100만km2로 연안에서 심해까지 다양한 해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동해 남서해역에서는 우리나라 동해 연안을 따라서 북쪽으로부터 북한한류, 남쪽으로부터 동한난류 그리고 깊이 200~300 m층에 염분 최소층을 형성하는 중층수가 있으며, 울릉분지에서는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나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가 형성되고 있다(Lie and Byun, 1985; Isoda and Saitho, 1993; Choi and Cho, 1997; Kim and Kim 1999; Chang et al., 2002; Kim et al.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나타내는 특성은? , 1995). 특히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는 울릉분지의 지형적인 효과에 의해 생성되어 동한 난류로부터 기원된 수괴로 말미암아 고온 고염한 특성을 나타낸다(Isoda and Saitho, 1993; Shin et al., 2005).
동해의 수심과 면적은 어떠한가? 동해는 북서태평양의 연해로 대양의 축소판이다. 평균 수심은 1,684 m이고 최심부는 3,762 m에 이르며 면적은 약 100만km2로 연안에서 심해까지 다양한 해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동해 남서해역에서는 우리나라 동해 연안을 따라서 북쪽으로부터 북한한류, 남쪽으로부터 동한난류 그리고 깊이 200~300 m층에 염분 최소층을 형성하는 중층수가 있으며, 울릉분지에서는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나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가 형성되고 있다(Lie and Byun, 1985; Isoda and Saitho, 1993; Choi and Cho, 1997; Kim and Kim 1999; Ch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ang, K. I., N. G. Hogg, M. S. Suk, S. K. Byun, Y. G. Kim, and K. Kim(2002), Mean flow and variability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Deep-Sea Research I, 49, pp. 2261-2279. 

  2. Choi, Y. K. and K. D. Cho(1997), Distribution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in November 1994, Journal of Korea Fisheries Society, Vol. 30, No. 1, pp. 119-127. 

  3. Isoda, Y. and S. Saitho(1993), The Northward Intruding Eddy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Oceanography, Vol. 49, pp. 443-458. 

  4. Kim, D., K. H. Kim, J. Shim and S. Yoo(2007), The Effect of Anticyclonic Eddy on Nutrients and Chlorophyll During Spring and Summer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2, No. 4, pp. 280-286. 

  5. Kim, K., K. R. Kim, J. Y. Chung, H. S. Yoo and S. G. Park(1991), Characteristics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Ulleung Basin, Journal of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6, No. 1, pp. 83-100. 

  6. Kim, K., K. R. Kim, Y. G. Kim, Y. K. Cho, D. J. Kang, M. Takematsu and Y. Volkov(2004), Water masses and decadal variability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Progress Oceanography, Vol. 61, pp. 157-174. 

  7. Kim, K. and R. Legeckis(1986), Branching of the Tsushima Current in 1981-1983, Progress Oceanography, Vol. 17, pp. 265-276. 

  8. Kim, Y. G. and K. Kim(1999), Intermediate Waters in the East/Japan Sea, Journal of Oceanography, Vol. 55, pp. 123-132. 

  9. Lie, H. J. and S. K. Byun(1985), Summertime Southward Current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0, No. 2, pp. 22-27. 

  10. Lie, H. J., S. K. Byun, I. Bang and C. H. Cho(1995), Physical Structure of Eddies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0, No. 30, pp. 170-183. 

  11. Mitchell, D. A., D. R. Watts, M. Wimbush, W. J. Teague, K. L. Tracey, J. W. Book, K. J. Chang, M. S. Suk and J. H. Yoon(2005b), Upper circulation patterns in the Ulleung Basin, Deep-Sea Research II, Vol. 52, pp. 1617-1638. 

  12. Mitchell, D. A., W. J. Teague, M. Wimbush, D. R. Watts and G. G. Sutyrin(2005a), The Dok Cold Eddy,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Vol. 35, pp. 273-288. 

  13. NFRDI(2001),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Oceanographic Handbook of the Neighbouring Seas of Korea (4th Edition), Yemunsa, Busan, p. 436. 

  14. Shin, H. R., C. W. Chang, C. Kim, S. K. Byun and S. C. Hwang(2005), Movement and structural variation of warm eddy WE92 for three years in the Western East/Japan Sea, Deep-Sea Research II, Vol. 52, pp. 1742-1762. 

  15. Yang, H. S., P. J. Kim, J. C. Lee and C. H. Moon(1994), Origin of Cold Water below 10 Occuring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East Sea in Summer by Ra Isotope Distribution, Bulletin of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7, No. 4, pp. 404-412. 

  16. Yoo, S. and J. Park(2009), Why is the southwest the most productive region of the East Sea/Sea of Japan? Journal of Marine Systems, Vol. 78, pp. 301-3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