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자란만에서 분리한 와편모조류 Akashiwo sanguinea의 성장에 대한 수온, 염분 및 광 조건을 실내실험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A. sanguinea의 최대성장속도(
The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 isolated from Jaran Bay were examined in the laboratory.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적조 | 우리나라의 적조의 특징은 언제 어떻게 바뀌었는가? |
1990년대 이후에는 적조 발생 건수의 증가뿐만 아니라 적조원인 생물종도 규조류에서 편모조류로 바뀌는 특징을 보였으며, 1980년대 기점으로 Cochlodinium polykrikoides와 같은 무각 와편모조류의 적조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적조(red tides)는 1970년대에 일부 반폐쇄성 내만 해역에서 간헐적으로 관찰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적조발생 건수가 연간 30여건 이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Kim, 2005), 1990년대에는 연평균 45건 이상으로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NFRDA, 1998). 특히, 1990년대 이후에는 적조 발생 건수의 증가뿐만 아니라 적조원인 생물종도 규조류에서 편모조류로 바뀌는 특징을 보였으며, 1980년대 기점으로 Cochlodinium polykrikoides와 같은 무각 와편모조류의 적조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NFRDA, 1998). 이에 따라 어업 및 양식업, 관광산업 등의 경제적 피해도 증가하고 있어, 적조 현상은 현재 심각한 사회 경제적인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NFRDA, 2000; NFRDI, 2002). |
적조 | 우리나라에서 적조 1970년 어디에서 어떻게 관찰되었는가? |
1970년대에 일부 반폐쇄성 내만 해역에서 간헐적으로 관찰
우리나라에서 적조(red tides)는 1970년대에 일부 반폐쇄성 내만 해역에서 간헐적으로 관찰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적조발생 건수가 연간 30여건 이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Kim, 2005), 1990년대에는 연평균 45건 이상으로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NFRDA, 1998). 특히, 1990년대 이후에는 적조 발생 건수의 증가뿐만 아니라 적조원인 생물종도 규조류에서 편모조류로 바뀌는 특징을 보였으며, 1980년대 기점으로 Cochlodinium polykrikoides와 같은 무각 와편모조류의 적조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NFRDA, 1998). |
적조 생물 | 적조 생물을 분리 배양하여 실험실에서 최적 환경조건을 규명하는 것이 현장에서 대발생 기작을 유추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이유는? |
식물플랑크톤은종 특이성에 따라 생장에 적합한 최적수온, 염분 및 조도를 가지고 있으며(Okaichi, 2003; Kim, 2005), 결과적으로 연안내만에 상습적으로 적조를 유발시키는 종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적조 발생 시기를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식물플랑크톤의 이상 증식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환경요인으로 수온, 염분 그리고 광 조건과 같은 물리·광학적 요인이 있으며, 이는 생·화학적인 요인과 함께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식물플랑크톤은종 특이성에 따라 생장에 적합한 최적수온, 염분 및 조도를 가지고 있으며(Okaichi, 2003; Kim, 2005), 결과적으로 연안내만에 상습적으로 적조를 유발시키는 종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적조 발생 시기를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조 생물을 분리 배양하여 실험실에서 최적 환경조건을 규명하는 것은 현장에서 대발생 기작을 유추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