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각 와편모조류 Akashiwo sanguinea의 수온, 염분 그리고 광 조건에 따른 생장반응과 그에 따른 종 천이의 이점
Growth Response of the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 in Relation to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and its Advantage in Species Succession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0 no.1 = no.60, 2014년, pp.1 - 10  

권형규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  오석진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란만에서 분리한 와편모조류 Akashiwo sanguinea의 성장에 대한 수온, 염분 및 광 조건을 실내실험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A. sanguinea의 최대성장속도($0.28day^{-1}$)는 수온 $25^{\circ}C$, 염분 30 psu로 나타났으며, 최적성장(최대성장속도의 80 % 이내 구간)은 수온 $25^{\circ}C$의 염분 15~35 psu로 나타났다. 따라서 A. sanguinea는 고수온의 협온성이며, 광염성의 생리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광량에 따른 성장 실험결과에서 유도된 성장식은 ${\mu}=0.31(I-16.87)/(I+51.19)$로, 보상광량($I_0$) 값은 $16.87{\mu}mol\;m^{-2}s^{-1}$, 반포화광량($K_I$) 값은 $84.93{\mu}mol\;m^{-2}s^{-1}$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A. sanguinea는 하계에 충분한 광, 높은 수온, 염분의 변동 폭이 큰 연안해역에서 종 천이를 위한 유리한 생리학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 isolated from Jaran Bay were examined in the laboratory. Maximum specific growth rate($0.28day^{-1}$) was observed with combination of $25^{\circ}C$ and 30 psu. Optimal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A. sanguinea의 I0 값을 바탕으로 자란만에서 이 종이 성장에 있어 가장 적합한 하계를 기준으로 서식수심을 예측해 보았다. A.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A. sanguinea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경상남도 고성 자란만에 분리한 A. sanguinea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수온, 염분 및 광 조건을 실내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또한 해수면에 입사광은 반사 등에 따라 15 %가 손실하고 나머지 50 %가 광합성 유효파장으로 해수면에 입사한다고 가정하였으며(Nishikawa, 2002), 이때 표층광량은 약 553 μmol m-2 s-1로 계산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적조의 특징은 언제 어떻게 바뀌었는가? 우리나라에서 적조(red tides)는 1970년대에 일부 반폐쇄성 내만 해역에서 간헐적으로 관찰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적조발생 건수가 연간 30여건 이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Kim, 2005), 1990년대에는 연평균 45건 이상으로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NFRDA, 1998). 특히, 1990년대 이후에는 적조 발생 건수의 증가뿐만 아니라 적조원인 생물종도 규조류에서 편모조류로 바뀌는 특징을 보였으며, 1980년대 기점으로 Cochlodinium polykrikoides와 같은 무각 와편모조류의 적조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NFRDA, 1998). 이에 따라 어업 및 양식업, 관광산업 등의 경제적 피해도 증가하고 있어, 적조 현상은 현재 심각한 사회 경제적인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NFRDA, 2000; NFRDI, 2002).
우리나라에서 적조 1970년 어디에서 어떻게 관찰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 적조(red tides)는 1970년대에 일부 반폐쇄성 내만 해역에서 간헐적으로 관찰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적조발생 건수가 연간 30여건 이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Kim, 2005), 1990년대에는 연평균 45건 이상으로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NFRDA, 1998). 특히, 1990년대 이후에는 적조 발생 건수의 증가뿐만 아니라 적조원인 생물종도 규조류에서 편모조류로 바뀌는 특징을 보였으며, 1980년대 기점으로 Cochlodinium polykrikoides와 같은 무각 와편모조류의 적조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NFRDA, 1998).
적조 생물을 분리 배양하여 실험실에서 최적 환경조건을 규명하는 것이 현장에서 대발생 기작을 유추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이유는? 한편, 식물플랑크톤의 이상 증식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환경요인으로 수온, 염분 그리고 광 조건과 같은 물리·광학적 요인이 있으며, 이는 생·화학적인 요인과 함께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식물플랑크톤은종 특이성에 따라 생장에 적합한 최적수온, 염분 및 조도를 가지고 있으며(Okaichi, 2003; Kim, 2005), 결과적으로 연안내만에 상습적으로 적조를 유발시키는 종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적조 발생 시기를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조 생물을 분리 배양하여 실험실에서 최적 환경조건을 규명하는 것은 현장에서 대발생 기작을 유추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aek, S. H. and H. M. Joo(2012), Relationships between cell bio-volume and growth rate of dominant red tide organisms in the coastal water,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 Biology, Vol. 30, No. 1, pp. 1-8. 

  2. Baba, T., S. Hiyama and T. Tainaka(2001), Vertical migration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and toxicity of cultures oyster in Senzaki Bay, Yamaguchi Prefecture, Bulletin Plankton Society of Japan, Vol. 48, No. 2, pp. 95-99. 

  3. Bockstahler, K. R. and D. W. Coats(1993), Grazing of the mixotroph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sanguineum on ciliate population of Chesapeake Bay, Marine Biology, Vol. 116, No. 3, pp. 447-487. 

  4. Botes, L., A. J. Smit and P. A. Cook(2002), The potential threat of algal blooms to the abalone (Haliotis midae) mariculture industry situated around the South African coast, Harmful Algae, Vol. 2, No. 4, pp. 247-259. 

  5. Brand, L. E., R. R. L. Guillard and L. S. Murphy(1981), A method for the rapid and precise determination of acclimated phytoplankton reproduction rates, Journal Plankton Research, Vol. 3, No. 2, pp. 193-201. 

  6. Cannon, J. A.(1990), Development and dispersal of red tides in the Port River, South Australia, In: Toxic Marine Phytoplankton, (eds.) Graneli, E. B. Sundstroem, L. Edler and D. M. Anderson, pp. 110-115. 

  7. Daugbjerg, N., G. Hansen, J. Larsen and . Moestrup(2000), Phylogeny of some of the major genera of dinoflagellates based on ultrastructure and partial LSU rDNA sequence data, including the erection of three new genera of unarmoured dinoflagellates, Phycologia, Vol. 39, No. 4, pp. 302-317. 

  8. Domingos, P. and M. Menezes(1998), Taxonomic remarks on planktonic phytoflagellates in a hypertrophic tropical lagoon (Brazil). Hydrobiologia, Vol. 369, pp. 297-313. 

  9. Du, X., W. Peterson, A. McCulloch and G. Liu(2011), An unusual bloom of the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 off the contral Oregon, USA, coast in autumn 2009, Harmful Algae, Vol. 10, pp. 784-793. 

  10. Gallagher, J. C.(1982), Physiological variation and electrophoretic banding patterns of genetically different seasonal populations of Skeletonema costatum (Bacillariophyceae), Journal of Phycology, Vol. 18, No. 1, pp. 148-162. 

  11. Gomez, F. and F. Boicenco(2004), An annotated checklist of dinoflagellates in the Black Sea. Hydrobiologia, Vol. 517, pp. 43-59. 

  12. Guillard, R. R. L. and J. H. Ryther(1962), Studies of marine planktonic diatoms Cyclotella nana Hustedt and Detonula conjervaces (Cleve) Gran, Canadian Journal Mircobiology, Vol. 8, No, 2, pp. 223-239. 

  13. Guillard, R. R. L.(1995), Culture methods, In: Hallegraeff, G. M., D. M. Anderson and A. D. Cembella, Manual on Harmful Marine Microalgae, UNESCO, New York, pp. 45-62. 

  14. Horner, R. A., D. L. Garrison and F. G. Plumley(1997), Harmful algal blooms and red tide problems on the U.S. west coast.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42, No. 5, pp. 1076-1088. 

  15. Jeong, H. J., J. Y. Park, J. H. Nho, M. O. Park, J. H. Ha, K. A. Seong, C. Jeng, C. N. Seong, K. Y. Lee and W. H. Yih(2005), Feeding by red-tide dinoflagellates on the cyanobacterium Synechococcus, Aquatic Microbial Ecology, Vol. 41, No. 2, pp. 131-143. 

  16. Ki, J. S. and M. S. Han(2006), A low-density oligonucleotide array study for parallel detection of harmful algal species using hybridization of consensus PCR products of LSU rDNA D2 domain,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Vol. 21, pp. 1812-1821. 

  17. Kim, H. G.(2005), Harmful Algal Blooms in the Sea, Dasom Publishing Co., Seoul, p. 467. 

  18. Lederman, T. C. and P. Tett(1981), Problems in modelling the photosynthesis-light relationship for phytoplankton, Botanica Marina, Vol. 24, No. 3, pp. 125-134. 

  19. Lee, C. K., O. H. Lee and S. G. Lee(2005), Impa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en harmful algal bloom-forming microalgae isolated in Korean coastal wa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0, No. 1, pp. 79-91. 

  20. Lee, M. O. and J. H. Choi(2009),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Korea Southern coastal water dur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 No. 4, pp. 235-247. 

  21. Lee, W. H. and J. H. Shim(1995), Intraspecific variation in the light intensity niche component of th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form Korean coastal wa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0, No. 5, pp. 436-441. 

  22. Lee, Y. S, Y. B. Kim and H. G. Han(2012), Water quality of ground seawater and trigger elements for a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21, No. 9, pp. 1079-1085. 

  23. Lewis, N. I., W. Xu, S. K. Jericho, H. J. Kreuzer, M. H. Jericho and A. D. Cembella(2006), Swimming speed of three species of Alexandrium (Dinophyceae) as determined by digital in-line holography, Phycologia, Vol. 45, No. 1, pp. 61-70. 

  24. Lu, S. H. and I. J. Hodgkiss(2004) Harmful algal bloom causative collected from Hong Kong waters. Hydrobiologia, Vol. 512, pp. 231-238. 

  25. Matsubara, T., S. Nagasoe, Y. Yamasaki, T. Shikata, Y. Shimasaki, Y. Oshima and T. Honjo(2007),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logy, Vol. 342, pp. 226-230. 

  26. Nagasoe, S., D. I. Kim, Y. Shimasaki, Y. Oshima, M. Yamaguchi and T. Honjo(2006),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red tide dinoflagellate Gyrodinium instriatum Freudenthal et Lee, Harmful Algae, Vol. 5, No. 1, pp. 20-25. 

  27. NFRDA(1998),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in 1997, p. 147. 

  28. NFRDA(2000),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in 1999, p. 206. 

  29. NFRDI(2002),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in 2000-2001, p. 158. 

  30. Nishikawa, T.(2002),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diatom Eucampia zodiacus caused bleaching seaweed Porphyra isolated from Harima-Nada, Seto Inland Sea,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Vol. 68, No. 3, pp. 356-361. 

  31. Nishikawa, T. and M. Yamaguchi(2006), Effect of temperature on light-limited growth of the harmful diatom Eucampia zodiacus Ehrenverg, a causative organism in the discoloration of Porphyra thalli, Harmful Algae, Vol. 5, 141-147. 

  32. Nishikawa, T. and M. Yamaguchi(2008), Effect of temperature on light-limited growth of the harmful diatom Coscinodiscus wailesii, a causative organism in the bleaching of aquacultured Porphyra thalli, Harmful Algae, Vol. 7, pp. 561-566. 

  33. Noh, I. H., Y. H. Yang, D. I. Kim and S. J. Oh(2006),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harmful algae Chattonella marina (Subrahmanyn) Hara et (Raphidophyceae) isolated from Gamak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ciences, Vol. 39, No. 6, pp. 487-494. 

  34. Oh, S. J. and Y. H. Yoon(2004),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isolated from Yeosuhae Bay, Algae, Vol. 19, No. 4, pp. 293-301. 

  35. Oh, S. J., I. S. Kang, Y. H. Yoon and H. S. Yang(2008), Optical characteristic on the growth of centric diatom Skeletonema costatum (Grev.) Cleve isolated from Jinhae Bay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ol. 26, No. 2, pp. 57-65. 

  36. Oh, S. J., C. H. Kim, H. K. Kwon and H. S. Han(2010),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elef isolated from South sea of Korea in 2008,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43, No. 6, pp. 715-722. 

  37. Oh, S. J., J. A. Park, H. K. Kwon, H. S. Yang and W. A. Lim(2012), Ecophysiological studie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two toxic dinoflagellates Alexandrium tamarense and Alexandrium catenella isolat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grow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5, No. 2, pp. 133-141. 

  38. Okaichi, T.(2003), Red Tides, Terra Scientific Publishing Co., Tokyo, p. 439. 

  39. Park, J. G., M. K. Jeong, J. A. Lee, K. J. Cho and O. S. Kwon(2001), Diurual vertical migration of a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during a red tide in coastal waters of Namhae Island, Korea, Phycologia, Vol. 40, No. 3, pp. 292-297. 

  40. Park, M. G., S. K. Cooney, J. S. Kim and D. W. Coats(2002), Effects of parasitism on diel vertical migration, phototaxis/geotaxis, and swimming speed of the bloom-forming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 Aquatic Microbial Ecology, Vol. 29, No. 1, pp. 11-18. 

  41. Park, T. G., Y. S. Kang, M. K. Seo, C. H. Kim and Y. T. Park(2008), Rapid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fish killing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in environmental samples using Real-time PCR,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11, No. 4, pp. 205-208. 

  42. Park, J. A.(2013). DON utilization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and Alexandrium catenella isolated from Masan Bay, M. Sc. Dissertation,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92. 

  43. Robichaux, R. J., Q. Dortch and J. H. Wrenn(1998), Occurrence of Gymnodinium sanuineum in Louisiana and Texas coastal waters, 1989-1994, NOAA Technical report NMFS, Vol. 143, pp. 19-26. 

  44. Yamaguchi, M. and T. Honjo(1989),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noxious red tide flagellate Gymnodinium nagasakiense (Dinophyceae).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Vol. 55, No. 11, pp. 2029-20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