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의생활 윤리소비의식과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 및 윤리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Ethical Consumption of Clothing on Adolescents'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of Clothing, General Ethical Consumption Knowledge and Behavior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5 no.6, 2013년, pp.932 - 941  

전미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혜정 (중앙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오경화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n adolescents of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ethical consumption related to clothing in terms of their clothing-related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in terms of their general ethical consumption knowledge and behaviors. Addit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즉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가정생활 문화 대단원에서 중단원인 가족·소비 생활 문화와 의식주 생활을 중심으로 윤리적 소비와 관련된 내용을 선정하여 윤리적인 의류소비 생활, 친환경적인 의생활 윤리소비 생활, 인권과 동물을 위한 의생활 윤리소비 생활, 의생활 윤리소비의 대중화 등 4개의 학습 주제로 나눠 7차시의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위한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의생활 윤리소비의식,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 일반적인 윤리소비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습득된 청소년들의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이 의생활 윤리소비의식과 일반적인 윤리소비행동 간 관계에서 매개적 효과를 갖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을 진행한 후 고등학생들의 의생활 관련 윤리소비의식 함양과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 및 행동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절차를 설계하였다.
  • 즉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가정생활 문화 대단원에서 중단원인 가족·소비 생활 문화와 의식주 생활을 중심으로 윤리적 소비와 관련된 내용을 선정하여 윤리적인 의류소비 생활, 친환경적인 의생활 윤리소비 생활, 인권과 동물을 위한 의생활 윤리소비 생활, 의생활 윤리소비의 대중화 등 4개의 학습 주제로 나눠 7차시의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고등학생들의 의생활 윤리소비의식과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 및 윤리 소비행동에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문화 단원 중심으로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또한 의생활 윤리소비의식을 갖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 일반적인 윤리소비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소비자일수록 일반적인 윤리소비행동을 더 많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의생활 윤리소비의식과 일반적인 윤리소비행동의 인과관계에서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3. 청소년들의 의생활 윤리소비의식과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 윤리소비행동 간 인과관계를 살펴본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위한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의생활 윤리소비의식,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 일반적인 윤리소비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습득된 청소년들의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이 의생활 윤리소비의식과 일반적인 윤리소비행동 간 관계에서 매개적 효과를 갖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자 지식(consumer knowledge)이란 제품구매와 소비와 관련하여 개인의 기억 속에 저장된 실제 정보의 총 집합이다(Blackwell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은 어떠한 문제점을 유발하는가? 그러나 유행에 민감하고 또래집단의 영향으로 청소년들은 의복을 쉽게 구입하고 쉽게 폐기처분하는 경우가 많아져, 패스트 패션은 올바른 소비가치관이 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주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의복의 경우, 생산되는 과정에서 염색으로 인해 심각한 수질 및 토양오염을 불러일으키며, 폐기되는 과정에서의 자원낭비, 쓰레기 문제, 폐기된 의복이 소각 될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와 다이옥신 같은 유해 물질 등으로 인해서 지구온난화를 유발한다(Jung, 2011). 또한 생산과정에서 노동자의 작업 환경을 무시하고 열악한 장소에서 의복을 만들어 노동자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피혁제품일 경우 동물을 잔인하게 학대하여 의복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잘못된 의복 생산과 소비 문화는 다시 인간의 삶을 위협하고 있어 의생활 관련 윤리소비 생활의 중요성이 제기된다.
Ethical Consumer(2003)에서 제시한 윤리소비는 무엇인가? Strong(1996)에 의하면, 윤리적 소비주의(ethical consumerism)는 친환경적 소비주의의 모든 원리를 통합하여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Ethical Consumer(2003)에서 제시한 윤리소비는 인간, 동물, 환경에 해가 되거나 착취하는 것을 거부하는 구매 행동을 통해 그들의 복지를 향상하고자 하는 행동지침이다. 이와 같이 윤리소비는 환경오염, 자연훼손, 기후변화, 쓰레기문제, 자원고갈과 같은 환경 지속가능성의 문제와 사회구성원, 노동자, 사회적 약자 등 전 세계 모든 구성원이 인간답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권리, 그리고 멸종동물보호, 동물 학대 등의 동물복지 문제가 포함된다.
청소년들의 바람직하지 않은 소비 환경에 노출되면 성인이 되었을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또한 청소년들의 인터넷과 텔레비전과 같은 대중매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올바른 소비 지식 및 경험이 부족한 청소년들이 바람직하지 않은 소비를 조장하는 환경에 쉽게 노출되어 비계획적, 충동적, 낭비적 소비행태를 가지게 되었다(Park, 2011). 이는 우리의 청소년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중독구매, 신용불량과 같은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는쉽게 구매하고 버리는 소비 습관으로 자원의 낭비와 고갈, 버려지는 쓰레기 증가 등의 환경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에 청소년들을 올바른 소비자 지식과 습관을 가진 건전한 소비자로 이끌어 줄 수 있도록 학교 내 소비자 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확산되고 있다(Park, 2007; Yoo,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 H. Y.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othing Life educa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based on arts & culture education and exper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2. Barnett, C., Cloke, P., Clarke, N., & Malpass, A. (2005). Consuming ethics: articulating the subjects and spaces of ethical consumption. Antipode, 37(1), 23-45. 

  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 Blackwell, R. D., Miniard, P. W., & Engel, J. F. (2001). Consumer Behavior (9th ed.). Orlando: Harcourt. 

  5. Cowe, R., & Williams, S. (2000). Who are the ethical consumers?. Caseplace.org. Retrieved March 1, 2012, from http://caseplace.org/d.asp?d5170 

  6. Ethical Consumer. (2003). Why buy ethicall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behind ethical purchasing. Ethical Consumer Research Association Ltd. Retrieved March 1, 2012, from http://www.ethicalconsumer.org 

  7. Frick, J., Kaiser, F. G., & Wilson, M. (2004).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servation behavior: Exploring prevalence and structure in a representative samp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 1597-1613. 

  8. Ham, H. J. (2003). Study on the propensity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development for consumer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9. Hong, Y. G. (2010). A case study of ethical consumer in Korea. Korea Institute of Consumer Culture, 13(2), 1-25. 

  10. Huh, E. J. (2011). The determinants of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the ethical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22(2), 89-111. 

  11. James, L. R., Mulaik, S. A., & Brett, J. M. (2006). A tale of two method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9(2), 233-244. 

  12. Jung, J. W. (2011). In-depth study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related to cloth consumption. Korea Institute of Consumer Culture, 14(1), 49-73. 

  13. Jung, C. Y., & Choi, E. K. (2004).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SPSSWIN Statistical Analysis. Seoul: Muyok Publish. 

  14. Kim, J. K. (2002). Groping out direction for the supporting system of consumer education in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2), 131-142. 

  15. Kim, M. S. (2010).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cultivating awareness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LOHAS(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16. Kim, S. A. (2005). Effect of environmental friendly consumer's education on the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ttitude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17. Lee, D. Y. (1992). A study on the education content model development for consumer education. Korean Consumer Agency, 92-06, Seoul. 

  18. Lee, E. Y. (2008). A study on the consumer education of the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9. Lee, H. M. (2005). A study on consumption patterns and consumer education of high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 Lee, J. H. (2010). Effects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study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ase of a unit 'My environment-friendly life' in practical ar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21. Lee, J. K. (2001). The study of influential factors on consuming behavior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22. Lee, T. H. (2004). Pro-environmental consumer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s related vari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in Nation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23. Moon, J. Y. (2010).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to NIE community activity of inquiry for cultivating environmental awarenes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24.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 Hill. 

  25. Oh, S. J., & Choi, J. H. (2012). A study on attitude factors for the global fast fashion brand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25, 217-242. 

  26. Paek, J. K., & Lee, S. W. (2010). A development and effects of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dietary field.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3), 123-147. 

  27. Park, H. S. (2011).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green consumption education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28. Park, J. Y. (2007).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dolescent consumer competency: With special reference to middle-school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29. Park, M. H. (2006). A study on finding alternativ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consumption culture. Korea Institute of Consumer Culture, 9(4), 213-240. 

  30. Shin, H. J. (2012). Ethical consumption attitudes, values, and ethical development and a measure of consumer's perception and its impact on the worth buying intentions. General Episcopal University Unions in the United States, Seoul. 

  31. Strong, C. (1996). Features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ethical consumerism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14(5), 5-13. 

  32. Sujan, M. (1985). Consumer knowledge: Effects on evaluation strategies mediating consumer judgm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31-46. 

  33. Park, S. H., Oh, K. W., & Na, Y. K. (2013). The effect of environmentconscious consumer attitudes towards Eco-friendly product and artificial leather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1), 57-64. 

  34. Wu, W. S. (2001). Study on consumer educational consumption patterns of highschool students in network gen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5. Yoo, J. Y. (2004). Development of school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Korean Society for Home and Education, 16(4), 95-105. 

  36. Yoon, H. J.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consum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EPS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Cheongwon. 

  37. Yoon, J. W. (2010). Impacts of materialism and consumers' awareness of companies' furtherance of materialism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of Education, Uls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