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혼인준비자들의 혼례예절교육 요구도 연구
A Study on the Need for Wedding Etiquette Training for Premarital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6 = no.126, 2013년, pp.53 - 66  

주영애 (Department of Living Culture and Consumer Science, Sungshin Women's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need for wedding etiquette training for couples in order to provide basic educational materials for brides and grooms-to-be. This survey consisted of 43 questions. The questions pertaining to the need for wedding etiquette training were measured us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행 혼례에서는 전통과 현대적 모습이 혼재하며, 예법에 따르는 관행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혼인 후 부부적응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현행 혼인준비교육을 보완하며, 혼례절차에서의 문제해결을 위한 혼례예절교육을 추가하여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 그러나 이와 관련한 연구가 별도로 이루어진 바가 없고, 관련연구들도 혼례절차에 대한 이해도나 의식조사(Lee, 1982; Hwang, 1994; Lee, 1998; Kim, 2008; Ju, 2010; Lee, 2012)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시행되어온 혼인준비교육에서의 보완점을 재인식 해보고, 앞으로 혼인 준비를 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혼인 전 혼례예절교육 프로그램을 추가로 구안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후세대에게 한국생활문화의 발전적 계승을 위한 교육기회 확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결론적으로 현재 시행되는 혼인준비 교육 중에 혼례예절교육을 포함한 새로운 혼인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혼인준비자를 대상으로 혼인준비에 필요한 혼례예절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혼인준비교육 시 프로그램에 추가 반영되어야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다섯째, 혼례예절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시, 교육내용요구도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1차시는 상견례, 함, 예단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2차시는 예식시의 태도, 폐백, 가족생활예절교육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범주를 구분하여 교육 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혼인준비자들은 2-3회 정도의 교육프로그램을 희망하고 있으므로, 혼인예절교육 프로그램을 범주화하여 계획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혼례풍속이 많은 변화과정을 거치게 된 계기는? 우리나라는 개화기 이후 오늘날까지 사회 전반적인 변화가 급진적으로 진행되면서, 혼례풍속도 많은 변화 과정을 거쳤다. 예식이나 예복, 예식절차 등 한국의 혼례문화는 시대 변화와 더불어 외형적인 큰 변화를 겪어왔다.
결혼 비용 중가장 아까운 항목으로 지적되는 것은? 한편 최근에는 혼인을 준비하는 과정 중에서 예단문제가 사회문제화 되면서 축복받아야할 혼인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도 확산되고 있다. 여성가족부가 월드리서치에 의뢰해서 결혼 3년차 이내 부부 300명 설문조사 결과, 결혼 비용 중가장 아까운 항목으로 예단과 예물(35.3%)이 지적(chosun.
현재 한국사회에서의 혼례 문화 형태는? 현재 한국사회에서의 혼례는 서구의 혼례와 전통혼례의 절차가 혼재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행연구(Hwang, 1994; Lee, 1998; Kim, 2008; Ju, 2010; Lee, 2012)를 보더라도, 서구 혼례의 형식을 취한 웨딩드레스착용, 웨딩사진촬영, 신혼여행 등의 기본적인 형식을 취하면서도, 대부분 상견례, 함보내기, 폐백, 신행 등의 전통 관습적 혼례절차를 따르고 있다. 즉 서구의 혼례형식이 도입되어 널리 확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지켜오는 의례문화의 하나로 전통혼례 형식도 동시에 공존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Byun, Y. (2008). Effect of the marriage preparational education for early married couple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Chongshin University, Seoul. 

  2. Cho, C. (2008). The understand and utilization about Korean wedding ceremony, Cultural Properites, 5, 291-326. 

  3. Cho, G. (2004). A study on underlying philosophy of the traditional marriage ceremony.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4. Cho, H. (2008). Research on the norm and the reality for marriage in Cho-Sun Dynast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3(1), 29-47. 

  5. Gwon, B. (2007). A research on the wedding ceremony according to Li Jae's "Saryebyoenram".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6. Hong, N. & Lee, E. & Park, S. (2001).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Korean wedding culture in 20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11), 141-156. 

  7. Hwang, K. (1994). A study on the transition about wedding ceremon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8. Jeong, M. (199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marital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 Dept. of Home Management, Ulsan University, Ulsan. 

  9. Jeong, Y. & Kweon, S. & Jang, H. (2001). The perception and its practice on marriage ceremony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mothers in Chungbuk area.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0(2), 165-178. 

  10. Ju, Y. (2010). A research on perceptions of the wedding ceremony of unmarried people for the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wedding culture.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1), 57-71. 

  11. Jung, M & Kim, D. (2001). Constructing premarital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 and investigating its effec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9(4), 69-83. 

  12. Kang, J. (2001). Transition of Korean society and marriage custom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3. Kang, Y. (2008),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re-marital program for preliminary couple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14. Kim, D. (1997). An Introduction to Practice etiquette , kyomunsa, Seoul. 

  15. Kim, I. (2008). The study on consciousness and attitude about wedding ceremony of wedding vende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6), 1191-1195. 

  16. Kim, M. & Yoon, H. (2007). Recogni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of the passage rites and food-one hundredth birthday and the first birthday rites and wedding ceremony. Korean Journal of food cookery science, 23(1), 140-149. 

  17. Kim, S. (2006). The reality of the conventional wedding outfit reflected in the modern wedding outfit.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8. Kim, S. (2009). The principal and meaning of Korea traditional etiquette. MunMyoungYeonJi 9(2), 165-197. 

  19. Kim, H. (1990). A development of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model for adult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20. Lee, H. (2002). The philosophy meaning of Korean wedding ceremony. Confucianism research, 17, 83-103. 

  21. Lee, H. (2012). A study on the wedding culture in Gyeongbuk Provi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2. Lee, Y. & Seo, B. (1999). An analysis of consciousness toward wedding ritual : A Comparison of the Young and Old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4), 111-124. 

  23. Lee, J. (1998). A study on the undergraduate's awareness of Korean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4. Lee, J. (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on the basis of influencing mutual communicatio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oongshil University, Seoul. 

  25. Lee, K. (1982). (The) Structure of th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reflected in the domestic courtesy and ritual : centering on the wedding ceremony and ancestral servi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6. Lee, K. & Ju, Y. (1994). A study on wedding ceremony in Chosun dynasty. Journal of Living Culture Research, 8, 217-231. 

  27. Lee, K. (1997). Korean wedding culture. Korean Journal of dietary culture, 12(2), 203-206. 

  28. Lee, K. (1999). A study on the change of ceremonies of marriage and ancestor worship since liber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4, 153-187. 

  29. Lee, N. (2005).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Korean marriage -to reexamine traditional marriage spirits in a modern way-.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0. Lee, S. (1993).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behavior of wedding ceremony.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31. Lefevre, Holly (2009). The everything wedding etiquette book, Adams Media Corporation. 

  32. Lim, G. (2009). A courtesy-learning based study on Korean traditional wedding.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3. Oh, Y. (2001).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ndragogical approach. Journal of Family Relations, 6(1), 109-135. 

  34. Paek, J. & Seo, S & Shin, S. (2003). Development of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for premarital coupl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8(1), 1-27. 

  35. Park, C. (2010). School of marriage preparation, Educational Church, 393, 27-32. 

  36. Park, D. (2007). A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the changes of wedding culture in Cheongun tow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7. Park, J. & Lim, S.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marital Education Programs for Marriage" expectant couple, Journal of Home Management, 27(2), 29-43. 

  38. Park, M. & Kim, D. (1997).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for premarital coupl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4), 47-77. 

  39. Park, H. (1988).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marriage ri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40. Seo, S. (2001). The wedding custom of Korea : Problems and Ways for Improvement. Yehak, 6, 113-128. 

  41. Sohn, J. & Kim, J.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for singl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0(3), 219-236. 

  42. Yoo, Y. & Oh, Y. & Lee, J. (1995). A study on the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for the strong family, Journal of Kyung Hee University, 24, 147-171. 

  43. http://www.chosun.com 

  44. http://donga.com 

  45. http://www.ehow.com/wedding-etiquette 

  46. http://www.elegala.com/go 

  47. http://www.kostat.go.kr 

  48. http://terms.naver.com 

  49. http://wedding-etiquette.net 

  50. http://yeongnam.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