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Moral Disengagement on Children's Participant Role Behavior in a Bullying Situation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6, 2013년, pp.13 - 29  

김지미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김정민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concerning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ren's participant role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s.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 group of participants comprising total 541 students of fifth, sev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도덕적 이탈이 아동의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이러한 명백한 역기능적 부모의 양육행동 외에 또래괴롭힘 행동에 관여하는 부모-자녀 간의 부적응적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간의 부적절한 상호작용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 주목하였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에 대한 부모의 반응 양식으로 자녀가 부모의 기대대로 행동하지 않을 경우 자녀에 대한 애정을 철회 또는, 자녀로 하여금 죄의식을 느끼도록 유도하는 등의 심리적 수단을 이용하여 자녀의 개인적, 심리적 영역에 지나치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것을 가리킨다(Barber, 1996).
  • 이러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 및 문제 행동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lbrecht & Galambos, 2007). 본 연구에서는 학대 혹은 과도한 신체적 처벌과 같은 양육행동 외에 자녀에 대한 심리적 조정(manipulation)과 같은 부모의 반복된 행동 패턴인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 과정을 통해 자녀의 또래관계에서 내적작동 모델이 되어 또래괴롭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의 연령에 따라 부모-자녀 간의 관계 양상이 변화를 나타내므로 그 영향력이 달라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 따라서 또래괴롭힘 역할행동에서 방어행동과 그 외 나머지 행동들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가 차이를 보일 것으로 가정하고 본 연구에서는 방어행동을 제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역할행동의 구분을 직․간접적으로 또래괴롭힘을 주도하는 가해행동, 또래괴롭힘의 대상이 되는 피해경험, 또래괴롭힘을 목격하고 이를 무시하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관행동,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가해자를 부추기는 동조행동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 종합하면,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더불어 또래괴롭힘의 역할행동 중 피해자를 보호하려는 방어행동은 적극적인 친사회적 특성으로, 가해행동, 피해 경험, 방관행동, 동조행동에 공통적으로 함축된 부정적인 특성과는 구별된다. 따라서 또래괴롭힘 역할행동에서 방어행동과 그 외 나머지 행동들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가 차이를 보일 것으로 가정하고 본 연구에서는 방어행동을 제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역할행동의 구분을 직․간접적으로 또래괴롭힘을 주도하는 가해행동, 또래괴롭힘의 대상이 되는 피해경험, 또래괴롭힘을 목격하고 이를 무시하거나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관행동,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가해자를 부추기는 동조행동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대 혹은 과도한 신체적 처벌과 같은 양육행동 외에 자녀에 대한 심리적 조정(manipulation)과 같은 부모의 반복된 행동 패턴인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 과정을 통해 자녀의 또래관계에서 내적작동 모델이 되어 또래괴롭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의 연령에 따라 부모-자녀 간의 관계 양상이 변화를 나타내므로 그 영향력이 달라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또래괴롭힘의 참여자 유형을 나누는 방식의 예는? 최근 몇몇 국내 연구들이 또래괴롭힘의 참여자 유형을 가해집단, 가해피해 집단, 피해집단으로 분류하거나(Haynie et al., 2001; Kumpulainen & Rasanen, 2000), 가해아, 피해아, 방관자, 피해아방어자, 가해동조자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 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Baik, 2010; Seo, 2008). 그러나 이러한 참여자 유형은 고정적인 것이기보다는 상황과 가해 경험에 따라 중복되거나 변화하는 것처럼 보인다(Han, 2000; Sutton & Smith, 1999).
또래괴롭힘이란? 또래괴롭힘이란 집단의 구성원 중 자기보다 약하거나 집단의 암묵적 규칙을 어긴 사람에게 개인 혹은 여러 명이 신체적 또는 심리적 공격을 가하여 지속적으로 고통을 주는 행위로 정의된다(Olweus, 1973). 청소년폭력예방재단(2011)에 의하면, 2006년도 학교폭력의 피해 율은 17.
또래괴롭힘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래괴롭힘이란 집단의 구성원 중 자기보다 약하거나 집단의 암묵적 규칙을 어긴 사람에게 개인 혹은 여러 명이 신체적 또는 심리적 공격을 가하여 지속적으로 고통을 주는 행위로 정의된다(Olweus, 1973). 청소년폭력예방재단(2011)에 의하면, 2006년도 학교폭력의 피해 율은 17.8%, 가해율은 12.6%이던 것이 2011년 도에 이르러 피해율은 18.8%, 가해율은 15.7%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또한 2008년 28.6%에서 2011년 41.7%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lbrecht, A. K., & Galambos, N. L. (2007).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aggressive behaviors and perceptions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 and cultural bounda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and Social Psychology. 72, 408-419. 

  2. Baik, J. H. (2010). Understanding peer victimization in boys and girls :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al, social characteristics and bullying participant ro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 Bandura, A. (2002). Growing primacy of human agency in adaptation and change in the electronic era. European Psychologist, 7, 2-16. 

  4. Bandura, A., Barbaranelli, C., Caprara, G. V., & Pastorelli, C. (1996a). Mechanism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364-374. 

  5.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7. Burk, L. R., Park, J., Armstrong, J. M., Klein, M. H., Goldsmith, H., Zahn-Waxler, C., et al. (2008). Identification of early child and family risk factors for aggressive victim status in first grad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6, 513-526. 

  8. Dodge, K. A., Bates, J. E., & Pettit, G. S. (1990). Mechanisms in the cycle of violence. Science, 250, 1678-1683. 

  9. Eisenberg, N. (1986). Altruistic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 Hillsdale, NJ : Erlbaum. 

  10. Finkenauer, C., Engels, R. C. M. E., & Baumeister, R. F. (2005). Parenting behaviour and adolescent behavioural and emotional problems : The role of self-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9, 58-69. 

  11. Gini, G. (2006a). Social cognition and moral cognition in bullying : What's wrong? Aggressive Behavior , 32, 528-539. 

  12. Han, J. S. (2000). Study on the Violence around Schools : Influence of Delinquent Pe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3. Hanish, L. D., & Guerra, N. G. (2004). Aggressive victims, passive victims, and bullies : Developmental continuity or developmental change? Merrill-Palmer Quarterly, 50, 17-38. 

  14. Hawker, D. S. J., & Boulton, M. J. (2000). Twenty years' research on peer victimization and psychosocial maladjustment : A meta-analytic review of cross- sectional studi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1(4), 441-455. 

  15. Haynie, D. L., Nansel, T., Eitel, P., Crump, A. D., Saylor, K., Yu, K. et al. (2001). Bullies victims and bully/victims : Distinct groups of at-risk youth.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1(1), 29-49. 

  16. Jeon, S. Y. (2007),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 Mediational effects of emotional autonom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6), 101-111. 

  17. Kim, H. S. (2003). The influence of religion, parenting behavior and self-esteem on forg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8. Kumpulainen, K., & Rasanen, E. (2000). Children involved in bullying at elemenatary schoolage : Their psychiatric symptoms and deviance in adolescence, an epidemiological sample. Child Abuse and Neglect, 24(12), 1567-1577. 

  19. Kwak, K. J. (1998). Self-efficacy and moral justification (1) : The developmental patter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Developmental, 11(1), 9. 

  20. Lee, J. R. (2011). Construction of the social knowledge and adolescents' moral development. Korean Education Association of Moral and Ethics, 33(1), 1-30. 

  21. Menesini, E., Sanchez, V., Fonzi, A., Ortega, R., Costabile, A., & Feudo, G. L. (2003). Moral emotions and bullying :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bullies, victims and outsiders. Aggressive Behavior, 29, 515-530. 

  22. Nam, Y. O., & Kim, J. N. (2010). A study on psycho social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problem behavior.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2(2), 123-141. 

  23. Nucci, L. P. (2008a), "Social cognitive domain theory and moral education", In L. P. Nucci & D. Narvaez(Ed.), Handbook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pp. 291-309), New York; London : Routledge. 

  24. Oh, G. R. (2002). A Study on the differneces in mor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by the parents' rearing behaviors and gen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veristy, chonbuk, Korea. 

  25. Olweus, D. (1973). Personality and aggressaion. In J. F. Cole & D. D. Jenses (Eds.),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1972. Linclin :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6. Paciello, M., Fida, R., Tramontano, C., Lupinetti, C., & Caprara, G. V. (2008). peer victimization and psychosocial maladjustment : A metaanalytic review of cross-sectional studi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1, 441.455. 

  27. Park, K. S., Son, H. G., & Song, K. M. (1998). Research on bullying phenomenon in Korea . Seoul :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8. Park, O. S., Lee, Y. M., You, H. W., Kim, J. H., Choi, H. Y., Kim, S. H. et al., (2013). 2012 National research of school violence. Seoul : The Foundation for Preventing Youth Violence. 

  29. Rice, F. P. (2009). The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and culture, 12th edtion. (joint translation by Jung, Y., Shin, M., & Lee, S.). Seoul : Sigma Press. (original publication, 2008). 

  30. Rivers, I., Poteat, V. P., Noret, N., & Ashurst, N. (2009). Observing bullying at school : The mental health implications of witness statu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4, 211-223. 

  31. Salmivalli, C., & Voeten, M. (2004). Connections between attitudes, group norms, and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 Development, 28(3), 246-258. 

  32. Salmivalli, C., Lagerspetz, K., Bjokqvist, K., & Oterman, K. (1996b). Bullying as a group process :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 in the group. Aggressive Behavior, 22, 1-15. 

  33. Seo, M. J. (2006). An exploration on mitigative factors of bullying : Focused on analysis by types of outsi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34. Seo, M. J. (2008). Participation in bullying : Bystanders' characteristics and role behaviors. Korea Journal of Child Studies, 29(5), 79-95. 

  35. Seo, M. J., & Kim, K. Y. (2004).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are bullies and/or victims. Korea Journal of Child Studies, 25(2), 93-108. 

  36. Seo, M. J., & Kim, K. Y. (2006). Analysis of variables for classifying types of outsiders in bullying situations. Korea Journal of Child Studies, 27(6), 35-51. 

  37. Sim, G. Y. (2000). A study of violence and related changing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38. Song, K. H., Song, S. H., Baik, J. H., & Lee, S. Y. (2009). Understanding peer victimization in boys and girls : Adolescents' emotional,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2(2), 1-22. 

  39. Sutton, J., & Smith, P. K. (1999). Bullying as a group process : An adaptation of the participant role approach. Aggressive Behavior, 26, 1-9. 

  40. The Foundation for Preventing Youth Violence. (2011). 2011 National research of school violence. Seoul : The Foundation for Preventing Youth Violence. 

  41. Toblin, R. L., Schwartz, D., Gorman, A. H., & Abou-ezzeddine, T. (2005). Social-cognitive and behavioral attributes of aggressive victims of bullying.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6(3), 329-3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