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와 모의 통제가 남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자율성의 매개적 역할
The Effects of Paternal and Maternal Control on Self-Esteem in School-Age Boys and Girls : The Mediating Role of Autonomy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5, 2011년, pp.67 - 84  

이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지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control and children's autonomy on self-esteem, using a sample of 415 school-age children (208 boys and 207 girls) recruited in Seoul.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s revealed a variety of gender-based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among these three 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oom의 개념을 사용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율성과 자아존중감 및 유능감을 포함하는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연구들은 자율성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유능감 등과 같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일관적인 결과를 보고한다(김희화, 2009; 장휘숙, 2002; Noom, Dekovic, & Meeus, 1999). 그러나 국내의 경우, 특히 학령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매우 드문 실정으로, 본 연구는 Noom의 정의를 기초로 이 시기 아동의 자율성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그러나 부모의 통제와 관련된 국내 연구들은 어머니의 통제에 초점을 두었으며(이지인 · 박성연, 2008; 전숙영, 2007; 정윤주, 2004), 아버지의 통제는 물론 아버지와 어머니의 통제를 동시에 고려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발달에 대한 아버지의 영향력과 부부공동양육(co-parenting)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남녀 아동의 자율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통제의 영향력을 동시에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을 아동의 지각에 의해 측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발달에 대한 아버지의 영향력과 부부공동양육(co-parenting)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남녀 아동의 자율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통제의 영향력을 동시에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을 아동의 지각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는 부모가 자녀에게 대하는 행동과 그 이면의 동기를 자녀는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며, 부모의 의도와 반대로 부모의 양육행동을 지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박영애 · 정옥분 1996; Rohner & Pettengill, 1985).
  • 본 연구는 학령후기의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의 통제 및 아동의 자율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통제가 아동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동의 자율성이 부모의 통제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그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부-자녀관계와 모-자녀관계를 모두 포함하여 남녀 아동에게 미치는 부모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부모 및 아동의 성을 모두 고려하였다. 둘째, 학령후기 아동에게 중요한 양육행동의 차원인 통제적 양육행동을 심리적 통제와 행동적 통제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각 양육행동 요인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 이와 같이 학령후기의 부모-자녀관계에서 양육의 통제 측면이 아동의 발달결과에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학령후기를 대상으로 한 부모의 통제가 이 시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국내연구가 부족할 뿐 아니라, 심리적 통제와 행동적 통제를 동시에 고려한 연구들이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와 자율성 발달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는 학령후기 아동에게 중요한 부모의 통제에 초점을 두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행동적 통제가 남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종합해 보면, 환경적 요인인 부모의 통제와 개인 내적 요인인 아동의 자율성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리라 가정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와 모의 통제 및 아동의 자율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롯하여 부와 모의 통제가 아동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와 동시에 부와 모의 통제와 남녀 아동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율성의 매개적 역할을 탐색하였다.

가설 설정

  • 한편,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 등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가 청소년 및 부모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연구보고(김수희 · 박성연, 2009; 소미강, 2008; 주인자, 2006; Barber, 1996; Bean & Northrup, 2009)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부모의 통제가 부모의 성과 아동의 성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며, 아동의 자율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가정하게 한다. 그러나 부모의 통제와 관련된 국내 연구들은 어머니의 통제에 초점을 두었으며(이지인 · 박성연, 2008; 전숙영, 2007; 정윤주, 2004), 아버지의 통제는 물론 아버지와 어머니의 통제를 동시에 고려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의 특징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건강한 성격발달 및 생활 만족과 자아실현에 중요한 요소로서 개인의 행동, 감정, 동기, 성취, 대인관계 등 다양하게 영향을 미친다(Harter, 1983).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능력에 대해 자신감이 있고, 생활 만족도가 높으며,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반면,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우울, 불안, 낮은 성취동기 등의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기 쉽다(장윤옥․전귀연, 1998; 정희욱, 2003; 홍성흔․도현심, 2002). 학령후기 아동들은 사춘기로 진입하면서 급격한 신체성장과 함께 보다 효율적이고 성숙한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심리적 통제란 무엇인가? 전통적으로 애정과 상반되는 부정적 양육, 즉, 강압적, 적대적 또는 거부적 양육행동으로 알려졌던 부모의 통제는 Barber와 동료들에 의해 심리적 통제와 행동적 통제로 구분되기 시작하였다(Barber, 1996; Barber, Olsen, & Shagle, 1994). 심리적 통제는 자아 과정, 자기표현, 정서와 부모와의 애착과 같은 자녀의 정서 및 심리적 발달에 개입하려는 부모의 시도로, 부모가 아동의 심리적, 정서적 감정과 표현을 무시하고 억누르며, 자녀의 생각, 표현, 감정 등에 대해 애정을 철회하고 죄의식을 느끼게 함으로써 자녀의 심리적 영역을 통제하려는 행동을 의미한다. 반면에, 행동적 통제는 자녀의 행동을 통제하거나 관리하려는 부모의 시도로, 자녀의 행동이나 활동에 대한 부모의 지식의 정도, 즉 부모의 감독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2)

  1. 김수희?박성연(2009). 청소년의 성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01-113. 

  2. 김연희(2005).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행동 문제와의 관계-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용희(2009). 아동의 부모 분리개별화와 애착이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 : 행동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4(1), 107-124. 

  4. 김은정(2006). 초기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가정 내 사회자본의 역할과 특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8(3), 36-61. 

  5. 김지현?도현심?신나나?김민정(2011).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의 매개적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4), 217-232. 

  6. 김희화(2003).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인터넷 비행에 대한 모 감독과 심리적 통제의 영향. 청소년학연구, 10(3), 133-153. 

  7. 김희화(2005). 초기 청소년의 정서적 자율성과 심리적 복지감 및 비행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감독의 형향. 청소년학연구, 12(4), 151-168. 

  8. 김희화(2009). 청년 초기의 자율성과 적응 간의 관계 및 부모의 애정적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16(1), 155-175. 

  9. 박성연?이은경?송주현?Soenens, B. (2008). 부모의 심리적 통제 유형이 청소년의 의존심, 자아 비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65-78. 

  10. 박영애?정옥분(1996).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17(1), 181-212. 

  11. 소미강(200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안도희?박귀화?정재우(2008). 자율성 지지, 기본적 욕구,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5(5), 315-338. 

  13. 윤지은?최미경(2004).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모-자녀간 갈등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37-251. 

  14. 이미리(2005). 청소년 초기 자아존중감 발달과 가족, 친구, 학업, 여가, 직업 맥락변인들의 관계: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 청소년 패널 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 II,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 04-R01-1. 

  15. 이 숙?우희정?김미란(2000). 어머니의 애착과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지, 3(1), 64-72. 

  16. 이지인?박성연(2008). 어머니의 애착경험 및 심리적 통제행동과 어머니에 대한 청소년의 애착이 청소년의 심리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3), 175-189. 

  17. 임지영(2008). 부모의 권위감과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중국과 미국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지, 17(6), 1115-1124. 

  18. 장경문(2007).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와 아동의 내외향적 성격특성에 따른 자기결정성 및 학업성적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20(1), 164-179. 

  19. 장경문(2011).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가 남녀 초등학생의 자존감 및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2), 243-261. 

  20. 장윤옥?전귀연(199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42,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145-166. 

  21. 장휘숙(2002). 청년후기의 부모에 대한 애착, 분리-개별화 및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5(1), 101-121. 

  22. 전숙영(2007).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 : 학령기 후기 아동의 정서적 자율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45(6), 101- 111. 

  23. 정윤주(2004).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행동 문제 : 아동의 성과 또래수용도의 중재효과에 대한 탐색. 아동학회지, 25(6), 205- 223. 

  24. 정윤주(200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부모 이외 애착대상의 수용-거부, 행동통제와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4(6), 947-959. 

  25. 정희욱(2003). 초?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0(4), 443-458. 

  26. 조주연?도현심 (2011). 부모 간 갈등, 어머니의 지지 및 통제와 또래관계의 질이 고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아동학회지, 32(2), 15-34. 

  27. 주인자(2006).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홍성흔?도현심(2002). 모-자녀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성취동기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2), 145-157. 

  29. Allen, J. P., Hauser, S. T., Bell, K. L., & O'connor, T. G. (1994). Longitudinal assesment of autonomy and relatedness in adolescent-famil interactions as predictors of adolescent ego development and self-esteem. Child Development, 65(1), 179-194. 

  30.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31. Barber, B. K., & Buehler, C. (1996). Family cohesion and enmeshment : different constructs, different effec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8(12), 433-441. 

  32. Barber, B. K., & Harmon, E. L. (2002). Violating the self :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 K. Barber (Ed.), Intrusive parenting (pp. 15-52).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3. Barber, B. K., Olsen, J. E., & Shagle, S. C. (1994).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and behavior control and you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5 (4), 1120-1136. 

  34. Barber, B. K., & Shagle, S. (1992).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 A sociological analysis. Family Perspective, 26(4), 493-515. 

  35. Barber, B. K., Stolz, H, E., & Olsen, J. A. (2005).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 Assessing relevance across time, culture, and method.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70 (4), Serial No. 282. 

  3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7. Baumrind, D. (1991).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 competence and substance us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1(1), 56-95. 

  38. Bean, R. A., Bush, K. R., McKenry, P. C., & Wilson, S. M. (2003). The impact of parental support,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of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8(5), 523-541. 

  39. Bean, R. A., & Northrup, J. C. (2009).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sychological autonomy, and acceptance as predictors of self-esteem in Latino adolescents. Journal of Family Issues, 30(11), 1486-1504. 

  40. Bekker, M. H. J. (1991). The movable boundaries of the female ego. Delft. The Netherlands : Eburon Academic Publishers. 

  41. Berry, W. D., & Feldman, S. (1985). Multiple regression in practice :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42. Beyers, W., & Goossens, L. (1999). Emotional autonomy, psychosocial adjustment and parenting : interactions,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Journal of Adolescence, 22(6), 753-769. 

  43. Block, J., & Robinson, R. W. (1993). A longitudinal study of consistency and change in self-esteem from early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Child Development, 64(3), 909-923. 

  44. Coley, R. L., & Hoffman, L. W. (1996). Relations of parental supervision and monitoring to children's functioning in various contexts : Moderating effects of families and neighborhood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7(1), 51-68. 

  45. Dekovic, M., & Meeus, W. (1997). Peer relations in adolescence : Effects of parenting and adolescents' self-concept. Journal of Adolescence, 20 (2), 163-176. 

  46. Garber, J., Robinson, J., & Valentiner, D. (1997).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nd adolescent depression : Self-worth as a mediator.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2(1), 12-33. 

  47. Gecas, V., & Schwalbe, M. L. (1986). Parental behavior and adolescent self-esteem.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1), 37-46. 

  48. Gray, M. R., & Steinberg, L. (1999). Unpacking authoritative parenting : Reassess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 (3), 574-587. 

  49. Grolnick, W. S., Weiss, L., McKenzie, L., & Wrightman, J. (1996). Contextual, cognitive, and adolescent factors associated with parent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5(1), 33-54. 

  50. Halpern, D. F. (1997). Sex differences in intelligence : Implications for education. American Psychologist, 52(10), 1091-1102. 

  51. Harter, S. (1983).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self-esteem.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pp. 275-385), New York: John Wiley & Sons. 

  52. Henker, B., & Whalen, C. K. (1989). Hyperactivity and attention deficits. American Psychologist, 44(2), 216-223. 

  53. Litovsky, V. G., & Dusek, J. B. (1985). Perceptions of child rearing and self-concept development during the early adolescent yea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4(5), 373-388. 

  54. Maccoby, E. M., & Martin, J. (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 Parent-child interaction. In E. M. Hetherington (Ed.), & P. H. Mussen (Series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pp. 1-101), New York:John Wiley & Sons. 

  55. McCormick, C. B., & Kennedy, J. H. (1994). Parentchild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self-esteem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3(1), 1-18. 

  56.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8). Mothers' and fathers' support for child autonomy and early school achieve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44(4), 895-907. 

  57. Noom, J. N. (1999). Adolescent autonomy:Characteristics and correlates. Delft The Netherlands : Eburon Academic Publishers. 

  58. Noom, J. N., Dekovic, M., & Meeus, W. H. J. (1999). Autonomy, attachmen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during adolescence : A double-edged sword? Journal of Adolescence, 22(6), 771-783. 

  59. Owen, T. J., Mortimer, J. T., & Michael, D. F. (1996). Self-determination as a source of self-esteem in Adolescence. Social Force, 74(4), 1377-1404. 

  60. Pettit, G. S., Laird, R. D., Dodge, K. A., Bates, J. E., Michael M., & Criss, M. M. (2001). Antecedents and behavior-problem outcomes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2(2), 583-58. 

  61. Plunkett, S. W., Henry, C. S., Robinson, L. C., Behnke, A., & Falcon III, P. C. (2007). Adolescent perceptions of parental behaviors, adolescent selfesteem, and adolescent depressed mood.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6(6), 760-772. 

  62. Richards, M. H., Gitelson, I. B., Petersen, A. C., & Hurtig, A. L. (1991). Adolescent personality in girls and boys:The role of mothers and father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5(1), 65-81. 

  63. Rohner, R. P., & Pettengill, S. M. (1985).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arental control among Korea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6(2), 524-528. 

  6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65. Silk, J. S., Morris, A. S., Kanaya, T., & Steinberg, L. (2003). Psychological control and autonomy granting : Opposite ends of a continuum or distinct construct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3(1), 113-128. 

  66. Smetana, J. G., Campione-Barr, N., & Daddis, C. (2004). Longitudinal development of decision making : Defining healthy behavioral autonomy for middle-class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75(5), 1418-1434. 

  67. Soenens, B., & Vansteenkiste, M. (2005). Antecedents and outcomes of self-determination in 3 life domains : The role of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t, 34(6), 589-604. 

  68. Soenens, B., Vansteenkiste, M., Lens, W., Luyckx, K., Goossens, L., Beyers, W., & Ryan, R. M. (2007). Conceptualizing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 perception of promotion of independence versus promotion of volitional functioning. Development Psychology, 43(3), 633-646. 

  69. Steinberg, L. (1990). Interdependency in the family: Autonomy, conflict and harmony. In S. S. Feldman & G. R. Elli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70. Steinberg, L., & Dornbusch, S. M. (1991). Negative correlates of part-time employment during adolescence : Replication and elabor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7(2), 304-313. 

  71. Steinberg, L., & Fletcher, A. P. (1994). Parental monitoring and peer influences on adolescent substance use. Pediatrics, 93(6), 1060-1064. 

  72. Stipek, D. J., & Maclver, D. (1989). Developmental change in children's assessment of intellectu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60(3), 521-5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