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전 영아 심정지 환자에서 150J 제세동과 심폐소생술 시행 후 생존한 1례
A survived case after 150J defibrillation and CPR were performed for out-of-hospital infant cardiac arrest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7 no.3, 2013년, pp.53 - 60  

윤형완 (전주비전대학교 응급구조과) ,  홍수미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전윤철 (익산소방서 팔봉119안전센터) ,  이재민 (광주보건대학교 응급구조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This resuscitation by paramedic is very effectively performed under the medical direction of the doctors. Methods: The cardiac arrest victim was 4 month old infant. Informed consent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사례연구는 병원 전 영아 심정지 환자를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 150J을 시행하여 자발순환이 회복(ROSC,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되어 생존 퇴원한 1세 이하 심정지 환자 소생사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증례는 영아 심폐소생술의 성공적인 예를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병원 전 영아에게 AED를 이용한 제세동을 시행하는 예와 적절한 헬기 이송법을 보여 주였다. 그러나 선진 응급의료체계를 가지고 있는 미국이나 프랑스 등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병원 전 심정지 환자에게 성인용 AED 제세동(150J)만 사용하게 되어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장외의 원인으로 인한 소아의 심정지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소아의 심정지는 갑작스럽게 발생하지 않으며“심장외의” 원인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영아돌연사증후군(SID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외상, 익수, 중독, 호흡기 질환, 이물에 의한 기도폐쇄, 패혈증, 신경계질환들이 심폐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6], 일반적으로 병원 외에서 발생하는 소아 심정지는 특징적으로 저산소증과 고탄산혈증으로 인한 호흡정지와 서맥에서부터 진행되는 무수축 심정지라고 하였다[7]. 병원 외에서 발생한 심폐정지로부터 소아 심정지 환아가 생존한 경우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3~17%로 보고되었으나, 호흡정지만 있었던 소아는 소생술 후 신경학적 문제가 없는 생존율이 50% 이상 보고가 되었고[6],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이 심정지가 있는 소아에서 자발순환회복을 향상시키고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생존을 증가시킬 수 있다[8].
병원 외에서 발생한 소아 심폐정지 시 권고되는 조치는 무엇인가? 또한 서맥은 소아에서 관찰되는 가장 흔한 리듬 가운데 하나이며 응급의료종사자에게는 심박동수가 60회 미만으로 인해 전신관류가 악화되기 시작할 때도 흉부압박을 시작하도록 교육하고 있다[6]. 병원 외에서 발생한 소아 심폐정지 환자의 경우에는 성인 심정지 프로토콜인 즉각적인 EMS 신고와 제세동 시행보다는 즉각적인 CPR(Cardiopulmonary resusci‐ tation) 시행을 권고하고, 영아와 소아에서는 가능한 한 빨리 효과적인 BLS(Basic life support)를 시행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18,19]. 국내에서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를 보면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41조와 규칙 33조에 의거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규칙적 심박동의 유도’를 할 수 있다고 나와 있어 AED만의 사용을 강조하며 수동제세동기는 업무범위에서 벗어난다.
수동제세동 사용은 119구급대 장비 규정에 어떻게 규정되어 있는가? 국내에서 현재 119구급대 장비 규정에는 자동제세동기와 수동제세동기가 가능한 AED로 지급되어 있지만 수동제세동은 사용하지 못하도록 되어있다. 제세동의 순서는 제세동기가 준비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제세동을 시행한 이후에도 즉시 흉부 압박을 시행하도록 하여 흉부압박중단(Hands off time)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13,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e Caen AR, Kleinman ME, Chameides L, Atkins DL, Berg RA, Berg MD, et al. Paediatric basic and advanced life support: 2010 International consensu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science with treatment recommendations. Resuscitation 2010;81: 213-59. 

  2. Chameides L, Samson RA, Schexnayder SM, Hazinski MF.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Provider manual 2011.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1. 154-9. 

  3. Yun HW, Jung EK. The effectiveness of quality control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on survival rate of cardiac arrest patients. The Korean J. of Health Society 2013;7(1):21-34. 

  4. Yun YY, Kim HJ, Han SC, Youm KI, Moon JM, Chun BI, et al. Clinical analysis of CPR in infants with out-of-hospital cardiopulmonary arrest. J Korean Soc Emerg Med 2004;15(6):567-74. 

  5. Donoghue AJ, Nadkarni V, Berg RA, Osmond MH, Wells G, Nesbitt L, et al. Out-of-hospital pediatric cardiac arrest: An epidemiologic review and assessment of current knowledge. Ann Emerg Med 2005; 46(6): 512-22. 

  6. Cummins RO, Hazinski MF, Baskett PJ.F, Chamberlain D, Bossaert LL, Callanam Vic, et al. Pediatric basic life support. Resuscitation 2000;46(1-3):301-41. 

  7. Young KD, Seidel JS. Pediatr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collective review. Ann Emerg Med 1999;33(2):195-205. 

  8. Cho YC, Koo DH, Ryu S, Lee JW, Kim SW, Yoo IS, et al. Structures does a rescuer compress in one rescu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infant. Korean J Emerg Med Ser 2009;20(4):372-8. 

  9. Kim YM, Gim UJ, Gim JJ, An MU, Lee TH, Jeong SP, et al. Emergency medicine. 1st ed.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Koonja, 2011. 121-8. 

  10. Biarent D, Bingham R, Eich C, Lopez-Herce J, Maconochie I, Rodriguez-Nunez A, et al.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for resuscitation 2010 section 6. paediatric life support. Resuscitation 2010;81(10):1364 -88. 

  11. Berg RA, Samson RA, Berg MD, Chapman FW, Hilwig RW, Banville I, et al. Better outcome after pediatric defibrillation dosage than adult dosage in a swine model of pediatric ventricular fibrillation. J Am Coll Cardiol 2005;45(5):786?9. 

  12. Sinz E, Navarro K.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provider manual 2011.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1. 54. 

  13. Park SE, Shin DM. The changes of defibrillation time depending on the manual external defibrillator device. Korean J Emerg Med Ser 2012;16(1):81-90. 

  14. Yun HW, Lee JM, Jung JY. Out-of- hospital resuscitation if cardiac arrest by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0;24(5): 142-9. 

  15. Berg MD, Samson RA, Meyer RJ, Clark LL, Valenzuela TD, Berg RA. Pediatric defibrillation doses often fail to terminate prolonged out-of-hospital ventricular fibrillation in children. Resuscitation 2005; 67(1):63-7. 

  16. Lim JM, Yun SJ, Lim GS, Kang KK, Choi ES, Seo KH. Psychological burden for legal responsibility of 119 emergency personnels. Korean J Emerg Med Ser 2009;13(1):87-96. 

  17. Onay OS, Yildirim I, Beken B, Erdem S, Karagoz T, Yilmaz M, et al. Successful implantation of an intracardiac defibrilla­tor in an infant with long qt syndrome and isolated noncompaction of the ventricular myocardium. Pediatr cardiol 2012;34(1): 189-93. 

  18. Alsoufi B, Al-Radi OO, Nazer RI, Gruenwald C, Foreman C, Williams WG, et al. Survival outcomes after rescue extracorpore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refractory cardiac arrest. J Thorac Cardiovasc Surg 2007; 134(4):952-9. 

  19. Sutton RM, French B, Nishisaki A, Niles DE, Maltese MR, Boyle L, et al. American Heart Associa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 targets are associated with improved arterial blood pressure during pediatric cardiac arrest. Resusciation 2013;84(2):168-72. 

  20.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119 EMS field standard guidelines 2013.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2. 7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