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장관리해역으로 지정된 옹진군의 수질 및 퇴적물 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에 4개 도서(장봉도, 자월도, 영흥도, 백령도)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온은 $9.49{\sim}24.14^{\circ}C$로 계절변동 특성을 잘 나타내었고, 염분(23.19~31.49)과 용존산소(5.48~9.36 mg/L)는 수온과 역상관성을 보였으며,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평균 1.57 mg/L로 전체적으로 양호한 수준이었다. DIN과 DIP는 각각 0.111~0.666 mg/L, 0.002~0.043 mg/L의 범위로 전 정점에서 낮은 분포를 보였고, 엽록소 a의 농도는 $0.02{\sim}8.07{\mu}g/L$ 범위로 서해의 다른 해역보다 낮았다. 퇴적물의 입도 분포는 모래와 실트가 각각 56.7 %, 34.6 %로 우세하였고, 분급은 불량하였다. 퇴적물의 화학적산소요구량강열감량은 각각 $1.00{\sim}11.03mg/g{\cdot}dry$, 0.72~5.29 %의 범위로 시 공간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총유기탄소와 총질소의 C/N ratio는 8.17~17.97 범위로 하계에 육상기원과 해양기원에 의한 영향이 혼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층퇴적물의 미량금속 오염도 평가를 위해 농집지수($I_{geo}$)를 계산한 결과, Cr과 As를 제외한 나머지 금속원소에 의한 오염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지역이 전체적으로 양호한 수질을 보이며, 유기물과 금속원소에 의한 표층퇴적물의 오염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productivity of aquaculture animals with management of culturing grounds, survey of mariculture management area in Ongjin-gun about water qualit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had been conducted on June, August and November in 2011. Water temperature in surface and bottom waters ranged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어장관리해역으로 지정된 옹진군 4개 도서(장봉도, 자월도, 영흥도, 백령도)에 대해 어장관리법 제 6조의 규정에 따라 수행된 첫 번째 어장환경 조사로써 이를 통해 수질 및 퇴적물 환경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양식어장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지속적인 환경자료 확보를 통해 향후 지정된 어장관리해역의 변경 및 해제 시에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어장관리해역으로 지정된 옹진군 4개 도서(장봉도, 자월도, 영흥도, 백령도)에 대해 어장관리법 제 6조의 규정에 따라 수행된 첫 번째 어장환경 조사로써 이를 통해 수질 및 퇴적물 환경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양식어장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지속적인 환경자료 확보를 통해 향후 지정된 어장관리해역의 변경 및 해제 시에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옹진군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반도의 중부지역 서단에 위치한 옹진군은 북쪽으로는 서해북방한계(NLL)와 접하고 있고 황해 냉수대의 영향을 받아 청정해역의 환경특성을 나타내며, 동쪽으로는 임진강과 한강으로부터 유입되는 풍부한 영양원으로 인하여 참조기와 꽃게 등의 지역 특산어종의 서식에 좋은 환경을 이루고 있다. 또한 조석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의 특성을 바탕으로 갯벌이 넓게 발달되어 바지락과 동죽 등의 패류 서식량이 많은 지역이다(Ongjin-gun, 2012). 그러나 최근 시행된 수많은 간척사업 등에 의해 해안선 변화가 발생하였고, 영흥화력발전소 지역의 대규모 해상구조물에 의한 조류 및 저질 변동은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고 양식어장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양생태계의 변화와 양식어장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또한 조석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의 특성을 바탕으로 갯벌이 넓게 발달되어 바지락과 동죽 등의 패류 서식량이 많은 지역이다(Ongjin-gun, 2012). 그러나 최근 시행된 수많은 간척사업 등에 의해 해안선 변화가 발생하였고, 영흥화력발전소 지역의 대규모 해상구조물에 의한 조류 및 저질 변동은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고 양식어장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생태계의 악화는 어업생산량을 급감시키고 주 소득원인 바지락 등의 양식 생산 감소를 일으키며 어장의 경제적 가치 상실로 어업인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Ongjin-gun, 2008).
백령도에 풍부하게 서식하는 것은 무엇인가? 옹진군의 4개 도서 중 백령도는 북방한계선과 황해도와 접해있고 외해 쪽은 수심이 깊어 갯벌 발달이 미약하고 모래사면이 적다. 해저 암반이 잘 발달하여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와 전복, 해삼 등이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영흥도는 갯벌이 넓게 발달되어 있어 바지락 등 패류양식이 발달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Fork, R. L. and W. C. Ward(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ol. 27, No. 1, pp. 3-26. 

  2. Fork, R. L.(1986),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Austin, Texax, Hemphill, p. 170. 

  3. Hwang, D. W., S. O. Ryu, S. G. Kim, O. I. Choi, S. S. Kim and B. S. Koh(2010),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43, No. 2, pp. 146-158. 

  4. Hyun, S., T. Lee, J. S. Choi, D. L. Choi and H. J. Woo(2003),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Poll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Gwangyang and Yeosu Bay, South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8, No. 4, pp. 380-391. 

  5. Hyun, S., C. H. Lee, T. Lee and J. W. Choi(2007), Anthropogenic Contributions to Heavy Metal Distrib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Masan Bay,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4, No. 7, pp. 1031-1071. 

  6. Ingram, R. L.(1971), Sieve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ed. R. E. Carver, Wilson Interscience, Wiley Interscience, New York, pp. 49-68. 

  7. Jang, J. I., I. S. Han, K. T. Kim and K. T. Ra(2011),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Shihwa Lake and Outer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 17, No. 2, pp. 105-121. 

  8. Jeon, S. G. and Y. G. Cho(2002), Some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1, No. 12, pp. 1299-1305. 

  9. JFRCA(1983), Water Quality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ving Resources. Tokyo, Japan Fisheries Resources Conservation Association. p. 29. 

  10. Jun, S. K., C. K. Kim and Y. Kim(2011), The Evalu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Coastal Boundary on Tidal fla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4, No. 1, pp. 1-10. 

  11. Kim, N. Y., K. H. Kim and K. Park(1999),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ajor Water Quality Parameters in the Kyung Gi Bay, Yellow S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0, No. 5, pp. 564-579. 

  12. KORDI(2008), Development of Management and Restoration Technologies for Estuaries with Focus on Han River Estuary Reg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p. 711. 

  13. Lee, M. K., W. Bae, I. K. Um and H. S. Jung(2004), Characteristics of Heavymetal Distribution in Sediments of Youngil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Engneering, Vol. 26, No. 5, pp. 543-551. 

  14. Lim, D. I., C. R. Rho, P. G. Jang, S. M. Kang, H. S. Jung, R. H. Jung and W. C. Lee(2007), Temporal-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and Their Controlling Factor,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9, No. 2, pp. 135-153. 

  15. Lim, D. I., M. R. Kang, P. G. Jang, S. Y. Kim, H. S. Jung, Y. S. Kang and Y. S. Kang(2008),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long Mid-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0, No. 4, pp. 379-399. 

  16. Martin, J. M. and M. Whitfield(1983), The Significance of River Input of Chemical Elements to the Ocean. In: Trace Metals in Sea Water. Wang C. S., Boyle E., Burton J. D. and Goldberg E. D., ed. Plenum, New York, U.S.A., pp. 265-298. 

  17. MIFAFF(2009), Annual Monitoring Report of Korean Marine Environment 2008,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p. 443. 

  18. MIFAFF(2012), Annual monitoring report of Korean marine environment 201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p. 377. 

  19. MLTM(2010), A Guidebook for the Seawater, Sediment and Marine Biota Analyses in Ocean Environmen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Notice No. 2010-914, p. 495. 

  20. Muller, P. J.(1977), C/N ratio in Pacific Deep-sea Sediments: Effects of Inorganic Ammonium and Organic Nitrogen Compounds Sorbed by Clay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Vol. 41, No. 6, pp. 765-776. 

  21. Muller, G.(1979), Schwernetalle in Den Sedimenten des Rheins, Verderyngen Seit. Umschau, Vol. 24, pp. 778-783. 

  22. Ongjin-gun(2008), A Site Selection of Aquaculture and a Reduction Measures of Clams Dead in Island of Ongjin-gun, Inchon, Ongjingun, p. 572. 

  23. Ongjin-gun(2012), A White Book of Ongjin-gun, Inchon, Ongjin-gun, p. 503. 

  24. Ra, K. T., J. K. Kim, E. S. Kim, K. T. Kim, J. M. Lee, S. K. Kim, E. Y. Kim, S. Y. Lee and E. J. Park(2013), Evalu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Lake Shihwa and Outer Sea by Using Water Quality Index in Korea: A Case Study of Influence of Tidal Power Plant 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Vol. 16, No. 2, pp. 102-114. 

  25. Sahu, K. C. and U. Bhosale(1991), Heavy Metal Pollution Around the Island City of Bombay, India. Part I: Quantification of Heavy Metal Pollution of Aquatic Sediments and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Discriminants, Chemical geology, Vol. 90, No. 3-4, pp. 263-283. 

  26. Stein, R(1991), Accumulation of Organic Carbon in Marine Sediments. Results from the Deep Sea Drilling Project/Ocean Drilling Program, Lecture Notes in Earth Sciences, Vol. 34, Berlin, Springer-Verlag, p. 217. 

  27. Strickland, J. D. H. and T. R. Parsons(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Fisheries Research Board of Canada, Bulletin 167, Alger Press, p. 310. 

  28. Taylor, S. R.(1964), Abundance of Chemical Elements in the Continental Crust: A New Tabl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Vol. 28, No. 8, pp. 1273-1285. 

  29. Taylor, S. R. and S. M. McLennan(1995). The Geochemical Evolu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Reviews of Geophysics, Vol. 33, No. 2, pp. 241-265. 

  30. Yeo, H. G. and H. Kang(1998),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Waters of Inchon,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Vol. 7, No. 3, pp. 321-326. 

  31. Yosida, Y.(1973), Changes in Biological Production in Low Trophic Levels, Fisheries Series, 1, Kaseisha Koseikaku, Tokyo, pp. 92-103. 

  32. Zhang J. and C. L. Liu(2002), Riverine Composition and Estuarine Geochemistry of Particulate Metals in China-weathering Features, Anthropogenic Impact and Chemical Fluxes,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54, No. 6, pp. 1051-10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