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협에서 실시한 농산물우수관리인증 농산물 대상 농약 잔류량 조사결과의 최근 4년간 현황 분석
Analysis of Recent Four Years Situation for Pesticide Residues in the GAP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Analyzed by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7 no.4, 2013년, pp.271 - 282  

김형국 (농협중앙회 식품안전연구원) ,  최동선 (농협중앙회 식품안전연구원) ,  김성구 (농협중앙회 식품안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9년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농협중앙회를 통해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인증을 받은 농산물의 농약잔류실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잔류농약다성분분석법에 따라 GC(ECD, NPD)와 HPLC를 이용하여 283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이 기간 동안 6,590점의 GAP 인증 농산물을 분석한 결과 잔류농약의 검출율은 2009년, 20.27%, 2010년, 23.42%, 2011년, 28.07% 및 2012년, 31.75%였으며, 부적합율은 2009년, 2.25%, 2010년, 1.82% 2011년, 1.67% 및 2012년, 3.47% 로 나타났다.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약은 carbendazim 등 12종 이었고, 미적용 농약 사용으로 인한 부적합 성분은 endosulfan을 비롯하여 40종 이었다. 대부분의 농산물에서 농약이 잔류허용기준 이내로 나타났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보이지만 딸기에서 검출된 endosulfan 과 같이 해당작물에 대한 등록되지 않은 농약사용으로 인한 부적합이 127건, 사과에서 검출된 carbendazim 같이 허용기준 초과로 인한 부적합이 총 25 건이 발생하여 향후 GAP 농산물의 생산단계에서 농약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the result of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certified 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 by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NACF) from 2009 to 2012. NACF evaluated simultaneously 283 pesticide multi-analysis method with GC (ECD, NPD) and HPLC. 6,590 agricultural products were ana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도 국제수준의 Global GAP에 부합하고 보다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해서는 국내 생산 GAP 인증농산물의 안전성 여부와 농약잔류실태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농협중앙회에서 인증한 GAP 농산물의 농약잔류 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GAP농산물 안전성관리 기준의 설정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GAP 인증농산물에서 농약잔류량을 평가하는 이유는 작물별로 농약의 살포횟수와 수확 전 최종 살포시기(일수)를 제한하여 안전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생산자는 반드시 농약관리법상의 안전사용기준 및 취급제한 기준을 준수하여야 하는데 생산자가 작물에 적합한 농약을 사용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작물보호협회에서 매년 발행하는 작물보호제(농약) 사용지침서에 해당 농약과 작물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검출된 잔류농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한 농약잔류허용기준(MRLs)에 따라 잔류허용량을 평가하였으며 해당 농산물에 기준이 설정되어있지 않은 경우는 Codex기준과 잠정허용기준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판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은 언제 설정되었는가? 농약은 농작물의 재배과정에서 잡초 및 병해충 발생을 막기 위해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9월 처음 17종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s, MRLs) 이 설정 된 이래로 꾸준히 개정되면서 2013년 8월 현재 432종의 농약성분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농약잔류허용기준은 농산물(식품)에 남아있는 농약성분을 사람이 일생 동안 매일 먹어도 인체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수준을 법으로 정한 기준량으로, 농약의 독성, 식품별 섭취량 등 과학적인 시험결과를 토대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설정, 고시하고 있다.
GAP 인증농산물에서 농약잔류량을 평가하는데 이를 위해 생산자가 준수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GAP 인증농산물에서 농약잔류량을 평가하는 이유는 작물별로 농약의 살포횟수와 수확 전 최종 살포시기(일수)를 제한하여 안전농산물을 생산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생산자는 반드시 농약관리법상의 안전사용기준 및 취급제한 기준을 준수하여야 하는데 생산자가 작물에 적합한 농약을 사용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작물보호협회에서 매년 발행하는 작물보호제(농약) 사용지침서에 해당 농약과 작물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검출된 잔류농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한 농약잔류허용기준(MRLs)에 따라 잔류허용량을 평가하였으며 해당 농산물에 기준이 설정되어있지 않은 경우는 Codex기준과 잠정허용기준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판정하였다.
농약이란? 농약은 농작물의 재배과정에서 잡초 및 병해충 발생을 막기 위해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9월 처음 17종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s, MRLs) 이 설정 된 이래로 꾸준히 개정되면서 2013년 8월 현재 432종의 농약성분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농약잔류허용기준은 농산물(식품)에 남아있는 농약성분을 사람이 일생 동안 매일 먹어도 인체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수준을 법으로 정한 기준량으로, 농약의 독성, 식품별 섭취량 등 과학적인 시험결과를 토대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설정, 고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Ahn (2012)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Fruit Vegetables and Root Vegetables of Environment-friendly Certified and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1(2):164-169. 

  2. Global G.A.P (2013) 2012 ANNUAL REPORT Available from http://www.globalgap.org 

  3. Lim (2012) Introduction of Positive List System and Safety Management of Pesticide Residue,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012:346-346. 

  4. Han (2012)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Korea, 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16(2):109-120. 

  5. KFDA (2013) Korean Food Code. 4.1.2.2 multi class pesticide multiresidue method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6. Kim (2011) Situations of GAP certified ginseng and 4P's strategi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gricultural Scientific Research, 38(2):369-381. 

  7. KFDA (2013) Pesticide Residue Database. Available from http://fse.foodnara.go.kr/residue/pesticides/pesticides_info.jsp.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8. NAQS (2010)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 of Agricultural Products,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Korea.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