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system) 적용을 위한 깻잎의 수확 후 관리시설(APC)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of a Perilla Leaf Postharvest Facility for Application of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4 = no.206, 2009년, pp.392 - 398  

김경열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BK 21 program)) ,  남민지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BK 21 program)) ,  이효원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BK 21 program)) ,  심원보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실) ,  윤요한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실) ,  김세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두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류재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홍무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유오종 (농촌진흥청 농자재관리과) ,  정덕화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BK 21 program))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깻잎을 생산하는 APC 시설을 대상으로 GAP system을 도입하기 위해서 각 공정별 용수 및 세척수, 작업자 및 작업장 환경, 각 공정별 깻잎 그리고 공중낙하균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E. coli, E. coli O157 그리고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과 대장균군)과 병원성 미생물(B. cereus와 S. aureus)이 세척수, 작업자 장갑 및 작업복 그리고 포장대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특히 직접적인 교차오염의 위험이 있는 세척수와 작업자 장갑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각각 0.91-3.36과 3.31-4.29 log CFU/ (mL, 100 $cm^2$), 대장균군은 0.00-1.86과 1.16-2.06 log CFU/(mL, 100 $cm^2$)의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입고된 원재료에서 포장공정에 이르기까지 깻잎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4.82-5.93과 2.82-3.49 log CFU/leaf 수준으로 분리되어 유의적인 세척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p${\geq}$0.05) 식중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더욱 향상된 세척공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와 같이 현재 APC 시설은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보다는 선별 및 저장의 기능에만 초점을 맞춰 운영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개념이 포함된 새로운 개념의 관리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신선하고 안전성이 확보된 깻잎을 생산 공급하기 위해 사전예방적 안전체제인 HACCP system을 기초로 한 GAP system을 제 시함으로써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관리가 도입된 새로운 개념의 농식품의 안전관리제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risk factors of cross-contamina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established a 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 system for an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APC) for perilla leaves. All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a standard work shift at the APC, while p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깻잎을 생산하는 APC 시설에 GAP system을 적용하고자 각 공정을 작업 전 · 후로 분류하여 깻잎, 세척수, 작업자 및 작업환경 그리고 공중낙하균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실시하였고,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포함하는 새로운 개념의 GAP system방안제시를 하고자 한다.
  • 따라서 신선하고 안전성이 확보된 깻잎을 생산 · 공급하기 위해 사전예방적 안전체제인 HACCP system을 기초로 한 GAP system을 제시함으로써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관리가 도입된 새로운 개념의 농식품의 안전관리제도를 제시하였다.
  • 앞서 선행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결과를 통해 APC시설에서 처리되는 깻잎이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서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안전한 깻잎을 생산하기 위해 생물학적 위해요소 관리가 포함되고 HACCP system원리를 바탕으로한 새로운 개념의 GAP system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선별작업장은 단순한 저장과 포장의 목적으로 설치된 기존의 APC 시설과 달리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깻잎의 효능은? 엽채류인 깻잎은 대부분 가열하지 않고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신선편이채소류(ready-to-eat vegetable)로, 인체에 필요한 비타민 및 미네랄 등의 영양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식이섬유도 풍부하여 인체의 세포재생 및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이 높아 소비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 국내의 경우 최근 대형마트, 기업형 외식시장 및 단체급식시장을 중심으로 신선채소류가 대량으로 소비되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도 1990년대 초부터 미국, 영국 및 프랑스 등을 중심으로 그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2).
깻잎의 미생물 살균 및 제거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깻잎의 내부는 무균상태이지만 표면은 토양, 물 및 사람들과의 접촉으로부터 오염된 미생물과 식물체 본래의 미생물 등에 의해 깻잎이 변질될 수도 있으며, 미생물로 오염된 깻잎을 섭취 시 식중독을 일으킬 위험이 있어 살균 및 제거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4). 실제로 정부는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기 농산물 생산, 친환경 농산물 생산 및 생산 이력제 등과 같은 정책들을 적용하는 등의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지만(5), 이 제도들은 농산물로부터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에 역점을 둔 반면, 생물학적 위해요인의 관리는 배제된 관리제도들이다(6).
병원성 식중독 세균에 의한 식중독발생의 잠재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되는 것은? 미국의 경우 신선채소류와 샐러드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 Samonella, Listeria monocytogenes 등과 같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사례와 식중독 유발 등이 빈번히 보고되고 있으나 (9,10), 국내의 경우 다행히 신선편이채소류에 의한 식중독 발생 사례는 아직까지 발표된 바는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2003년과 2004년에는 과채류 및 그 가공품과 즉석 샐러드에서 각각 식중독 발생과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 등이 보고되었다(11). 이러한 연구보고는 병원성 식중독 세균에 의한 식중독발생의 잠재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 JI, Kim KS, Bahk GJ, Ha SD. Microbial assessment of wild cabbage and its control.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62-167 (2004) 

  2. Kim DM, Hong SI. The present condition and expansive course. Korean J. Food Preserv. 3: 18-22 (2004) 

  3. Hong SG, Park HM, Cho KM, Chang DI. Development of a washing, sterilization, dehydrating system for leaf vegetables. J. Biosystems Eng. 32: 408-415 (2007) 

  4. Park HK, Kim SB. Microbial reduction of fresh vegetables by treatment of sanitizing reagent. Korean J. Food Nutr. 17: 436-441 (2004) 

  5. Kim SY. Implementation of GAP and its implications for food labeling and certification policies. Agric. Life Sci. 38: 21-32 (2004) 

  6. Chung DH.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of vegetables and their safety. Korean J. Hort. Sci. Technol. 25: 42 (2007) 

  7. Ponce AG, Roura SI, del Valle CE, Fritz R. Characterization of native microbial populations on Swiss chard (Beta vulgaris, type cicla). Food Sci. Technol. 36: 183-188 (2003) 

  8. La Torre A, Leandri A, Lolletti D. Comparison of health status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ts. Commun. Agric. Appl. Biol. Sci. 70: 351-363 (2005) 

  9. Hedberg CW, Angulo FG, White KE, Langkop CW, Schell Wl, Stobierski MG, Schuchat A, Besser JM, Dietrich S, Helsel L, Griffin PM, McFarland JW, Osterhorm MT. The Investigation Team. Outbreaks of salmonellosis associated with eating uncooked tomatoes: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Epidenmiol. Infect. 122: 385-393 (1999) 

  10. Beuchat LR, Harris LR, Linda J, Ward TE, Kajs TM. Development of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assessing the efficacy of fresh produce sanitizers. J. Food Protect. 64: 1103-1109 (2001) 

  11. KFDA. Korea Food & Drug Adiministration. http://www.kfda.co.kr. Accessed Oct. 25 (2004) 

  12. Lee YM, Kang JI, Hwang GC.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GAP system and future policy direction. J. Agric. Life Sci. 39: 15-30 (2005) 

  13. Lee YH, Choi DS, Choi SR, Oh SS. Survey on a case of commercialization of APC for apple and pear. J. Biosystems Eng. 12: 211-216 (2007) 

  14. Mpuchane S, Gashe BA. Prevalence of coliforms in traditionally dried leafy vegetables sold in open markets and food stores in Gaborone, Botswana. J. Food Protect. 59: 28-30 (1996) 

  15. Mukherjee A, Speh D, Dyck E, Diez-Gonzalez F. Preharvest evaluation of coliform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e grown by Minnesota farmers. J. Food Protect. 67: 894-900 (2004) 

  16. Rangarajan A, Bihn EA, Pritts MP, Gravani RB. Food safety begins on the farm: Postharvest Handling. Corn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USA. pp. 1-3 (2008) 

  17. Harrigan WF, McCance ME. Laboratory method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Inc. Ltd. New York, USA (1976) 

  18. Kim SR, Shim WB, Park SJ, Ha SW, Yoon HS, Ha SD, Kim KS, Lee KH, Kim MG, Kim KY, Lim CH, Chung DW. Investigation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environment for juice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87-293 (2005) 

  19. FDA. Guidance for industry. 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 for fresh fruits and vegetable. Available at: http://www.foodsafety.gov. Accessed Oct. 21 (2008) 

  20. Yu YM, Youn YN, Choi IU, Yuan X, Lee YH. 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leaf vegetables and fruits according to types of cultiv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Korean J. Food Preserv. 14: 35- 41 (2007) 

  21. Kim JG, Luo Y , Lim CI. Effect of ozonated water and chlorine water wash on the quality and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fresh-cut carrot shreds. Korean J. Food Preserv. 14: 54-60 (2007) 

  22. Hong SG, Park HM, Cho KH, Chang DI. An experiment of leaf vegetable centrifugal dehydrator. J. Biosystems Eng. 12: 135-138 (2007) 

  23. Lee HW. Microbial assessment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of strawberry and tomato to apply the GAP system.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