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작물의 농약잔류성 포장시험 결과를 다른 소면적 작물로 외삽 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온실에서 재배되는 엽채소류를 대상으로 경엽살포 후 작물간 농약잔류 경향을 비교하였다. 배추속에 속하는 겨자채(Brassica juncea L.), 케일(Brassica oleracea L.), 다청채(a kind of pak-choi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L.)), 잎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alboglabra) 4종과 배추속이 아닌 들깻잎(Perilla frutescens Britt.), 상추(Lactuca sativa L.), 적근대(Beta vulgaris L. subsp. vulgaris) 및 적치커리(Cichorium intybus L. var. foliosum Hegi) 4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온실이나 노지에서 연중 재배되며 일정한 수확기 동안 연속적으로 잎을 따서 수확하는 작물들로서 시금치처럼 포기 형태로 일시에 수확하는 작물들과 구별된다. 무게 대비 엽면적 비율이 58 $cm^2/g$으로 가장 높은 들깻잎에서 imidacloprid 등 7종 농약의 잔류량이 살포 당일부터 5일 후 까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식품의 일일섭취량 통계에 따른 섭취량이 일정 수준을 차지하면서 시험대상 8작물중 농약 잔류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들깻잎을 농약잔류성시험의 대표작물로 선정하여 외삽 적용을 위한 작물 그룹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sticide residue pattern among different leafy vegetables applied with foliar spraying under greenhouse and to check extrapolating from some residue trial data to other minor crops. Leafy veget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Mustard greens (Brassica ju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었다. 7일 간격 2회 살포 후 0, 2, 5일에 시료를 채취하였다. 농약잔류성시험은 동일 장소에서 2회 수행하였다.
  • Boscalid, cyazofamid, dimethomorph, fludioxonil imidacloprid 및 pyraclostrobin 분석을 위하여 추출 후 농축된 잔사를 dichloromethane 10 mL로 재용해 하였다. 활성화시킨 Florisil (60~100 mesh) 5 g을 유리관(내경 11 mm, 길이 20 cm)에 건식 충전한 후 sodium sulfate anhydrous 약 2g을 충전하고 dichloromethane 30 mL를 통과시켰다.
  • 일정한 수확기간 동안 어린잎을 남겨두고 상품성 있는 크기의 잎을 순차적으로 잘라서 수확하는 연속 수확 작물은 상추, 겨자채, 케일 같은 쌈채소로 소비되는 다수의 소면적 작물들을 포함한다. GAP 측면에서 파종 후 포기로 일시에 수확하는 시금치나 얼갈이배추와 구분하였다.
  • 7일 간격 2회 살포 후 0, 2, 5일에 시료를 채취하였다. 농약잔류성시험은 동일 장소에서 2회 수행하였다. 들깻잎의 1차 시험은 5월 7~21일, 2차 시험은 5월 21일~6월 2일에 수행하였으며, 상추, 겨자채, 적치커리, 적근대와 케일의 1차 시험은 5월 4~18일, 2차 시험은 5월 18~31일 기간에 수행하였다.
  • 하부의 dichloromethane층은 sodium sulfate anhydrous 층을 통과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수용액층에 추가로 dichloromethane 50 mL를 넣어 진탕하고 액액분배하여 dichloromethane층을탈수하여 앞의 여과액과 합친 후 38℃ 수조에서 감압농축기(Bchi Rotavapor R-124, Switzerland)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 잔사를 분석성분에 따라 각각 달리 재용해하여 정제하였다.
  • 농약잔류성시험은 동일 장소에서 2회 수행하였다. 들깻잎의 1차 시험은 5월 7~21일, 2차 시험은 5월 21일~6월 2일에 수행하였으며, 상추, 겨자채, 적치커리, 적근대와 케일의 1차 시험은 5월 4~18일, 2차 시험은 5월 18~31일 기간에 수행하였다. 잎브로콜리와 다청채(청경채의 일종)의 1차 시험은 5월 11~25일, 2차 시험은 5월 13~27일까지 수행하였다.
  • 엽채소류 그룹은 겨자채나 케일을 대표작물로 하는 비결구 배추속 작물군과 상추나 시금치를 대표작물로 하는 엽채류군으로 나누어진다(CCPR, 2013). 본 시험에서는 연속수확되는 엽채소류를 배추속 작물군과 배추속 제외 작물군으로 나누어 작물간 잔류양상을 비교하였다.
  • 분석용 시료는 동결시료에 드라이아이스를 가하여 믹서(대성아트론 DA338-G, 한국)로 마쇄하여 −20℃에서 냉동보관 하였다. 분석은 시료 10 g을 칭량한 후 acetone 100 mL를 가하여 진탕기(N-Biotek NB-101MTH, 한국)로 200 rpm에서 1시간 진탕한 후 추출물을 Bchner funnel 상에서 여과지(No.6)에 통과시켜 흡인 여과하고 추가의 acetone 50 mL로 잔사 및 용기를 씻어내려 앞의 여과액과 합하였다. 여과액을 1 L 용량의 분액여두에 옮기고 증류수 450 mL, 포화식염수 50 mL와 dichloromethane 50 mL를 넣고 진탕기(TAITEC Corp.
  • 엽면적은 시료채취 후 처리별로 30매의 엽을 엽면적 측정기 LI-3100C (LI-COR Bioscience, 미국)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무게를 칭량하여 무게 대비 엽면적 비율을 계산하였다.
  • Sodium sulfate anhydrous층 표면이 노출되기 직전, 앞서의 추출액 시료 2 mL을 가한 후 흘려버리고 표면이 노출되기 직전 acetone/n-hexane 혼합액(10/90, v/v) 30 mL를 씻어 버리고, acetone/n-hexane 혼합액(20/80, v/v) 60 mL를 용출시켜 받았다. 이 분획을 38℃에서 감압 농축, 건고하였으며 잔사를 acetonitrile 2 mL로 재용해하여 Table 1과 같은 조건으로 UPLC 분석하였다. 처리구당 4반복으로 시료를 조제하였다.
  • 온실에서 연중 재배되며, 연속하여 잎 따기 형태로 수확된다. 작물 가식부위가 출현한 후 경엽 살포되는 농약을 등록하는 경우에, 수확 전 농약안전사용일수를 7일 이상 정하기 어려워 얼갈이배추나 시금치 같은 일시에 수확하는 작물들과 구별하여 그룹화 하였다.
  • 이 분획을 38℃에서 감압 농축, 건고하였으며 잔사를 acetonitrile 2 mL로 재용해하여 Table 1과 같은 조건으로 UPLC 분석하였다. 처리구당 4반복으로 시료를 조제하였다. 회수율시험은 표준용액을 작물별 농약 무처리 시료에 0.
  • 회수율시험은 표준용액을 작물별 농약 무처리 시료에 0.2 mg kg−1, 2.0 mg kg−1 수준으로 각각 첨가한 후 위에 기술한 추출 및 정제과정을 수행하여 회수율 및 분석오차를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 italica Plen.)는 이천의 동일 지점에서 2011년 5월 11일부터 5월 27일까지 시험하였다.
  • 2구 선형노즐, NN D-8 (Yamaho, 일본)이 부착된 배부식 동력분무기 MS597H (Maruyama, 일본)를 사용하였으며 시간당 분무량은 2.5~3.1 L/min.이었다.
  • 6를 사용하였다. Sodium sulfate anhydrous (99% purity)와 sodium chloride (99.5% purity)는 Merck사(Merck KGaA,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3차 증류수는 Millipore사의 Milli-Q system (Bedford, USA)을 사용하였다.
  • 분석용 시료는 동결시료에 드라이아이스를 가하여 믹서(대성아트론 DA338-G, 한국)로 마쇄하여 −20℃에서 냉동보관 하였다.
  • 시료의 추출에 사용한 acetone (99.5%)은 대정화금(주)의 EP급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분석에 사용된 용매인 acetone, acetonitrile, dichloromethane, n-hexane은 Merck사(Merck KGaA, Germany)의 HPLC grade를 사용하였다. 여과지는 Advantec (Toyo Roshi Kaisha Ltd.
  • 잎들깨(품종: 남천들깨, 학명: Perilla frutescens Britt.)는 경남 밀양시 상동면 시설재배 농가에서 2010년 5월 7일부터 6월 2일까지 수행하였다. 상추(품종: 토말린상추(권농종묘), 학명: Lactuca sativar L.
  • 들깻잎의 1차 시험은 5월 7~21일, 2차 시험은 5월 21일~6월 2일에 수행하였으며, 상추, 겨자채, 적치커리, 적근대와 케일의 1차 시험은 5월 4~18일, 2차 시험은 5월 18~31일 기간에 수행하였다. 잎브로콜리와 다청채(청경채의 일종)의 1차 시험은 5월 11~25일, 2차 시험은 5월 13~27일까지 수행하였다.
  • 작물 간에 농약잔류량을 비교하기 위한 시험농약은 배추에 등록된 이미다클로프리드·메톡시페노자이드 수화제(imidacloprid 4% + methoxyfenozide 8%, 상표명: 메리트) 1,000배 희석액, 사이아조파미드 액상수화제(cyazofamid 5%, 상표명: 미리카트) 1,000배 희석액, 디메토모르프·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dimethomorph 11.3% + pyraclostrobin 6.3%, 상표명: 캐스팅) 1,500배 희석액 및 쑥갓에 등록된 보스칼리드·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boscalid 23.5% + fludioxonil 5%, 상표명: 에스원) 1,000배 희석액을 사용하였다.
  • 작물 중 농약잔류량 분석을 위한 분석용 표준품은 Dr. Ehrenstoper GmbH (Germany)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 표준품의 순도는 imidacloprid 98.
  • 3차 증류수는 Millipore사의 Milli-Q system (Bedford, USA)을 사용하였다. 정제에 사용된 Florisil(0.15~0.25 mm)은 Merck사(Merck KGaA, Germany)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SAS 9.2 (SAS Institute) software를 사용하여, 완전임의 배치 일요인 분산분석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수준 5%에서 작물간 농약잔류량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에게 농약이 왜 불안감을 가져오게 하는가? 우리나라에는 신선 상태로 소비되는 엽채소류의 종류가 많으며, 최근에는 신 소득작물로서 과거에는 재배되지 않던 다양한 엽채소류 종들이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작물들이 적은 규모로 산재되어 재배되고 있지만 발 생되는 병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농약의 수는 제한적이어서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농약을 사용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농약 오남용에 따른 재배농가의 피해는 물론 잔류농약 부적 합 농산물 발생 보도를 접하는 소비자에게는 불안감을 갖게 하기도 한다. 2012년 농산물 품질관리원에서 조사한 농산물 54 품목 14,093건의 농약 잔류분석 결과는 367건의 부적합 건수 상위 10개 품목 중 9 품목이 쪽파, 셀러리, 부추 등 신 선 엽채소류와 엽경채소류였다.
2012년 농산물 품질관리원에서 조사한 농산물의 품목은 어느정도인가? 이처럼 다양한 작물들이 적은 규모로 산재되어 재배되고 있지만 발 생되는 병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농약의 수는 제한적이어서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농약을 사용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농약 오남용에 따른 재배농가의 피해는 물론 잔류농약 부적 합 농산물 발생 보도를 접하는 소비자에게는 불안감을 갖게 하기도 한다. 2012년 농산물 품질관리원에서 조사한 농산물 54 품목 14,093건의 농약 잔류분석 결과는 367건의 부적합 건수 상위 10개 품목 중 9 품목이 쪽파, 셀러리, 부추 등 신 선 엽채소류와 엽경채소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2) 의「2011 식품수급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신선채소의 자급 률은 90.
엽채류의 가식부위 발현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엽채류는 표면 매질의 특성이나 형태적 특성이 다른 작물들이 해당 그룹에 넓게 분포된다. 가식부위의 발현시기가 외삽의 중요한 요인인데 농약 살포시 가식부가 항상 발현되 어 있어 외삽 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경엽 살포 농약의 잔류 량을 비교하여 잔류성 시험성적 상호인정을 위한 그룹화를 하려면 농약 부착량과 생장에 따른 잔류경감 패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odex Committee on Pesticide Residues (2012) Report of the 44th session of the CCPR- Draft principles and guidance on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commodities for the extrapolation of MRLs to commodity groups at Step 8 (REP12/PR-Appendix XI). 

  2. Codex Committee on Pesticide Residues (2013) Report of the 45th session of the CCPR- Proposed draft table 2: Examples of selection of representative commodities for vegetable commodity groups and other commodity groups (for inclusion in the principles and guidance for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commodities for the extrapolation of maximum residue limits for pesticides to commodity groups) p. 9-11. 

  3. European Commission (EC) (2011) Guidance document Guidelines on comparability, extrapolation, group tolerances and data requirements for setting MRLs. SANCO 7525/VI/95-rev.9 March 2011. p. 3-34. 

  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 2011 Food balance sheet. pp. 226. 

  5.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007) Glossary and Dictionary of Plant Names of Horticultural Crops. Book publication CIR. p. 161-176. 

  6. Maclachlan, Dugald J and Denis Hamilton (2011) A review of the effect of different application rates on pesticide residue levels in supervised residue trials. Pest Management Science. 67:609-615. 

  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1) Guidance Document on Crop Field Trials. ENV/JM/MONO(2011)50 pp. 16. 

  8. Park Jong-Hyouk, M. I. R. Mamun, A. M. Abd EI-Aty, J. -H. Choi, G. -J. Im, Ch.-Hw. Oh and J. -H. Shim (2009) An Extrapolation from crop classifications based on pesticide residues trial data within vegetables in minor crop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3:28-38. 

  9. Reynolds, S. L., R. J. Fussell and R. Macarthur (2005) Investigation into the validity of extrapolation in setting maximum residue levels for pesticides in crops of similar morphology.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22:31-38. 

  10. Ripley, B. D., G. M. Ritcey, C. R. Harris, M. A. Denomme and L. I. Lissemore (2003) Comparative persistence of pesticides on selected cultivars of specialty vegetable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1:1328-1335. 

  11. Son K. -A., H. Y. Kwon, J. B. Kim, Y. -D. Jin, T. -K. Kim, C. S. Kim, G. -H. Gil, G. -J. Im and K. -W. Lee (2012) The residue characteristics of chlorpyrifos in chilli and sweet pepper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6:236-241. 

  12. Tomlin C. D. S. (2006) The pesticide manual 14th.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13.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 (1996) Residues chemistry test guidelines OPPTS 860.1500 Crop field trials. http://www.regulations.gov/#!documentDetail;DEPA-HQ-OPPT-2009-0155-0013. 

  14. United States EPA (2012) Electronic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40: Protection of Environment. Part 180-Tolerances and exemptions for pesticide chemical residues in food. Subpart B-Procedural Regulations. 180.41 Crop group tables. .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