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약 살포조건이 고추열매 중 잔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eld location and spray device on pesticide residue in chilli pepper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6 no.3, 2012년, pp.230 - 235  

손경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강태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병준 (농촌진흥청 국제협력과) ,  김택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길근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찬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진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임건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기운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포장과 살포기의 차이가 고추 열매 중 농약 잔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위치가 다른 세 농가 포장에서 비슷한 시기에 정식한 고추를 대상으로 동일한 분무기와 노즐로 약제 처리 후 1일차의 농약 잔류량은 통계처리로 확인하여 차이가 없었다. 시료 채취시 고추나무 외부의 고추 중 잔류량은 내부의 고추 보다 2배 이상 많아 시료 채취의 위치가 고추 중 잔류량 변이의 요인이 되었다. 배부식 동력분무기와 압축식 인력분무기 사용에 따른 농약잔류량 차이는 동력분무기가 인력분무기를 사용할 때 보다 1.7배 높은 잔류농도를 보였는데 이는 약제 살포시 인력분무기의 상용압력보다 2배 정도 높은 동력분무기 압력과 노즐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effects of field location and sprayer on the level of pesticide residue in chilli peppers. As confirmed by statistical analysis, the residue levels in green pepper among three greenhous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first day after spraying with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살포기 사용방법이 농약잔류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되어 다음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추의 재배조건이 유사한 세 포장에서 일정한 압력과 동일한 노즐의 분무기로 경엽살포하여 세 시험포장간 풋고추 중 농약잔류량을 통계처리로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시험 처리구간 살포조건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분무기로 동일한 사람이 비슷한 약량을 경엽 살포하고, 작물의 재배환경과 관리자가 다른 세 처리구에서 ‘처리별 농약잔류량의 차이가 없다’를 귀무가설로, ‘적어도 하나의 처리는 잔류량의 차이가 있다’를 대립가설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물 중 농약잔류량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2% 농약 사용량 절감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살포기기의 종류와 농약의 사용법은 작물 중 농약잔류량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의 농약살포기 개발과 살포시험은 포장의 환경에 따라 수도용, 과수용, 시설원예용으로 분리하여 추진 되고 있다(Kang 등, 2004a; Kang, 2004b; Koo 등, 2001; Kim 등, 1999; Yu 등, 1997; Chung 등, 1995; Chung 등, 1997).
우리나라의 농약살포기 개발과 살포시험은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가? 이와 같이 살포기기의 종류와 농약의 사용법은 작물 중 농약잔류량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의 농약살포기 개발과 살포시험은 포장의 환경에 따라 수도용, 과수용, 시설원예용으로 분리하여 추진 되고 있다(Kang 등, 2004a; Kang, 2004b; Koo 등, 2001; Kim 등, 1999; Yu 등, 1997; Chung 등, 1995; Chung 등, 1997). 최근에는 살포자와 목표물 주변으로 비산량이 적은 비산저감 살포방법에 관한 관심이 높으며 일본식물방역협회 (2006)는 농약비산대책을 생각하는 심포지움에서 살포자에게 노출량이 적고 비산이 적은 살포를 위한 노즐의 선택, 스피드스프레이의 비산대책 등을 소개하였다.
Maclahlan과 Hamilton의 연구에 따르면 작물 중 농약의 최대잔류량은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 영향을 준 요인들의 예는 무엇이 있는가? Maclahlan과 Hamilton(2009)의 연구에 따르면 작물 중 농약의 최대잔류량은 살포액의 특성, 살포량, 살포입자크기, 부착입자의 분포, 살포장비, 기후조건, 재식밀도와 생육단계 등 작물의 수관 구조, 그리고 작물의 품종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곡류와 같은 대단위면적 작물과 과수에서 작물의 수관(canopy) 구조는 살포입자의 필터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수관구조 내부의 깊은 식물체 표면이나 살포기 노즐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는 일반적으로 살포액이 적게 부착된다고 하였다. 사과나무 형태가 덤불(bush, 엽면적 32,780 m2 ha−1 )과 관목(hedgerow, 엽면적 47,150 m2 ha−1 )에 따라 동일한 살포기로 동일 약량을 살포하여도 단위면적당 엽면적이 큰 관목이 3배 이상 많은 약량을 부착한다고 보고하였다. Ambrus(2000)는 작물체의 형태 및 농약의 살포방식이 잔류량 분포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고 이(2009)는 고추 포장에서 농약이 균일하게 살포되지 않는 사례를 지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mbrus, A. (2000) Within and between field variety of residue data and sampling implications. Food Addit. Contam. 17:512-537. 

  2. Chatzicharisis, I., T. Thomidis, C. Tsipouridis, E. Mourkidou- Papadopoulou and Z. Vryzas (2012) Residues of six pesticides in fresh peach-nectarine fruits after preharvest treatment. Phytoparasitica. DOI 10.1007/s12600-012-0231-7. 

  3. Cho, M. R., H. Y. Jeon and S. Y. Na (2000) Occurrence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Tereanychus urticae in rose greenhouse and effectiveness of different control method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9:179-184. 

  4. Chung, C. J., H. J. Kim, S. I. Cho, Y. S. Choi and J. S. Choe (1995) Design factors of boom sprayer (I).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20:217-225. 

  5. Chung, C. J., S. O. Chung, Y. C. Chang, Y. S. Choi and J. S. Choe (1997) A study on development of a pneumatic granular applicator for paddy field (I).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22:127-136. 

  6. Eun, S.-W. (2001)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residues in Paprika by different application method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7. Julian, S. H., J. R. Vitor, P. Francisco and F. Milagros (2012) Comparative spray deposits by manually pulled trolley sprayer and a spray gun in greenhouse tomato crops. Crop Protection. 31:119-124. 

  8. Kang, T. G., D. H. Lee, C. S. Lee, G. I. Lee, W. K. Choi and S. Y. No (2004a) Spray and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electrostatic nozzles for orchard sprayers.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29:21-28. 

  9. Kang, T.-G. (2004b)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spraying system for orchard spraye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0. Kim, T. H., I. J. Jang and C. T. Kang (1999) Development of a self-travelling sprayer for a greenhouse(I).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24:209-216. 

  11. Koo, Y. M., B. S. Shin and S. H. Lim (2001) Size distribution of droplets sprayed by an orchard sprayer.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26:431-440. 

  12. Lee, H. (2009) Persistence of pesticide residues in crops applied by foliar spray and removal effect by home preparation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3. Maclachlan, D. J. and D. Hamilton (2009) A new tool for the evaluation of crop residue trial data (day-zero-plus decline).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1-18 iFirst. 

  14. Moritz, K. (1994) Effect of droplet size and carrier volume on performance of foliage-applied herbicides. Crop Protection. 13:163-178. 

  15. Motokazu, T. and K. Yoshinori (2000) Spray ununiformity observed in nozzle motion spraying pesticide on eggplants. Pesticide Science Society of Japan. 25:223-227. 

  16. Yu, B. K., J. T. Chang, T. G. Kang and S. S. Yun (1997) Development of electric motor driven single wheel vertical boom sprayer for greenhouse. RDA. J. Farm Manage. & Agri-Engi. 39:62-68. 

  17. Japan Plant Protection Association (2006) Symposium Lectures abstracts 'Considering solution to the drif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