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자뿔나방에 대한 16종 살충제의 살충활성과 생물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secticidal Activity and Effect on Biological Characteristic of 16 Insecticides Against Phthorimaea Operculella (Lepidoptera: Gelechiidae)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7 no.4, 2013년, pp.363 - 370  

안정진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박준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주일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김현경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구현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길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중인 16종의 살충제를 이용하여 감자뿔나방(Phthorimaea operculella)의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하고, 효과가 뛰어난 약제를 선발하여 접촉 및 섭식독성과 잔효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성충에 대한 사충률과 수명 및 산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감자뿔나방의 알과 번데기에 대해서는 spinosad만이 추천농도에서 71.1%의 부화억제율과 66.7%의 우화억제율을 나타내었다. 3령 유충에 대한 섭식독성과 접촉독성 평가에서 90% 이상의 섭식독성을 나타낸 약제는 fenitrothion ($LC_{50}$ 336.6 ppm), esfenvalerate ($LC_{50}$ 8.6 ppm), ethofenprox ($LC_{50}$ 35.7 ppm), emamectin benzoate ($LC_{50}$ 0.05 ppm)이고, 90% 이상의 접촉독성을 나타낸 약제는 esfenvalerate ($LC_{50}$ 0.87 ppm), ethofenprox ($LC_{50}$ 16.5 ppm), emamectin benzoate ($LC_{50}$ 0.53 ppm), spinosad ($LC_{50}$ 2.48 ppm)이었다. 성충에 대해서 추천농도로 살충율을 조사한 결과, 약제처리 48시간 후 deltamethrin과 spinosad가 100%, esfenvalerate, ethofenprox, thiamethoxam이 40~60%였으며, 그 외 약제는 효과가 거의 없었다. 암컷성충의 산란수는 무처리의 101개에 비하여 esfenvalerate 3.0개, emamectin benzoate 6.7개, dinotefuran 8.3개로 크게 억제되었다. 성충수명은 무처리의 9.3일에 비하여 시험약제는 7.3~8.3일로 약간 짧았다. 잔효성은 emamectin benzoate가 처리 후 14일차까지도 100%의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고, ethofenprox가 7일차까지 90% 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sceptibility of each developmental stage of Phthorimaea operculella (Lepidoptera: Gelechiidae) were investigated using 16 insecticides which are available in the market in Korea. For the eggs and pupae, only spinosad showed a 71.1% inhibition rate for egg hatchability and a 66.7% inhibition rat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 감자뿔나방에 대한 등록약제가 없으며, 해외에서는 일반적으로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유살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는 하나, 국내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Voerman and Rothschild, 1978). 본 연구는 감자뿔나방에 대하여 화학적 방제제로 사용 가능한 약제를 선정하기 위해 엽육을 식해하고 갱도를 형성(Trumble et al., 1985)하는 감자뿔나방 유충과 가해습성이 비슷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방제에 사용된 약제(Kim et al., 2001)와 나방에 효과 있는 약제 중 국내에 등록된 16종의 살충제(KCPA, 2012)를 이용하여 감자뿔나방의 발육단계별(알, 유충, 번데기, 성충)로 약제감수성을 평가하여 살충활성이 높고, 잔효성과 침투이행성이 높은 약제를 선발하여 이 해충의 방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자뿔나방은 어떤 식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인가? 감자뿔나방(Phthorimaea operculella Glover)은 뿔나방과 (Gelechiidae)에 속하며 주로 담배, 감자, 가지 등 가지과 작물과 까마중, 가시독말풀, 구기자, 꽈리류 등의 식물에 피해를 주는 세계적인 중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Kirkham, 1995). 유충이 이들 식물의 생장점과 잎, 줄기, 과실 등의 조직 속에 파고들어가 서식함으로써 재배지(Rothschild, 1986; Fenemore, 1988)와 저장고에 있는 감자의 생장을 정지시키고 품질을 저하시켜 생산에 많은 감소를 주는 해충이다(Raman, 1988a, b; Fenemore, 1988; Rothschild, 1986; Gilboa and Podoler, 1994).
감자뿔나방의 유충은 식물의 어떤 곳을 파고들어가 서식하는가? 감자뿔나방(Phthorimaea operculella Glover)은 뿔나방과 (Gelechiidae)에 속하며 주로 담배, 감자, 가지 등 가지과 작물과 까마중, 가시독말풀, 구기자, 꽈리류 등의 식물에 피해를 주는 세계적인 중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Kirkham, 1995). 유충이 이들 식물의 생장점과 잎, 줄기, 과실 등의 조직 속에 파고들어가 서식함으로써 재배지(Rothschild, 1986; Fenemore, 1988)와 저장고에 있는 감자의 생장을 정지시키고 품질을 저하시켜 생산에 많은 감소를 주는 해충이다(Raman, 1988a, b; Fenemore, 1988; Rothschild, 1986; Gilboa and Podoler, 1994). 대부분의 피해는 감자수확 이전과 수확 후 저장하는 단계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주로 작물의 잎과 줄기에 피해를 주다가 잎이 마르고 토양이 가물어 갈라지게 되면 유충은 땅속으로 들어가 감자 덩이줄기에 피해를 주게된다.
감자뿔나방 유충들은 어떻게 작물에 2차적인 피해를 주는가? 대부분의 피해는 감자수확 이전과 수확 후 저장하는 단계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주로 작물의 잎과 줄기에 피해를 주다가 잎이 마르고 토양이 가물어 갈라지게 되면 유충은 땅속으로 들어가 감자 덩이줄기에 피해를 주게된다. 또한, 감자뿔나방 유충들은 작물의 조직 속에 파고들어가면서 생긴 구멍으로 균류나 세균에 의한 2차적인 피해를 준다(Hanafi,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e, K. R. and J. S. Park (1980) Distribution of the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Lepidoptera: Gelechiidae), in Korea. Korean J. Plant Prot. 19:103-107. 

  2. Choe, K. R., C. G. Yoo, and Y. D. Chang (1980)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Lepidoptera: Gelechiidae). Korean J. Plant Prot. 19:97-101. 

  3. Collantes, L. G., K. V. Ramana and F. H. Cisnerosa (1986) Effect of six synthetic pyrethroids on two populations of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Lepidoptera: Gelechiidae), in Peru. Crop Prot. 5:355-357. 

  4. Dillard, H. E., T. J. Wicks and B. Philp (1993) A grower survey of diseases, invertebrate pests, and pesticide use on potatoes grown in South Australia. J. Exp. Agri. 33:653-661. 

  5. Fenemore, P. G. (1988) Host-plant location and selection by adult potato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Lepidoptera: Gelechiidae): A review. J. Insect. physiol. 3:175-177. 

  6. Galvan. T. L., R. L. Koch and W. D. Hutchison (2005) Effects of spinosad and indoxacarb on survival,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the multicolored Asian lady beetle (Coleoptera: Coccinellidae). Biol. Control. 34:108-114. 

  7. Gilboa, S., and H. Podoler (1994) Population dynamics of the potato tuber moth on processing tomatoes in Israel. Entomol. Exp. Appl. 72:197-206. 

  8. Hanafi, A. (1999) Integrated pest management of potato tuber moth in field and storage. Potato Res. 42:373-380. 

  9. Hu, J., P. Liang, X. Shi and X. Gao (2008) Effects of insecticides on the fluidity of mitochondrial membranes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resistant and susceptible to avermectin. J. Insect Sci. 8:3. 

  10. Isaac, I., S. Kontsedalov and A. R. Horowitz (2002) Emamectin, a novel insecticide for controlling field crop pests. Pest Manag. Sci. 58:1091-1095 

  11. KCPA. (2012) User's manual of pesticides. pp.446, 761.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12. Kim, K. H., Y. S. Lee, S. Y. Park, Y. S. Park and J. H. Kim (2001) Activity and control effects of insecticides to American se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 (Diptera: Agromyzidae). Korean J. Pestic. Sci. 5:46-54. 

  13. Kim, S. K., G. Y. Lee, Y. H. Shin and G. H. Kim (2010). Chemical control effect against spot clothing wax cicada,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nymphs and adults. Korean J. Pestic. Sci. 14:440-445. 

  14. Kirkham, R. (1995) Potatoes. In: Coombs, B. (Ed.), Horticulture Australia. Khai Wah-Ferco Pty. Ltd., Singapore. pp. 250-256. 

  15. Lee, J. E., D. K. Seo and G. H. Kim (2006). Effect of antibiotics insecticides on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the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 Korean J. Pestic. Sci. 10:329-334. 

  16. Raman, K. V. (1988a) Integrated insect pest management for potatoes in developing countries. C. I. P. Circular. 16:1-8. 

  17. Raman, K. V. (1988b) Control of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with sex pheromones in peru. Agric. Ecosyst. Environ. 21:85-99. 

  18. Rothschild, G. H. L. (1986) The potato moth-an adaptable pest of short-term cropping systems, pp. 142-162. In R. L. Kitching (ed.), The ecology of exotic animals and plants. Jacaranda-Wiley, Queensland, Australia. pp. 144-462. 

  19. Saour, G. (2008) Effect of thiacloprid against the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Lepidoptera: Gelechiidae). J. Pest Sci. 81:3-8. 

  20. SAS Institute (2009)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9. 1ed. SAS Institute, Cary, NC. 

  21. Symington, C. A. (2003) Lethal and sublethal effects of pesticides on the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Lepidoptera: Gelechiidae) and its parasitoid Orgilus lepidus Muesebeck (Hymenoptera: Braconidae). Crop Prot. 22:513-519. 

  22. Trumble, J. T., I. P. Ting and L. Bates (1985) Analysis of physiological growth and yeild responses of celery to Liriomyza trifolii. Entomol. Exp. Appl. 38:15-21. 

  23. Voerman, S. and G. H. L. Rothschild (1978) Synthesis of the two components of the sex pheromone system of the potato tuberworm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Lepidoptera: Gelechidae) and field experience with them. J. Chem. Ecol. 4:531-5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