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밤재배원에서 유살등 구조 및 램프의 종류가 해충 유인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Trap Structure and Lamp Type on the Attraction of Chestnut Pests in an Orchard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3 no.3, 2014년, pp.217 - 223  

김영재 (충청남도 산림환경연구소) ,  김현경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길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밤재배원에서 램프광선을 이용한 방제기기(A, B, C형)를 개발하여 램프의 종류에 따라 유인된 곤충의 포획력을 조사하였다. A형 기기에서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포획된 곤충은 125종이었고, 이 중 밤나무 해충은 23종만을 종 동정하였다. B형과 C형의 기기에 컴팩트형광 램프를 부착하여 포획성능을 검정한 결과 B형기기에서는 딱정벌레류(83%), C형 기기에서는 나비류(73%)의 유인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형 기기를 이용한 밤바구미의 성충에 대한 램프의 유인 포획력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수은투명 램프(평균 9.8마리)에서 유인포획 효과가 가장 높았다. C형 기기를 이용한 복숭아명나방의 성충에 대한 유인 포획력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컴팩트형광 램프(평균 10.2마리)를 이용한 기기에서 포획수가 가장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insect capture were studied in a chestnut orchard using three different light traps (A, B, and C type) with various lamps. The mercury lamp trap captured 125 insect species, out of which 115 were chestnut pests. The B and C type light traps, comprising a Dulux-EL white lamp, were ex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4). 따라서 밤 재배원과 수확 후 저장 전 약제에 의한 화학적 방제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보다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인 물리적 방제법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안정기가 없는 수은투명 램프가 개발되지 않은 현재 시점에서는 다음으로 높은 유인 포획 효과가 있었던 컴팩트형광 램프도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밤재배원에서 밤나무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램프선발을 와트, 볼트, 광속, 파장 등 다르게 선정하였지만 시중에서 많이 유통되는 램프를 이용한 것으로 밤 재배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고, 본 실험 결과가 산림분야의 병해충방제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는 밤나무에 발생하는 해충 중에 3대 종실해충은 무엇인가? 밤재배원을 산림으로 간주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밤나무에 발생하는 217종의 해충 중에 3대 종실해충인 밤바구미(Curculio sikkimensis Heller),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 Guenée)과 밤애기잎말이나방(Cydia kurokoi Amsel)이 밤나무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Lee and Jung, 1997).
밤바구미의 방제방법에 대한 연구는 어떤 것들이 수행되었는가? 밤바구미의 방제방법은 야외에서는 성충시기로 제한되어 있어 방제가 쉽지 않아 대부분 수확 후에 밤종실 속에 있는 알과 유충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국내에서 지금까지 밤바구미에 대한 생태연구와 더불어 방제연구는 화학적 방제로서 살충제의 탐색, 저장중인 밤에 인화늄정제 또는 이류화탄소를 이용한 훈증, 훈증과 gamma 광선의 살충효과 비교 등과 같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생물학적 방제법으로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한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의 실용적인 방제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Shin et al., 1998; Choo et al.
밤바구미의 방제시 무엇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가? 밤바구미의 방제방법은 야외에서는 성충시기로 제한되어 있어 방제가 쉽지 않아 대부분 수확 후에 밤종실 속에 있는 알과 유충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국내에서 지금까지 밤바구미에 대한 생태연구와 더불어 방제연구는 화학적 방제로서 살충제의 탐색, 저장중인 밤에 인화늄정제 또는 이류화탄소를 이용한 훈증, 훈증과 gamma 광선의 살충효과 비교 등과 같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생물학적 방제법으로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한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의 실용적인 방제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Sh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K.S., 1998.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Guenee (Lepidoptera : Pyralidae), adults : circadian rhythms in activity and seasonal occurrence at chestnut orchard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p. 102. 

  2. Choo, H.Y., Kim, H.H., Lee, D.W., Lee, S.M., Park, Y.M., Choo, Y.M., Kim, J.K., 2001. Practical utilization of entomoph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and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Strain for control of chestnut insect pests. Korean J. Appl. Entomol. 40, 69-76. 

  3. Garcia-Lopez, A., Mico, E., Zumbado, M.A., Galante, E., 2011. Sampling scarab beetles in tropical forests: The effect of light source and night sampling periods. J. Insect Sci. 11, 1-14. 

  4. Kang, C.H., Lee, K.C., Park, C.G., Lee, D.W., 2002. Seasonal occurrence pattern of peach pyralid moth, Dichocrosis punctiferalis, in fuyu persimmon orchards and fruit damage at havesting time. Korean J. Appl. Entomol. 41, 107-112. 

  5. Kang, C.H., Lee, S.M., Chung, Y.J., Choi, K.S., Park, C.G., 2004. Overwintering ecology of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sis punctiferalis in southern regions of Korea. Korean J. Appl. Entomol. 43, 201-209. 

  6. Kim, Y.J., 2002.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dult Dichocrcis punctiferalis Guenee in Chestnut Orchards in Chungcheongnam-do.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pp. 21. 

  7. Kim, Y.J., Han, J.B., Seo, D.K., Kim, Y.T., Park, B.K., Choi, K.S., Kim, C.S., Shin, S.C., Lee, S.G., Kim, G.H., 2004. Selection of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chestnut curculio (Curculio sikkimensis). Korean J. Pestic. Sci. 8, 347-352. 

  8. Kim, Y.J., Yoon, C., Shin, S.C., Choi, K.S., Kim, K.H., 2008. Seasonal Occurrence of the Larvae and Adults of Chestnut Weevill, Curculio sikkimensis (Coleoptera: Curculionidae). Korean J. Appl. Entomol. 47, 9-15. 

  9. Korea Forest Service. 1995. List of forest pests.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pp. 89, 216-219. 

  10. Kwon, J.H., Kwon, Y.J., Byun, M.W., Kim, K.S., 2004. Competitiveness of gamma-irradiation with fumigation for chestnut associated with quarantine and quality security. Radiat. Phys. Chem. 71, 41-44. 

  11. Lee, B.Y., Jung, Y.J., 1997. Pest of trees in Korea. Sungandang. Paju, Korea. pp. 244-245. 

  12. Nabli, H., Bailey, W.C., Necibi, S., 1999. Beneficial insect attraction to light traps with different wavelengths. Biol. Control 16, 185-188. 

  13. Nag, A., Nath, P., 1991. Effect of moon light and lunar periodicity on the light trap catches of cutworm Agrotis ipsilon (Hufn.) moths. J. Appl. Entomol. 111, 358-360. 

  14. Shin, S.C., Choi, K.S., Lee, S.M., Moon, I.S., Boo, K.S., Jung, J.K., Han, K.S., Jung, C.H., Park, J.W., 1998. Development of attractant(s) for the chestnut weevils, Curculio spp.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Gwacheon. pp. 2-38. 

  15. Son, C.H., Jang, W.H., Jang, C.S., 2004. Status of chestnut tree cultivation and policy direction. Rural economy, Korea Rural Economy Researcher. 27, 73-86. 

  16. Yela, J.L., Holyoak, M., 1997. Effects of moonlight and meteorological factors on light and bait trap catches of noctuid moths (Lepidoptera: Noctuidae). Environ. Entomol. 26, 1283-1290. 

  17. Yoon, C., Kim, K.H., Moon, S.R., Kim, Y.J., 2010.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Morphology of Developmental Stages of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 (Coleoptera: Curculionidae). Korean J. Appl. Entomol. 49, 1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