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입 의료용 압박스타킹의 압력 측정치 비교
The Comparison on the Compression Measurement Value of Medical Compression Stocking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8, 2013년, pp.1060 - 1074  

도월희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김남순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pressure at each measurement part of imported compression stockings sold in Korea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establish a pressure standard and grade ranking. This study used 40 medical compression stockings imported from 6 countries. Pressure measurements we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환자들을 위한 의료용 압박스타킹의 압력 기준 및 등급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재 국내에 시판 중인 수입 의료용 압박스타킹의 압력을 부위별로 측정 및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는 해외 수입 제품의 경우 주요 생산국인 서구인들의 하지 신체치수를 기반으로 하여 설계됨에 따라 한국인의 신체치수와 부합되지 않은데 기인한다고 사료되므로, 압박스타킹을 착용하는 국내 소비자를 위한 정확한 부위별 압박 단계의 설정과 의료용 압박스타킹의 치수규격 및 설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하지부종의 예방 및 하지정맥류의 치료에 사용되는 의료용 압박스타킹의 국내 환자용 치수체계 및 국내 기술에 의한 시제품 개발을 최종 목표로, 현재 국내 시판 중인 해외 수입 압박스타킹의 제조국별 제품 간 압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40종의 시제품을 구입하여 국내의 스타킹 관련 생산업체 및 시험기관에서 보유하고 있지 않은 목재원통형 다리를 한국인의 인체치수에 적합하도록 Size Korea의 16~60세 성인 여성의 하지 관련 항목의 평균값에 의하여 개발하고, 인공기후실에서 제품의 부위별 압력을 직접계측함으로써 제품별 표기사항에 따른 압력과 실제 압력 간의 차이와 제조국별 차이를 비교하는데 의의가 있다.
  • 스타킹의 압력 측정방법은 압박스타킹 규정에 제시된 다리모형에 압력을 측정하며 Hosy법과 Hatra법, Instron법, 프랑스 ITF법 등 생산국가별로 각기 다른 방법으로 측정되어, 이로 인해 압박스타킹에 의한 치료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수입 의료용 압박스타킹의 압력 측정치를 부위별로 계측, 분석하여 국내 환자들을 위한 압력의 기준 및 등급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압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의복압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선행연구(Baek & Choi, 2007; Jeong, 2005; Kim & Choi, 1987)에 나타났듯이 적정 수준 이상의 의복압은 동작을 구속하고 혈행  장애 유발, 위장이나 심장의 위치를 변화, 형태변이 발생 등 여러 건강 장애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생리 및 순환 기관에 악영향을 미쳐 피로를 증가시키며, 밀착되는의복을장시간 착용할 경우 압박으로 인한 요통 및 종아리 부종과 동작의 불편함을 유발하여 쾌적한 의복 내 기후형성을 방해할 뿐아니라 순환장애, 호흡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또한 Winslow and Brosz (2008)의 연구에서는 비만 환자들의 경우 압박스타킹 착용시 불편함을 더 많이 호소한다고 보고하였다.
압박스타킹의 압력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인간 하지에 대한 이상적인 압력프로파일의 측정은 측정지점의 형태에 달려 있다. 스타킹의 압력은 목재로 제작된 원통형 다리에 가해지는 탄성 직물의 강도와 신장력 곡선을 토대로 계산되며 압박 압력의 범위는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수준 즉, 발목둘레, 장딴지근끝점, 장딴지둘레, 무릎둘레, 넙다리중간둘레, 넙다리둘레에서 스타킹을 신장하기 위해 필요한 힘의 측정값에 따라 결정된다(Mitchel et al., 2007/2009).
적절한 의복압의 긍정적인 효과는 무엇인가? , 2003). 적절한 의복압은 의복 착용감을 좋게하고 신체활동을 용이하게 하며, 자세를 좋게 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건강의 유지 증진에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서서 일하거나 움직임이 적은 일을 하는 경우, 혈액의 흐름을 돕고 하지의 부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긴장감과 쾌적성을 높임으로서 운동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심미적인 효과를 가지게 한다(Shim & Choi, 1991). 따라서 국내에서도 최근에는 병원, 전시관, 백화점, 호텔 등 하루 종일 서서 일하는 직종의 여성들 사이에서 압박스타킹의 판매가 늘고 있다는 보도가 있는데(“Compression stockings”, 2013) 이와 같이 압박스타킹은 하지정맥류 환자들에게 뿐 아니라 하지부종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점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k, Y. J. (2003). Permissible safety limits in garment pressure focused on the parts of human bo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Baek, Y. J., & Choi, J. W. (2007). Selection of the measurement point for garment pressure of the girdle and the allin-one. Korean Journal Community Living Science, 18(4), 609-616. 

  3. Baek, Y. J., & Choi, J. W. (2008). Determination of the garment pressure level using the elastic bands by human body pa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0), 1651-1658. 

  4. Berg, E., Borgnis, F. E., Bolliger, A. A., Wuppermann, T., & Alexander, K. (1982). A new method for measuring the effective compression of medical stockings. Vasa, 11(2), 117-140. 

  5. BS 6612. (1985). Specification for graduated compression hosiery. London: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6. Compression stockings in the country after Japan blast. (2013, July 26). Kormedi.com. Retrieved August 13, 2013, from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207302_2892. html 

  7. Do, W. H., & Kim, N. S. (2011). A comparision of imported medical compression stockings by countr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Fall Conference, Korea, 232. 

  8. Do, W. H., & Kim, N. S. (2012). A comparision of imported medical compression stockings by manufacturing coun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3), 335-345. 

  9.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EN). (2001, December 9). Adopted European Prestandard: Medical compression hosiery, ENV 12718. $TECHSTREET^{(R)}$ STORE. Retrieved November 17, 2011, from http://www.techstreet.com/products/1108619?product_id1108619&sidgoog&gclidCIKXhPe1nLgCFcZapgod_jkA0A 

  10. Fentem, P. H., Goddard, M., Gooden, B. A., & Yeung, C. K. (1976). Control of distension of varicose veins achieved by leg bandages, as used after injection sclerotherapy. British medical Journal, 25(September), 725-727. 

  11. Giel, H. P., Liddiard, K., Currie, K., & Wood, M. (1997). Direct measurement of cutaneous pressure generated by pre-ssure garment. Burns, 23(2), 137-141. 

  12. Hafner, J., Luthi, W., Hanssle, H., Kammerlander, G., & Burg, G. (2000). Instruction of compression therapy by means of interface pressure measurement. Dermatologic Surgery, 26(5), 481-488. 

  13. Horner, J., Lowth, L. C., & Nicolaides, A. N. (1980). A pressure profile for elastic stockings. British medical Journal, 22(March), 818-820. 

  14. Jeong, J. L. (2005). Effect of skin pressure exerted by foundation on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ory evalu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5. Kim, H. S., & Choi, J. W. (1987).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the microclimate in gird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1(2), 57-67. 

  16. Kim, O. B. (2012). A comparison of the clothing pressure, change of body measurement, and comfort by stress with wearing the gird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Kweon, S. A., Lee, J. M., & Choi, J. M. (2003). Clothing and human adaptation. Seoul: Kyohak Yongusa. 

  18. Mitchel, P. G., John, J. B., & Jean-Jerome, G. (2009). Sclerotherapy-treatment of varicose and telangiectatic leg vein (S. H. Kang, Trans.). Seoul: Gabon.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19. Mosti, G. (2013). Post-treatment compression: Duration and techniques. Phlebology, 28(1), 21-24. 

  20. Robert, S., Jacques, M., & Christian, F. (1980). Die kompressionsbehandlung der unteren extremitaten speziell durch kompressionsstrumpfe [The compression treat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especially by compression stockings]. Der Hautarzt, 31, 355-365. 

  21. Shim, B. J., & Choi, S. H. (1991). Studies on garment restraint (I)-Change of skin temperature by continuous restrain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9(1), 13-25. 

  22. Size Korea. (2010).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Size Korea. Retrieved January 6, 2012, from http://sizekorea.kats.go.kr 

  23. Veraart, J. C., & Neumann, H. A. (1996). Effects of medical elastic compression stockings on interface pressure and edema prevention. American Society for Dermatologic Surgery, 22(10), 867-871. 

  24. Winslow, E. H., & Brosz, D. L. (2008). Graduated compression stockings in hospitalized postoperative patients correctness of usage and siz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8(9), 40-50. 

  25. Zohreh, K., Farah, A. E., Mehrab, M., Abbas, S. O., Alireza, H. G., Soraya, M., & Soheil, S. (2009). Comparison of compression stocking with elastic bandage in reducing postoperative edema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patient. Journal Vascular Nurse, 27(4), 103-1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