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수계 어류 서식처 영향 분석
Effect of Climate Change on Fish Habitat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1, 2013년, pp.1 - 12  

강형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환경연구실) ,  박민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환경연구실) ,  장재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환경연구실)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상승이 낙동강 유역 어류 서식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유역에 서식하는 어종 중 22개 어종에 대한 최대내성한계온도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온 상승에 따른 어류 서식지 및 서식지 지점별 어종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산정된 최대내성한계온도의 범위는 $27.7\sim33.1^{\circ}C$의 범위를 나타났다. 또한 기존에 예측된 기온 상승 데이터를 이용하여, 낙동강 78개 지점에서의 2100년도까지의 수온 상승을 예측하였으며, 수온 상승 예측을 위하여 낙동강 유역 78개 각 지점에서의 기온-수온의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S1 기간(2011~2040년)에 평균 $0.69^{\circ}C$, S2기간(2041~2070년)에는 평균 $1.76^{\circ}C$, S3기간(2071~2100년)에는 평균 $2.32^{\circ}C$의 수온이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수온상승에 따라 낙동강 22개 어종에 대해 S1-S3 각 기간별로 평균 21.9%, 36.3%, 51.4%의 서식처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otential effects of increased water temperature on fish habitat were analysed in the streams of Nakdong River watershed. The changes in suitable habitats for each fish species and in species number at a habitat site were predicted, based on the maximum thermal tolerances of 22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증가가 어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낙동강 유역에 대해 기존의 기후변화 모델을 통해 기온을 예측하고, 기온과 수온의 회귀식을 작성하여 2100년까지의 일별 수온 변화를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 하천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과 이로 인한 어류 서식처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우선, 낙동강 유역에서 측정된 수온과 어류데이터 분석을 위해, 두 자료의 측정 위치가 서로 동일한 지점을 선정하여 이들 지점을 중심으로 수온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처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수온 증가가 어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낙동강 수계의 수온증가를 예측하고 어류의 최대내성한계온도와 비교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어류별 적합서식지 변화율과 서식 지점별 어종의 감소율 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이 어류 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어종별 산정된 최대내성한계온도와 S1-S3기간 동안 예측된 일별 수온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종 별 서식처 영향 범위를 산정하였다. 즉, 78개 지점에서 산정된 현재 수온 대비 향후 기후변화에 의한 수온상승 폭과 각 어종별로 산정된 최대내성한계온도를 비교하여, 각 지점별 미래 수온 값이 최대내성한계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의 어류는 해당 지점에서 서식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대체 서식지로 이동하거나 사멸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는 언제부터 시행됫는가? 과거 물환경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은 그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국내 외 연구의 관심도가 높지 않았으나(김익재 등, 2009), 최근 이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어 기후변화가 수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려는 노력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에서는 2007년부터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가 매년 2회씩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난 10년 동안에는 국가장기생태연구 사업이 수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의 노력은 비교적 최근부터 시작된 것으로서, 아직까지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생태 영향을 분석하기에는 그 축적된 데이터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수온의 증가가 무슨 변화를 야기 시키는가?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 중 특히 수온의 증가는 하천 생태계에 영향을 끼치고 하천 생물군집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최근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수온은 급격한 기후 변화, 강수량의 변동, 산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증가할 수 있지만(Isaak et al.
수온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는 무엇을 사용했는가? 우선, 낙동강 유역에서 측정된 수온과 어류데이터 분석을 위해, 두 자료의 측정 위치가 서로 동일한 지점을 선정하여 이들 지점을 중심으로 수온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부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자료(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2007;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2010a)에서의 측정지점과 전국 수질측정망의 하천 수온 자료(Ministry of Environment, 2009; 2010b)의 측정지점 위치를 비교하였다. 두 데이터 간의 위치정보 비교를 위해 지리정보시스템(GIS) 상에서 하천명, 행정구역명, 교량 명등의 세부 조사위치가 동일한 지점을 같은 쌍으로 연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J.H., Hong, Y.S., Kang, H., Kim, H.J., Han, D.H., Jang, J.H., Seo, D.I., and Park, Y.H. (2010).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y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I. Green Growth Research Report, 11-02-85(5),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2. Bates, B.C., Kundzewicz, S.W., Wu, S., and Palutikof, J.P. (2008). Climate change and water. Technical paper of the IPCC Secretariat, Geneca, Swiss. 

  3. Biesinger, K.E., Brown, R.P., Bernick, C.R., Flithner, G.A., and Hokanson, K.E.F. (1979). A national compendium of freshwater fish and water temperature data. Volume 1. Data management techniques, output examples and limitations. EPA, Report 600/3-79-056, Duluth, MN. 

  4. Choi, D., Keem, M.S., Kim, N.W., and Kim, S. (2009).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Byeongseong stream's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responses using CGCM's future climate information." Journal ofKorea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2, No. 11, pp. 921-931(in Korean). 

  5. Chung, N., Park, B., and Kim, K. (2011). "Potential effect of increased water temperature on fish habitats in Han river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Environment, Vol. 27, No. 3, pp. 314-321 (in Korean). 

  6. Eaton, J.G., and Scheller, R.M. (1996). "Effects of climate warming on fish thermal habitat in streams of the United States."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41, No. 5, pp. 1109-1115. 

  7. Eaton, J.G., McCormick, J.H., Goodno, B.E. O'Brien, D.G., Stefany, H.G., Hondzo, M., and Scheller, R.M. (1995). "A field information based system for estimating fish temperature tolerances." Fisheries, Vol. 20, No. 4, pp. 10-18. 

  8. Isaak, D.J., Luce, C.H., Rieman, B.E., Nagel, D.E., Peterson, E.E., Horan, D.L., Parkes, S., and Chandler, G.L. (2010).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wildfire on stream temperatures and salmonid thermal habitat in a mountain river network." Ecological Applications, Vol. 20, No. 5, pp. 1350-1371. 

  9. Joo, G.-J., Kim, D.-K., Yoon, J.-D., and Jeong, K.-S. (2008). "Climate changes and freshwater ecosystem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 Engineers, KSEE, Vol. 30, No. 12, pp. 1190-1196 (in Korean). 

  10. Kaushal, S.S., Likens, G.E., Jaworski, N.A., Pace, M.L., Sides, A.M., Seekell, D., Belt, K.T., Secor, D.H., and Wingate, R.L. (2010). "Rising stream and river temperatures in the United States."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Vol. 8, No. 9, pp. 461-466. 

  11. Kim, I.J., Ahn, J.H., and Han, D.H. (2009).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trategy I: Response to climate change. Research Report 2009-13, Korea environment Institute(in Korean). 

  12. Lee, A.Y., and Kim, S.D. (2011).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Nakdong River Environmental Flow."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Environment, Vol. 27, No. 3, pp. 273-285 (in Korean).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Aquatic ecosystem health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Nakdong river watershed (in Korean).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10a). Aquatic ecosystem health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Nakdong river watershed (in Korean).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http://water.nier.go.kr/.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0b).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plan(in Korean). 

  17. Mohseni, O., Stefan, H.G., and Eaton, J.G. (2003). Global Warming and Potential Changes in Fish Habitat in U.S. Streams. Climate Change, Vol. 59, No. 3, pp. 389-409. 

  1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2007).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s health and selection of investigation sections for assessment system construction. Final Report (in Korean).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2009). Fish photograph collection of our rivers (I).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2012).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in Nakdong watershed rivers (internal data). 

  21. Park, J.Y., Park, M.J., Ahn, S.R., and Kim, S.J. (2009). "Watershed modeling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on stream water quality of Chungju 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2, No. 10, pp. 877-889 (in Korean). 

  22. PCMDI (2009). http://www-pcmdi.llnl.gov/. 

  23. Shon, T.S., Lee, S.D., Kim, S.D., and Shin, H.S. (2010).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flow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watershed-based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3, No. 10, pp. 865-881 (in Korean). 

  24. Stonefelt, M.D., Fontaine, T.A., and Hotchkiss, R.H. (2000).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yield in the upper wind river basin."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ces Association, Vol. 36, No. 2, pp. 321-336. 

  25. Varanou, E.E., Ckouvatsou, E.B., and Mimikou, M. (2002). "Quantity and quality intergrated catchment modeling under climatic change with use of soil and water assessement tool model."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7, No. 3, pp. 228-244. 

  26. Wilby, R.L., and Dawson, C.W. (2007). Statistical downscaling model SDSM Version 4.2 User manual, https://co-public.lboro.ac.uk/cocwd/SDS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