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유기농자재 처리에 따른 정화토양의 개선 효과
Impact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Agro-Materials on Chemical Properties of Remediated Soil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1 no.4, 2013년, pp.753 - 767  

김동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농화학과) ,  안병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기후변화대응과) ,  이진호 (전북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화토양 RSA(remediated soil A)와 RSB(remediated soil B)의 토양 특성을 조사한 결과, 사질양토로서 작물 별 토양 특성 권장 기준에 적정 토성이지만, 높은 토양 pH와 치환성 칼슘, 다소 낮은 양이온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 CEC)과 치환성 칼륨, 매우 낮은 토양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 함량을 보여 작물 생육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친환경농자재인 부산물비료, charcoal, biochar를 토양개량제로 처리 후 토양 특성이 수준 이상의 개선을 보여준 것으로 보인다. 토양 pH 경감 효과는 볼 수 없었으나, 토양유기물 함량 증가, 유효인산 함량 증가 등의 효과가 있었으며, 총질소(total nitrogen, T-N)와 치환성 칼륨의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그리고, 치환성 칼슘의 함량이 작물 별 권장 기준 이상으로 높은 것을 감안하였을 때 biochar 처리구에서 치환성 칼슘 함량을 감소시킨바, 지속적인 연구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토양경작법에 의하여 정화된 토양에 대하여 부산물비료, charcoal, biochar 등의 친환경농자재를 토양개량제로 사용할 경우 토양 개선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biochar의 경우 토양 특성 변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정화토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관리 할 경우 토양의 질을 꾸준히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contamination has continuously increased worldwide, thus the remediation for the contaminated soils has risen steadily. However, the consideration of ecological safety for the remediated soils and their agricultural uses has been very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정화토양의 질을 개선하여 생태건전성을 확보하고, 이를 이용함에 있어 장기적으로 정화토양은 농학적인 관점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화토양의 특성을 조사하여 토질 개선 지표를 마련하고, 친환경농자재인 부산물 비료, charcoal, biochar를 토양개량제로서 정화토양에 적용하여 토양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며, 토양개량제의 활용 기준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농업적 토양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ND, not detected.
  • 4) 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러 가지 정화 및 복원 기술에 의하여 정화된 토양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는? 따라서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오염된 토양에 대해서는 오염원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와 정화기술이 적용되고, 정화 후 정화토양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개선이 필요하다(Yang과 Lee, 2007). 그리고, 여러 가지 정화 및 복원 기술에 의하여 정화된 토양은 단순 매립, 쓰레기 매립지 매립, 도로 공사 또는 산업현장 노반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렇게 환경으로 되돌려질 경우 제2차 오염을 야기하여 환경적 문제를 일으킬 수 도 있다(Elgh-Dalgren 등, 2011; van Hees 등, 2008). 외국의 경우 최근 정화토양에 대한 용출 특성 연구(Elgh-Dalgren 등, 2011), 정화토양을 이용한 폐유 sludge의 생물학적 복원 연구(Makadia 등, 2011) 등이 보고된바 있다.
토양 주요 오염원은 어떤 것이 있는가? 부산물비료는 친환경농업에 있어서 토양 유기물 공급뿐만 아니라 양분 공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기자원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고(Grandy 등, 2002; Yun 등, 2010; Oh 등, 2011), charcoal은 토양 유기물 함량 증가 및 작물 생산과 관련된 토양 특성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며(Omil 등, 2013), biochar는 탄소 격리, 토양 유기물 증가, 토양의 물리성 및 화학성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ell 등, 2011; Free 등, 2010; Jones 등, 2012; Novak 등, 2009; Yeboah 등, 2009). 환경통계연감(2012)에 따르면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토양 주요 오염원인 카드뮴(cadmium, Cd), 구리(copper, Cu), 납(lead, Pb), 석유계총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등의 오염도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오염부지의 증가와 함께 현행 토양환경보전법이 점차 강화됨에 따라 오염토양 정화사업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Kwak, 2007; Yang과 Lee, 2007).
토양 오염에 대해 사전 예방이 중요한 이유는? 토양은 농산물의 생산, 안식처 제공, 자원의 공급 및 인간 건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Abrahams, 2002). 일반적으로 토양은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그 정화 능력을 초과할경우 오염이 진행되게 되고, 오염원에 노출되어 오염이 진행되게 되면 정화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우며 많은 비용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오염된 토양에 대해서는 오염원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와 정화기술이 적용되고, 정화 후 정화토양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개선이 필요하다(Yang과 Lee,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brahams, P. W. 2002. Soils: their implications to human health. Sci. Total Environ. 291: 1-32. 

  2. Bell, M. J. and F. Worrall. 2011. Charcoal addition to soils in NE England: A carbon sink with environmental co-benefits?. Sci. Total Envrion. 409: 1704-1714. 

  3. Brady, N. C. and R. R. Weil. 2003. Elements of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2nd ed.). Pearson,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4. Elgh-Dalgren, K., A. Duker, Z. Arwidsson, T. von Kronhelm, and P. A. W. van Hees. 2011. Re-cycling of remediated soil - Evaluation of leaching tests as tools for characterization. Waste Manage. 31: 215-224. 

  5. Free, H. F., C. R. McGill, J. S. Rowarth, and M. G. Hedley. 2010. The effect of biochar on maize (Zea mays) germination. New Zealand J. Agric. Res. 53: 1-4. 

  6. Gee, G. W. and J.W. Bauder. 1986. Particle size analysis, p. 383-411. In: Klute, A. Method of soil analysis part I. (2nd ed.). America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 USA. 

  7. Grandy, A. S., G. A. Porter, and M. S. Erich. 2002. Organic amendment and rotation crop effects on the recovery of soil organic matter and aggregation in potato cropping systems. Soil Sci. Soc. Am. J. 66: 1311-1319. 

  8. Harron, W. R. A., G. R. Webster, and R. R. Cairns. 1983. Relationship between exchangeable sodium and sodium adsorption ratio in a Solonetzic soil association. Can. J. Soil Sci. 63: 461-467. 

  9. Hong, S. H., S. M. Lee, and E. Y. Lee. 2011. Bioremediation efficiency in oil-contaminated soil using microbial agen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3): 301-307. 

  10. Hwang, K. S., Q. S. Ho, H. D. Kim, and J. H. Choi. 2002. Changes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nitrate nitrogen in soil applied with livestock manure. Korean J. Environ. Agric. 21(3): 197-201. 

  11. ISO 11466. 1995. Soil quality-extraction of trace elements soluble in aqua regia.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eva, Switzerland. 

  12. Jeong, K. W., and S. H. Jang. 2003. Remediation of oil contaminated soils by rice straw ash. J. Kor. Environ. Sci. Soc. 12(7): 783-789. 

  13. Jones, D. L., J. Rousk, G. Edwards-Jones, T. H. DeLuca, and D. V. Murphy. 2012. Biocharmediated changes in soil quality and plant growth in a three year field trial. Soil Biol. Biochem. 45: 113-124. 

  14. Jung, B. G., G. H. Ro, and N. C. Sung. 2009. Removal characteristics of TPHs and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soil with ultrasonic washing. J. Kor. Environ. Sci. Soc. 18(4). 473-478. 

  15. Jung, B. G., J. W. Choi, E. S. Yun, J. H. Yoon, Y. H. Kim, and G. B. Jung. 1998. Chemical properties of the horticultural soils in the plastic film house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1(1): 9-15. 

  16. Kim, G. J., S. H. Lee, K. J. Park, C. K. Kim, C. H. Lee, D. S. Kim, S. H. Cho, and Y. Y. Chang. 2008. Development of low 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system and 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 J. Kor. Soc. Soil Groundwater Environ. 13(4): 62-68. 

  17. Kwak, M. Y. 2007. Prospect and present status of soil environmental remediation industry. J. Kor. Soc. Envrion. Eng. 35(3) : 151-164. 

  18. Lee, J. H., and J. J. Doolittle. 2004. Measurement of phosphorus buffering power in various soils using desorption isotherm. Korean J. Soil Sci. Fert. 37(4): 220-227. 

  19. Lee, S. B., K. M. Cho, N. H. Baik, C. H. Yang, J. H. Jung, K. J. Kim, and G. B. Lee. 2012. Effects of pig compost and liquid manure on yield, nutrients uptake of rice pla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Korean J. Soil Sci. Fert. 45(5): 772-778. 

  20. Li, Y., J. Qin, N. S. Mattson, and Y. Ao. 2013. Effect of potassium application on celery growth and cation uptake under different calcium and magnesium levels in substrate culture. Sci. Hortic. 158: 33-38. 

  21. Ludwig, B., P. K. Khanna, B. Anurugsa, and H. Folster. 2001. Assessment of cation and anion exchange and pH buffering in an Amazonian Ultisol. Geoderma 102: 27-40. 

  22. Makadia, T. H., E. M. Adetutu, K. L. Simons, D. Jardine, P. J. Sheppard, and A. S. Ball. 2011. Re-use of remediated soils for the bioremediation of waste oil sludge. J. Environ. Manage. 92: 866-871. 

  23. MOE. 2012.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4. MOE. 2012a. Standard analytical methods for soil pollutio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5. MOE. 2012b.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6. NAAS. 2010. Fertilization standard on crop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27. NAAS. 201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28. Novak, J. M., W. J. Busscher, D. L. Larid, M. Ahmedna, D. W. Watts, and M. A. S. Niandou. 2009. Impact of biochar amendment on fertility of a Southeastern Coastal Plain soil. Soil Sci. 174: 105-112. 

  29. Oh, C. T., Y. M. Yi, Y. S. Kim, W. J. Jeon, G. J. Park, C. K. Kim, K. J. Sung, Y. Y. Chang, and G. J. Kim. 2012. Field applicability of low 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 equipment through 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of remediated soil and exhaust gas. J. Kor. Soc. Soil Groundwater Environ. 17(3): 76-85. 

  30. Oh, S. J., S. C. Kim, H. S. Yoon, H. N. Kim, T. H. Kim, K. H. Yeon, J. S. Lee, S. J. Hong, and J. E. Yang. 2011. Evaluating heavy metal stabilization efficiency of chemical amendment in agricultural field : field experiment. Korean J. Soil Sci. Fert. 44(6): 1052- 1062. 

  31. Omil, B., V. Pineiro, and A. Merino. 2013. Soil and tree responses to the application of wood ash containing charcoal in two soils with contrasting properties. Forest Ecol. Manag. 295: 199-212. 

  32. Paudyn, K., A. Rutter, R. K. Rowe, and J. S. Poland. 2008. Remediation of hydrocarbon contaminated soils in the Canadian Arctic by landfarming. Cold Reg. Sci. Technol. 53: 102-114. 

  33. Raven, K. P., and L. R. Hossner. 1993. Phosphorus desorption quantity-intensity relationships in soils. Soil Sci. Soc. Am. J. 57: 1501-1508. 

  34. Reynolds, C. M., M. D. Travis, W. A. Braley, and R. J. Scholze. 1994. Applying fieldexperiment bioreactors and landfarming in Alaskan climates. In: Hinchee, R. E., B. C. Alleman, R. E. Hoeppel, R. N. Miller. (Eds.), Hydrocarbon bioremediation. Lewis Publishers, Boca Raton, pp. 100-106. 

  35. Tyler, G., and T. Olsson. 2001. Concentrations of 60 elements in the soil solution as related to the soil acidity. Eur. J. Soil Sci. 52: 151-165. 

  36. Van Hees, P. A. W., K. Elgh-Dalgren, M. Engwall, and T. von Kronhelm. 2008. Re-cycling of remediated soil in Sweden: An environmental advantage? Resour. Conserv. Recy. 52: 1349-1361. 

  37. Wingrov, T. 1997. Diesel contamination remediation at a remote site in a cold climate. Pract. Period. Hazard. Toxic Radioact. Waste Manage. 1(1): 30-34. 

  38. Yang, J. W., and Y. J. Lee. 2007. Status of soil remedi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in Korea. Korean Chem. Eng. Res. 45(4): 311-318. 

  39. Yeboah, E., P. Ofori, G. W. Quansah, E. Dugan, and S. P. Sohi. 2009. Improving soil productivity through biochar amendments to soils. African J. Environ. Sci. Technol. 3: 34-41. 

  40. Yun, H. B., S. G. Han, J. S. Lee, Y. J. Lee, M. S. Kim, and Y. B. Lee. 2010. Pig manure compost and urea application effects on Chinese cabbage in different soil fertility. Korean J. Soil Sci. Fert. 43(6): 962-967. 

  41. Yun, H. B., W. K. Park, S. M. Lee, S. C. Kim, and Y. B. Lee. 2009. Nitrogen uptake by Chinese cabbage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s affected by successive application of chicken manure compost. Korean J. Environ. Agric. 28(1): 9-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