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drenoleukodystrophy (ALD) is a rare, inherited disorder that leads to progressive brain damage and failure of the adrenal glands. It is passed down from parents to their children as an X-linked genetic trait. Therefore, it affects primarily males especially under the age of 10. People with ALD ha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저자들은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ALD 환아의 전신마취 하 치아 우식 치료를 시행한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신백질이영양증은 어떤 질환입니까? 부신백질이영양증(adrenoleukodsytrophy, ALD)은 ALD 단백질을 만드는데 관여하는 ABCD1 유전자 변이로 인해 중추 신경계의 탈수초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ALD단백질은 희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s), 미세아교 세포(microglia)에서 장쇄지방산(very-long-chain fatty acids, VLCFAs)의 과산화소체 분해 과정(peroxisome degradation)에 필수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ALD 단백질이 결핍되면 이들 세포의 탈수초가 일어난다1).
ALD단백질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부신백질이영양증(adrenoleukodsytrophy, ALD)은 ALD 단백질을 만드는데 관여하는 ABCD1 유전자 변이로 인해 중추 신경계의 탈수초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ALD단백질은 희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s), 미세아교 세포(microglia)에서 장쇄지방산(very-long-chain fatty acids, VLCFAs)의 과산화소체 분해 과정(peroxisome degradation)에 필수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ALD 단백질이 결핍되면 이들 세포의 탈수초가 일어난다1). ALD는 남성 중 1:21,000의 확률로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신경 계, 부신 피질, 정소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2,3).
유일하게 효과가 있는 ALD 치료법은 무엇입니까? 이에 첫 치료시도가 있은지 30년이 지났고 식이요법, 약물 요법, 이식법, 유전자 치료 등이 제시되었으나 ALD는 신경학적, 행동학적인 측면의 치유효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어려워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치료법이 없다6). 현재까지는 초기 뇌질환 상태에 한해 시행할 수 있는 치료로서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법(Allogeneic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HCT)이 유일하게 효과 있는 치료법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oser HW, Mahmood A, Raymond GV: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Nat Clin Pract Neurol 3(3):140-151, 2007. 

  2. Moser H, Dubey P, Fatemi A: Progress in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Curr Opin Neurol 17(3):263-269, 2004. 

  3. Bezman L, Moser HW: Incidence of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and the relative frequency of its phenotypes. Am J Med Genet 76(5):415-419, 1998. 

  4. Aubourg P, Blanche S, Jambaque I, et al.: Reversal of early neurologic and neuroradiologic manifestations of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by bone marrow transplantation. N Engl J Med 322(26):1860-1866, 1990. 

  5. Shapiro E, Krivit W, Lockman L, et al.: Longterm effect of bone-marrow transplantation for childhood-onset cerebral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Lancet 356(9231):713-718, 2000. 

  6. Brown FR 3rd, Van Duyn MA, Moser AB, et al.: Adrenoleukodystrophy: effects of dietary restriction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s and of administration of carnitine and clofibrate on clinical status and plasma fattyacids. Johns Hopkins Med J 151(4):164-172, 1982. 

  7. Igarashi M, Schaumburg HH, Powers J, et al.: Fatty acid abnormality in adrenoleukodystrophy. J Neurochem 26(4):851-860, 1976. 

  8. Moser HW: Adrenoleukodystrophy: phenotype, genetics, pathogenesis and therapy. Brain 120(8):1485-1508, 1997. 

  9. Powers JM, DeCiero DP, Ito M, et al.: Adrenomyeloneuropathy: a neuropathologic review featuring its noninflammatory myelopathy. J Neuropathol Exp Neurol 59(2):89-102, 2000. 

  10. Powers JM, DeCiero DP, Cox C, et al.: The dorsal root ganglia in adrenomyeloneuropathy: neuronal atrophy and abnormal mitochondria. J Neuropathol Exp Neurol 60(5):493-501, 2001. 

  11. Schaumburg HH, Powers JM, Raine CS, et al.: Adrenoleukodystrophy. A clinical and pathological study of 17 cases. Arch Neurol 32(9):577-591, 1975. 

  12. Ito M, Blumberg BM, Mock DJ, et al.: Potential environmental and hostparticipants in the early white matter lesion of adrenoleukodystrophy: morphologic evidence for CD8 cytotoxic T cells, cytolysis of oligodendrocytes, and CD1-mediated lipid antigen presentation. J Neuropathol Exp Neurol 60(10):1004-1019, 2001. 

  13. Mosser J, Douar AM, Sarde CO, et al.: Putative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gene shares unexpected homology with ABC transporters. Nature 361(6414):726-730, 1993. 

  14. Higgins CF: ABC transporters: from microorganisms to man. Annu Rev Cell Biol 8(1):67-113, 1992. 

  15. Moser AB, Kreiter N, Bezman L, et al.: Plasma very long chain fatty acids in 3,000 peroxisome disease patients and 29,000 controls. Ann Neurol 45(1):100-110, 1999. 

  16. Moser AB, Moser HW: The prenatal diagnosis of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Prenat Diagn 19(1):46-48, 1999. 

  17. Bezman L, Moser AB, Raymond GV, et al.: Adrenoleukodystrophy: incidence, new mutation rate, and results of extended family screening. Ann Neurol 49(4):512-517, 2001. 

  18. Aubourg P, Chaussain JL: Adrenoleukodystrophy: the most frequent genetic cause of Addison's disease. Horm Res 59(Suppl 1):104-105, 2003. 

  19. Schwartz RE, Stayer SA, Pasquariello CA, et al.: Anaesthesia for the patient with neonatal adrenoleukodystrophy. Can J Anaesth 41(1):56-58,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