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가족관련 변인과 건강가족지원사업 프로그램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ed Variables and Program in Healthy Family Support Busines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8 no.1, 2013년, pp.167 - 175  

이형하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는 G광역시 지역주민들을 대상(n=299)으로 운영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지원관련 5개 프로그램(가족상담프로그램, 가족교육지원사업, 가족친화문화지원사업, 돌봄지원사업, 다양한가족지원사업)이 가족가치관, 가족간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을 반영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지역주민의 가족가치관, 가족간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지역주민의 가족가치관, 가족간 의사소통, 가족관계성에 따라 가족지원사업 프로그램 요구도에 차이가 있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주민의 가족가치관(M=3.55, S.D.=.664), 가족간 의사소통(M=3.65, S.D.=.669), 가족관계성(M=3.69 S.D=.584) 정도는 모두 평균이상(5점만점)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이 평균미만집단이 평균이상집단과 비교하여 가족상담프로그램을 제외하고 가족교육지원사업, 가족친화문화지원사업, 돌봄지원사업, 다양한가족지원사업 등에서 필요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참여도를 높이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은 각 프로그램별도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을 사전에 파악하여 집단별 프로그램 목표도를 차별화하거나, 프로그램 참여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프로그램 필요도 욕구가 높은 평균미만집단에게 우선권을 주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t out from the perception that one should develop and activate differentiated programs from those 5 programs of the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family counseling program, family education support project, family affinity culture support project, care support project, diversity fami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가정기본법은 개인의 행복과 건강한 사회의 기초가 되는 가정의 건강성을 증진시키고, 생활단위로서의 가정에 대한 강조와 가정단위의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건강가정지원사업은 건강가정기본법 제3항(21조~23조)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들의 가치관, 가족간의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등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가족지원사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어떻게 활성화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한다.
  •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가족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등의 다차원적인 가족관련 변인을 고려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실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센터의 실무자나 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 및 성과중심의 실증적 분석에는 일정부분 한계가 있다.
  • 이 연구는 지역주민의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에 따른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건강가정지원사업의 프로그램 필요도에 차이가 있어, 이를 반영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운영상 이용자의 필요도 중심의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수행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지원관련 5개 프로그램이 다양한 요소의 수준을 반영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지역주민의 가족가치관, 가족간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지역주민의 가족가치관, 가족간 의사소통, 가족관계성에 따라 가족지원사업 프로그램 요구도에 차이가 있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주민의 가족가치관(M=3.55, S.D.=.664), 가족간 의사소통(M=3.65, S.D.=.669), 가족관계성(M=3.69 S.D=.584) 정도는 모두 평균이상(5점만점)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이 평균미만집단이 평균이상집단과 비교하여 가족상담프로그램을 제외하고 가족교육지원사업, 가족친화문화지원사업, 돌봄지원사업, 다양한가족지원사업 등에서 필요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참여도를 높이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은 각 프로그램별도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을 사전에 파악하여 집단별 프로그램 목표도를 차별화하거나, 프로그램 참여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프로그램 필요도 욕구가 높은 평균미만집단에게 우선권을 주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가족의 문제를 개인이 해결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최근 들어 이혼율의 급증, 실직과 신용불량자의 증가, 아동학대의 증가, 노령화의 가속화, 가정폭력 등으로 인한 더 이상의 가족의 문제를 개인이 해결한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가족구조의 변화는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포괄적인 가족복지 정책의 방향설정과 복지수요자인 개인을 대상으로 한 접근방식에서 가족 전체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의 장을 필요로 한다.
건강가정지원센터가 하는 일은 무엇인가?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가족교육, 가족상담, 가족친화문화조성사업, 가족돌봄지원서비스, 다양한 가족 통합서비스, 지역사회 연계의 6개 영역에서 11개 사업을 공통필수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한부모가족 지원 사업과 같은 별도지침에 의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사업의 주된 기능은 이를 통해 가정생활의 유용성을 어느 정도 높일 수 있느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Y. Won and J. K. Chang, "A Study for Programs and PR Activities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4, No. 8, pp. 101-116, 2006. 

  2. J. U. Jeong, Y. K. Kjeong and S. E. Cho, "Research about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Quarterly, Vol. 14, No. 4, pp. 93-114, Nov 2010. 

  3. H. R. Song, Y. K. Kim and Y. H. Cho, "Performance Analysis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Pilot Project to Support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Quarterly, Vol. 16, No. 3, pp. 83-107, Aug 2012. 

  4. S. Y. Lee and K. H. Kim, "The Direction of the Family-support Center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Family Welfare Program at Community Welfare Center in Seoul," Social Welfare Policy, Vol. 21, pp. 35-57, 2005. 

  5. Y. K. Jeong, J. Y. Jeong and S. E. Cho,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ment of Family-Empowering Program In Healthy Family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6, No. 2, pp. 39-50, 2008. 

  6. J. H. Kim,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 in Kyungnam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6, No. 2, pp. 25-37, 2008. 

  7. H. R. Song,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Healthy Families Center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2, No. 5, pp. 303-318, 2004. 

  8. J. K. Chang, J. E. Oh, E. J. Han, J. A. Ryu and S. Y. Won, "Recognition of professionals and staff in roles of the central, district, and municipal Healthy Family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4, No. 10, pp. 21-33, 2006. 

  9. S. Y. Won and J. K. Chang, "A Study for Programs and PR Activities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4, No. 8, pp. 101-116, 2006. 

  10. J. S. Yang and S. H. Kim, "A Study on the Use of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and Its Activation Plan - Focused to Gyeonggi-do,"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Quarterly, Vol. 14, No. 4, pp. 213-237, Nov 2010. 

  11. M. W. Kim and J. O. Kim, "A Study of the Degree of Demand for Programs for Healthy Family-Focused on Chilgok gun-," Korea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Vol. 14, No. 4, pp. 31-57, 2010. 

  12. H. R. Koo, "The role of Health and Family Support Center in Composition of a family-friendly society,"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Proceedings Conference, Vol. 2010, No. 1, pp. 183-187, 2010. 

  13. J. H. Kim, "The Development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s in Kyungnam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6, No. 2, pp. 25-37, 2008. 

  14. Y. H. Kim, Y. R. Kim, J. Y. Park and E. J. Han, "An Analysis of the Desires of Community Residents for the Activation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 -On the Residents of Dongjak-gu, Seoul- ,"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22, pp. 15-29, 2005. 

  15. Y. K. Jeong, K. J. Kang, J. Y. Park, J. Y. Jeong and S. E. Cho, "A Study on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Education Program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Quarterly, Vol. 13, No. 1, pp. 83-98, 2009. 

  16. C. H. Lim, "Counseling Services and Work Conditions Perceived by Counselors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5, No. 5, pp. 83-105, 2007. 

  17. J. Y. Park. "The Study of Culture Program Evaluation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6, No. 5, pp. 25-36, 2008. 

  18. J. Y. Park and S. Y. Yoon,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Activity of Family Voluntary Service Group and Healthy Family Campaign in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Quarterly, Vol. 14, No. 2, pp. 59-77, 2010. 

  19. S. Y. Moon and K. D. Sung, "Performance Evaluation of Healthy Family Welfare Service Using SERVQUAL: A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and Privat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stration, Vol. 48, No. 4, pp. 357-383, 2010. 

  20. Y. J. Yoo,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amily Strengths Scale for Strengthening the Famil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9, No. 2, pp. 119-151, 2004. 

  21. O. K. Yang, "Study on Development of the Family Relationship Scal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 8, pp. 119-147,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